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국장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3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3)

사전(204)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고려ㆍ조선 시대 왕이나 왕비의 장례를 주관하기 위해 설치한 임시 관청. 국왕이나 왕후의 상사(喪事)가 있을 때 그 장례 행사를 주관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임시 기구인 은 보통 국상 당일에 조직되어 장례 뒤 혼전(魂殿: 왕이나 왕비의 국상 뒤에 종묘에 배위할 때까...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有事)로 구성되어 있었다. 왕후의 상일 경우에는 독책관 이하에 고위 내시들이 임명되었다. 왕세자‧세자빈 등 중요 왕족의 장례에는 예장도감(禮葬都監)이 설치되었는데 그 규례는 거의 에 준하였다. 국장의 시말, 각종 예규, 도감에서의 업무와 행사 내용 등은...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감(都監)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강제훈 조선시대 전 시기 [정의] 국상 기간 중 빈전에서 산릉까지 운구하는 데 필요한 상구(喪具)...
    상위어도감(都監)
  • 의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태상왕(太上王)‧태상왕비‧왕‧왕비 등의 국장(國葬)에 관한 제반 의식‧절차를 기록한 책. [내용] 국상이 있을 때 을 설치해 국장을 치른 일체의 과정을 날짜순으로 기록한 등록(謄錄)을 만들었다가 후일에 참고하기 위해 다른...
  • 홍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홍색의 버선. 세종 오례의(五禮儀)흉례(凶禮) 천전의(薦奠儀)에 보면 홍말(紅襪)은 홍초(紅綃)로 만든다고 되어 있다. 홍말은 홍색의 비단으로 만든 버선이다. 순조왕세자관례책저도감의궤純祖王世子冠禮冊儲都監儀軌, 효종도청의궤孝宗都廳儀軌, 현종...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97)

  • 정조의궤(正祖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조선 제22대 왕 정조(正祖, 1776~1800)의 국장(國葬)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책으로 ()에서 간행하였다. 정조는 장조(莊祖, 사도세자)와 헌경왕후(獻敬王后, 혜경궁 홍씨)의 소생으로 1762년 좌참찬 김시묵(金時默)의 딸 효의왕후(孝懿王后,17...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순조의궤(純祖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승하했다. 조선시대 국장의 절차는 상당히 복잡하고 다양한 의례가 있었기 때문에, ()과 함께 빈전혼전도감(殯殿魂殿都監), 산릉도감(山陵都監) 등을 설치하여 관련 절차를 나누어 담당하고 서로 협조하도록 하였다. 본 의궤는 순조의 국장 절차 전반을 담당한...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헌종의궤(憲宗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과 함께 빈전혼전도감(殯殿魂殿都監), 산릉도감(山陵都監) 등을 설치하여 관련 절차를 나누어 담당하고 서로 협조하도록 하였다. 본 의궤는 국장 의식 전반을 담당한 에서 편찬한 것으로, 국장의 구체적인 절차에 대해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또한...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철종의궤 (哲宗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2월 8일, 철종이 창덕궁 대조전에서 승하하자 왕실에서는 국상을 거행하기 위하여 전례대로 삼도감(三都監)을 설치하게 되는데, ()은 그 중의 하나로 국장(國葬) 전반을 총괄하면서 시책문(諡冊文) ․ 애책문(哀冊文) ․ 지문(誌文) ․ 비문(碑文) 과 인...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현종의궤(顯宗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74년에 거행된 현종(顯宗,1641∼1674)의 국장(國葬) 과정을 기록한 의궤로 에서 편찬하였다. 현종은 효종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우의정 장유(張維)의 딸 인선왕후(仁宣王后)며, 비는 영돈령부사 김우명(金佑明)의 딸 명성왕후(明聖王后)이다. 병자호란 이...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2)

  • 1674년 顯宗의 昇遐와《[顯宗]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새롬, 게재일 : 2005
    08326 유새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674년 顯宗의 昇遐와《[顯宗]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776년 英祖의 昇遐와 《[英祖]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지원, 게재일 : 2005
    02267 송지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776년 英祖의 昇遐와 《[英祖]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고려·조선 시대에 국왕이나 왕후의 상사가 있을 때 그 장례 행사를 주관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임시 기구. 보통 국상 당일에 조직되어 장례 뒤 혼전에 반우해 우제가 끝날 때까지 약 5개월간 존속하였다. 이 기간 동안의 상·장례에 따르는 모든 의전·재정·시설·문한 등의

  • 의궤 / 儀軌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태상왕·태상왕비·왕·왕비 등의 국장에 관한 제반 의식과 절차 등을 기록한 의궤. 국상이 있을 때 을 설치해 국장을 치른 일체의 과정을 날짜순으로 기록한 등록(謄錄)을 만들었다가 후일에 참고하기 위해 다른 자료를 추가, 의궤(儀軌)로 정리한 것이다.국내

  • 개두 / 蓋頭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국상 때 머리에 쓰는 쓰개. 개두(蓋頭)의 형태는 『세종실록』 오례의 중 흉례복제(凶禮服制)에 개두는 본국의 여자의 입모(笠帽)로 대신한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개두와 입모, 즉 너울이 같았음을 알 수 있으며, 『의궤(儀軌)』 행렬도 중의

  • 지석소 / 誌石所 [정치·법제]

    국장을 수행하는 에서 지석의 제작을 담당하였던 부서. 조선 시대에 국상이 일어나면 국장의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을 임시로 만들었다. 은 일방, 이방, 삼방 등으로 구분하여 국장의 일을 분장하였는데 지석소는 시책, 시보, 애책, 증옥, 증백 등을

  • 만장 / 輓章 [정치·법제]

    소상에서는 80여 축을 사용하였다. 만장의 만사는 <>에 수록되어 있으며 별도의 책으로 만들어 보관하기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