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국자조교”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국자감(國子監)의 관직. [내용] 성종 때에 국자감을 설치하면서 국자사업박사(國子司業博士)와 함께 를 두었고, 그밖에 대학박사(大學博士)ㆍ대학조교(大學助敎)ㆍ사문박사(四門博士)ㆍ사문조교(四門助敎) 등을 두었다. 조...
  • TD_L4_D_0033 撰送墓誌 사 奉使, 東來, 嘆服, 還朝, 搢紳, 能文者, , 稱揚, 讚美, 外國人, 下視 大明 祝孟獻, 陳璉 牧隱文集, 行狀, 碑陰記 D_13_04_135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13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1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문집 안아당집(安雅堂集)陳旅, 元 『安雅堂集』은 元代 陳旅(1288∼1343)의 문집이다. 陳旅는 元統 2년(1334)에 江浙儒學副提擧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 國子監丞 등을 역임하였다. 『安雅堂集』은 『陳衆仲文集』이라고도 하며, 현재 13권이 남아 있다....
    서명안아당집(安雅堂集) | 간행陳旅, 元 | 개요고려시대 관련 중국, 일본 사서
  • 문집 예부집(禮部集)吳師道, 元 『禮部集』은 元代 吳師道(1283∼1344)의 문집이다. 吳師道는 至治 원년에 進士에 올라 , 禮部郎中 등을 지냈으며 經學과 詩文으로 유명했다. 『禮部集』은 총 21권으로 詩 9권, 文 11권, 附錄 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명예부집(禮部集) | 간행吳師道, 元 | 개요고려시대 관련 중국, 일본 사서
  • 문집 세암집(蛻菴集)張翥, 元 『蛻菴集』은 元代 張翥(1287∼1368)의 시집으로, 총 5권이다. 張翥는 젊었을 때 揚州에 은거하였다가 至正 원년(1341)에 가 되어 관직에 나아갔고 후에 翰林學士承旨까지 올랐으며, 시인으로 유명하였다.『蛻菴集』은 張翥의
    서명세암집(蛻菴集) | 간행張翥, 元 | 개요고려시대 관련 중국, 일본 사서

고서·고문서(5)

  • 68928 B068928 동래 東萊 정치행정 太宗實錄 十一年(1411) 六月 태종실록_11106029_001 ○戊午 / 流戶曹參議李種善于東萊鎭。 初, 任君禮朝京師時, 於太僕少卿祝孟獻處, 受羊城ㆍ陳璉所製本國文靖公李穡碑銘以來, 獻之。 上覽之, 謂左右曰: “陳璉焉知...
    출처전거太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신라와 백제의 고구려 관련 피해 호소 및 당의 주자사(朱子奢) 파견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익혔으며 수 양제(煬帝) 대업(大業) 연간에 관직에 올랐다. 수가 멸망하자 사직했다가 당 고조 무덕(武德) 4년에 다시 입조하여 ()에 올랐다. 626년에는 사신으로 고구려·백제·신라에 파견되어 삼국 간의 화호(和好)를 권한 바 있다. 그 후 홍문관학사(...
    권차『冊府元龜』 卷1000 外臣部 讎怨 | 연도626년 | 기사해제본 기사는 626년 신라와 백제가 고구려의 조공로 차단 및 침입을 당에 호소하자 당이 주자사(朱子奢)를 파견하여 중재하려 한 내용을 전하는데, 『구당서』 고려전의 내용과 거의 동일하다.
  • 고구려가 당에 사신을 보내 사죄함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 新羅百濟高麗三國有宿仇 迭相攻擊 上遣朱子奢往諭指 三國皆上表謝罪 ① 『三國史記』 卷20 高句麗本紀8 榮留王 9년 九年 新羅百濟遣使於唐 上言 高句麗閉道 使不得朝 又屢相侵掠 帝遣散騎侍郞朱子奢持節諭和 王奉表謝罪 請與二國平 ② 『東國通鑑』 卷6 三國紀 高句麗 榮留王...
    권차『冊府元龜』 卷1000 外臣部 讎怨 | 연도626년 | 기사해제무덕 9년(626), 당이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어 신라, 백제와 화해하도록 하니, 고구려가 사죄하고 회맹시켜주기를 청하였다는 기록이다.
  • 게 황제 자리를 물려주었다. 황제를 높여 太上皇으로 하고 弘義宮으로 거처를 옮겨 太安宮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 해] 신라ㆍ백제ㆍ고려 세 나라는 오랜 원수[宿仇]여서 번갈아 서로 공격하였으므로 황제가 朱子奢를 보내 깨우치게[諭指] 하였는데, 세 나라가 모...
    권수구당서 권1 | 편명본기1 | 대표표제어고조_016
  • “十二月 癸酉,慮囚"(27쪽)라고 하여, 구당서의 ‘錄囚’와 차이가 있다. 자치통감 권192, 무덕 9년 是歲 조,“[武德 九年] 是歲, (중략) 新羅ㆍ百濟ㆍ高麗三國有宿仇,迭相攻擊;上遣朱子奢往諭指,三國皆上表謝罪"(6030쪽). *[겨울 12월에 [무왕이] 사신...
    권수구당서 권2 | 편명본기2 | 대표표제어태종 상_018

기타자료(2)

  • 당이 고구려에 주자사(朱子奢)를 보내고 신라·백제·고구려가 당에 사죄사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무왕 27/唐 武德 9/倭 推古 34) 신라 당→고구려, 신라·백제·고구려↔당 【번역】 (이해에) 신라·백제·고려 세나라가 오랫동안 원수가 되어 서로 번갈아 공격했는데 황제가 () 주자사를 보내 가서 타일러 지적하니 세 나라가 모두 표문을 올려...
    대표표제어당이 고구려에 주자사(朱子奢)를 보내고 신라·백제·고구려가 당에 사죄사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26년(丙戌/신라 진평왕 48 建福 43/고구려 영류왕 9/백제 무왕 27/唐 武德 9/倭 推古 34)
  • 당나라가 주자사를 보내 신라 및 백제와 화평하기를 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랫동안 원수가 되어 서로 번갈아 공격했는데 황제가 () 주자사(朱子奢)를 보내 가서 타일러 지적하니 세 나라가 모두 표문을 올려 사죄하였다. (󰡔資治通鑑󰡕 192 唐紀 8 高祖神堯大聖光孝皇帝 下之下) 【번역】 당 신라 백제 : 무덕 9년 사신을 보내...
    대표표제어당나라가 주자사를 보내 신라 및 백제와 화평하기를 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24년(甲申/신라 진평왕 46 建福 41/고구려 영류왕 7/백제 무왕 25/唐 武德 7/倭 推古 32)

주제어사전(2)

  • / [교육/교육]

    고려시대 국자감의 관직. 성종 때에 국자감을 설치하면서 국자사업박사와 함께 를 두었고, 그밖에 대학박사·대학조교·사문박사·사문조교 등을 두었다. 조교는 박사와 같이 교수요원으로 등급만 차이가 있었다.

  • 조교 / 助敎 [교육/교육]

    고려시대의 종9품 관직. 성종 때 국자감이 설치되면서 학관으로서 ·태학조교·사문조교 등이 처음 두어졌다. 그 뒤 문종 관제에서는 국자감의 조교가 모두 혁파되고, 1116년(예종 11)에는 서경의 분사국자감(分司國子監)에 정원 1인의 9품 관직으로 설치되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