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국조상례보편” 에 대한 검색결과 1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3)

사전(14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인 홍계희(洪啓禧) 등이 편집한 궁중예제(宮中禮制)에 관한 책. [내용] 6권 6책. 활자본. 책머리에 영조 어제와 김재로(金在魯)의 봉교전서, 신만(申晩)의 봉교후서가 있다. 『국조오례의』 중에서 의주(儀註)가 없다든지,...
  • 습상(襲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도설의 나오는 평상은 좌우의 양 옆에 큰 쇠고리를 달아 들기 편하도록 하였다. [용례] 內侍進香湯 奉而頮之 沐浴訖 遂設明衣 以方巾覆面 以衾覆之 行襲禮 執事者 先薦枕於襲床上 次鋪龍紋席 次鋪褥 次鋪絞[『정조실록』 24년 6월 29일] ...
    관련어염빈(殮殯), 평상(平牀)
  • 지석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용하였으나, 의 명시 이후 새로운 규정으로 자기 재질의 자지(磁誌)를 쓰게 되었다. 工匠秩誌石匠金義成曹漢大刻手崔漢益朴春根李仁奎, (국장1834/046ㄱ02~04)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폐비(幣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관련어폐백(幣帛)
  • 수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0년(고종 27) 신정왕후가 죽자 이곳에 합장하였다. 능 상설제도(象設制度)와 배치는 『()』을 따르고 있으나 능삼계(陵三階)는 중계와 하계가 합하여 이계로 생략되었고, 문관은 금관을 쓰고 세밀히 조각한 조복을 입고 있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고서·고문서(11)

  • ()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효녕전일기(孝寧殿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과 절차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 동시에 수행인원, 물품 소요 등에 대한 기록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영조(英祖)대 이후 『속오례의(續五禮儀)』, 『()』 등이 편찬되면서 왕실 상장례가 변화되었으므로, 그 이전에 치러진 국상의 면모를 파악할...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인원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元王后國葬都監儀軌下)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생생하다. 1757년 2월에 있었던 貞聖王后의 국장을 기록한 의궤와 함께 『()』의 규정에 따라 변화된 국장의식의 실제를 볼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영조빈전도감의궤(英祖殯殿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후기 국장 과정에 관한 자세한 기록을 전한다. 『()』에 의하면 당시 삼도감에서 국장의 여러 의절(儀節)을 『』을 이용하여 거행하였다고 기록하여. 조선후기 예서의 실제운용여부를 알려주는 첫 국왕의 국장이라는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1)

  • 英祖代《》의 편찬과 《[英祖]元陵山陵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진영, 게재일 : 2003
    14086 김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英祖代《》의 편찬과 《[英祖]元陵山陵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인 홍계희 등이 편집한 궁중예제에 관한 책. 6권 6책. 활자본. 서문에 영조 어제와 김재로의 봉교전서, 신만의 봉교후서가 있다.『국조오례의』 중 의주가 없든지, 옛날에는 있었으나 지금은 없는 것 등을 작도하였다. 권1은 왕의 고명 절차로부터 죽은 왕에

  • 지석장 / 誌石匠 [경제·산업]

    지석을 일정 규격으로 갈고 다듬은 다음, 지석에 글자를 새겨 깎아내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 국장 등 장례시 혼유석 아래 묻을 지석에 지석소의 서사가 지문을 쓰면, 이를 연장으로 새겨 깎는 일을 맡았다. 영조 이전의 지석은 오석을 사용, <>의 명시

  • 국조오례통편 / 國朝五禮通編 [종교·철학/유학]

    편찬한 『국조오례의』를 비롯하여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국조속오례의보(國朝續五禮儀補)』, 그리고 『()』 등이 오랜 시일을 경과하면서 개정, 보충되어 당대에 맞는 의례(儀禮)로 변천해왔기 때문에 근본적인 변화는 없었다고 할지라도 부분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