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국자학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3)
- 국자학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ㆍ≪논어≫를 공통필수과목으로 하고, 『주역』ㆍ『상서(尙書)』ㆍ『주례』ㆍ『예기≫』ㆍ『모시(毛詩)』ㆍ『춘추좌씨전』ㆍ『곡량전(穀梁傳)』ㆍ『공양전(公羊傳)』 등은 전공교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들 국자학생의 수업연한 및 고시진행과정에 대하여는 이설(異說)이 많다.
- 成均館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7_I_0004 成均館 교육 國子監, 修學院, 成均, 大司樂, 成均之法, 國之學政, 學式, 國子學生, 文武官, 子孫, 勳官, 縣公, 太學生, 曾孫, 有封者, 國子祭酒, 司業, 國子博士, 太學博士, 成均祭酒, 國子學, 司成舘, 祭酒, 大司成, 成均監,...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6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유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충렬왕 6년(1280)에 국자학생을 위해 최옹(崔雍) 등 7인을 경사교수(經史敎授)에 임명했고, 동 22년(1296)에 경사교수도감을 두고 7품 이상의 관인(官人)을 학습하게 하였다. 이러한 계속적 조처는 침체되었던 경사와 학술을 진흥시키려는 의도였다. 우리 나...이칭별칭유술|유도
고서·고문서(3)
- 강화현(江華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正僧俗四子▣▣挻出皆賢嗣▣長女早世次女配衛尉丞同正河適仁次女配尙食直長同正李自得後娶守司徒門下侍郞平章事判吏部事崔子英之女而生二男二女長子國子學生球次子及二女皆孩幼而未成人也⁄噫予與公自丱角之時同學於雞林朴氏及其登仕悲歡窮泰未嘗不與首尾四十有餘歲則知公之行狀惟我而已諸子亦知爲父之親舊請余爲銘不敢固辭...출처전거高麗墓誌銘集成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태종 하_011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 자치통감 권195, 정관 14년 2월 조(6152~6153쪽)에 따르면, 정축일 ‘親釋尊’에서 좨주 孔穎達이 孝經을 강론했고, 곧이어 國子監이 대대적으로 확충되었다고 한다. 국자학생은 大經(禮記ㆍ春秋左氏傳) 하나를 통과하면 補官되었고, 학사 1,200칸과 학생정원...권수구당서 권3 | 편명본기3 | 대표표제어태종 하_011
- 대종_007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가르침을 받을 곳이 없어 經을 짊어지고 와서 배우려면 마땅히 경사로 모인다. 그 宰相朝官ㆍ六軍諸將의 子弟가 학문을 익기고자 한다면 모두 國子學生에 충원하라. 그 가운데 자신이 비록 관직에 있으나 학문에 나아가 독서하고자 하는 자도 역시 들어주라. 그 學官은 中書門下에서...권수구당서 권11 | 편명본기11 | 대표표제어대종_007
주제어사전(1)
-
국자학생 / 國子學生 [교육/교육]
고려시대 국자감의 학생. 산학(算學)의 6개 전문학과로 나뉘어 학업을 닦았다. 이 가운데 앞의 셋은 모두 유교의 경전과 문학을 전공하는 것이었으나, 실제로는 학과의 구별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학생의 신분에 따른 구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