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국조보감” 에 대한 검색결과 8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0)

사전(689)

  • 이범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었다. 1897년 사례소(史禮所) 위원으로 임명되었으며, 1908년 9월에 당시 대편찬사업의 하나로 진행된 『()』의 찬집(纂輯)ㆍ선사(繕寫)ㆍ감인(監印) 위원으로 임명되어 2년 동안 『』의 편찬사업에 진력하였다. ...
    이칭별칭 사의(士儀)| 치재(恥齋)
  • 김덕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봉상사제조(奉常司提調)‧종묘서제조(宗廟署提調)‧의효전제조(懿孝殿提調) 등을 역임하였다. 1908년 10월에 『』의 편찬위원에 임명되어, 이용원(李容元)‧김윤식(金允植)‧신기선(申箕善) 및 아버지 학진 등과 함께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해 12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역대 왕의 업적 가운데 선정(善政)만을 모아 편찬한 편년체의 사서. [서지적 사항] 90권 28책. 활자본. [편찬/발간 경위] ≪≫의 편찬을 최초로 구상한 것은 세종 때이다. 이 때 정치에 모범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전기에 김종서 등이 왕명에 따라 편찬한 고려 시대에 관한 편년체 역사책
    정의조선 전기에 김종서 등이 왕명에 따라 편찬한 고려 시대에 관한 편년체 역사책 | 문광부표기Gukjo bogam | MR표기Kukcho po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춘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효의 복권을 견제하기 위한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그 뒤 1907년 궁내부특진관(宮內府特進官), 곧 이어 승녕부(承寧府)의 시종장(侍從長)에 임명되었다. 1909년 『()』 편찬에 참여하였다. 1910년초에는 승녕부시종장으로서 황태자 문후...

고서·고문서(90)

기초학문(1)

  • 조선 초기 법조 정치원리의 정립-조선왕조실록과 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재윤, 게재일 : 2008
    40240 문재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1세기정치학회보 2008 조선 초기 법조 정치원리의 정립-조선왕조실록과 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18)

  • /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역대 왕의 업적 가운데 선정만을 모아 편찬한 편년체의 사서. 90권 28책. 활자본. ≪≫의 편찬을 최초로 구상한 것은 세종 때이다. 이후 1908년(융희 2)에는 이용원 등에게 헌종·철종 2조의 보감을 찬수하게 하여 1909년에 전의 것과 합하고 순

  • 별편 / 別編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제25대 왕 헌종 연간에 조선 역대 왕(인조~익종)의 사적을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 10권 3책. 활자본. 간행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헌종 때 이 편찬되면서 함께 이루어진 듯하다. 내용은 각 왕대의 정사일반이 아니라 명나라의 은혜를 갚을 수 있

  • 고종태황제순종효황제섭상의홀기 / 高宗太皇帝純宗孝皇帝攝上儀笏記 [정치·법제]

    》을 종묘 제18실과 제19실에 봉안하는 의식 절차를 기록한 홀기. 종묘 제18실은 고종의 신위가 안치된 곳이고, 종묘 제19실은 순종의 신위가 안치된 곳이다.

  • 채제공 / 蔡濟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0∼1799). 문과에 급제한 뒤 도승지·한성판윤·영의정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사도세자의 폐위를 막는 등 소신 있게 행동하였으며 영조와 정조의 신임을 얻어 중용되었다.《》 등을 편찬하고《번암집》을 저술하였다.

  • 적석 / 赤舃 [생활/의생활]

    임금이 정복을 입을 때 신는 붉은색의 신. 대전의 법복인 면복과 평천관 또는 강사포와 원유관을 착용할때 적말과 함께 신는 왕의 신이다. <>과 <조선왕조실록>에 임금은 면류관에 곤룡포 차림으로 인정전에 납시고, 왕세자는 칠장관ㆍ공정책ㆍ적말ㆍ적석 차림으로 예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