[전체] “국조속오례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9)
사전(145)
- 국조속오례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조속오례의 1744년(영조 20)에 완성한 ≪국조오례의≫의 속편. 목판본. 규장각도서. 국조속오례의이칭별칭속오례의
- 국조속오례의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국조속오례의』를 보충한 책. [내용] 2권 1책. 목판본. 1751년(영조 27) 신만(申晩) 등에 의하여 편찬되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길례(吉禮) 11편, 권2에 가례(嘉禮) 10편 등을 보충하였는데, 왕이 친히
- 곤룡포부용문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王制)를 적용하여 다홍색 곤룡포를 착용하였다.『국조속오례의보서례(國朝續五禮儀補序例)』(1751)에 전하(殿下) 시사복(視事服)으로 익선관(翼善冠), 다홍 곤룡포, 옥대(玉帶), 흑화(黑靴) 일습이 도설(圖說)되어 있다. 용문보는 금사로 수놓은 오조룡보(五爪龍補)로서 두...이칭별칭고종황룡포
- 국조오례통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개인이 편찬한 것이다. 장서각 도서와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앞서 편찬한 『국조오례의』를 비롯하여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국조속오례의보(國朝續五禮儀補)』, 그리고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등이 오랜 시일을 경과하면서 개정, 보충되어 당대에 맞는...
- 방룡보(方龍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하고 단지 방룡보만 쓴다면 예에도 강쇄(降殺)가 있게 되고 일도 전거(典據)할 데가 있으므로 왕세손의 장복에는 방룡보를 달도록 하였다[『인조실록』 26년 8월 3일]. 『국조속오례의보서례(國朝續五禮儀補序例)』에 의하면, 왕세손의 강서복 제도는 곤룡포이다. 이때 포는...관련어사조원룡보(四爪方龍補), 삼조원룡보(三爪方龍補), 오조원룡보(五爪方龍補)
고서·고문서(4)
-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의주등록(儀註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문화추진회에서 국역 출간하기도 하였다. 또 일부 왕세손 관련 의주는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에 나오지 않고 『국조속오례의보(國朝續五禮儀補)』에 수록되었다는 점이다. 이 시기의 국가의례가 변천된 모습을 장서각에 소장된 다른 의주등록과 함께 비교하면서 인조-현종, 숙...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의주등록(儀註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1751년(영조 47)에 간행된 『국조속오례의보』에 실림으로써 이전 전례서와는 차별성을 보인다. 둘째로는 사직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대제(大祭)를 지내는 의식이다. 셋째 1690년에 이름이 남별전에서 이름이 바뀐 영희전은 역대 왕의 영정을 보관하는...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10)
-
국조속오례의 / 國朝續五禮儀 [종교·철학/유학]
『국조오례의』의 속편. 5권 4책. 목판본. 1744년(영조 20)에 완성하였다.『국조오례의』를 토대로 다시 다듬고 손질해 만든 책으로『경국대전』의 속편인『속대전』과 함께 같은 때 찬집되었다. 권두에 윤급의 서문, 찬집하게 된 동기와 경위를 적은 이종성 등의 전문이 있
-
국조속오례의보 / 國朝續五禮儀補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신만 등이 왕명으로 『국조속오례의』를 수정·보완하여 1751년에 편찬한 예서. 2권 1책. 목판본. 1751년(영조 27) 신만(申晩) 등에 의하여 편찬되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에 길례(吉禮) 11편, 권2에 가례(嘉禮) 10편 등을 보충하였는데
-
선온의 / 宣醞儀 [정치·법제]
선온을 내려주는 절차. 선온의 구체적인 의식은 <국조오례의> 「사신급외관수선로의」에 실려 있다. <국조속오례의>「친경후노주의」에는 친경 후 선온을 내려주는 절차가 있다.
-
납비친영홀긔 / [정치·법제]
왕비를 맞아들일 때 친영(親迎)하는 의식 절차를 한글로 기록한 홀기. 띄어 읽는 단위마다 글자 오른쪽에 점이 찍혀 있다. 친영은 국왕이 별궁에 있는 왕비를 직접 맞이하러 가는 의식이다. 1744년(영조 20)에 편찬된《국조속오례의》가례조에 실려 있다.
-
종묘의궤 / 宗廟儀軌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의 종묘와 영녕전에 관한 의절을 기록한 책. 원편 4책과 속록 5책으로 되어 있다. <국조오례의>와 <국조속오례의>의 종묘에 관한 의례를 바탕으로 하고 <조선왕조실록>, 제가의 문집 등에서 관련부분을 채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