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국자감시” 에 대한 검색결과 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8)

사전(7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행되었다. 그러나 는 지방의 향공(鄕貢)을 시험하여 향공진사(鄕貢進士)라고 하였는데, 향공진사라는 용례가 1031년 이전에도 자주 보여 그 기원은 현종 때부터 실시된 계수관시(界首官試)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 횟수는 『고려사』 선거지 ...
    이칭별칭진사과|감시|남성시|성시|남궁시|사마시|성균시|거자과|백자과|사부시|시부시|향공진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에 국자감에서 진사(進士)를 뽑던 시험.
    정의고려시대에 국자감에서 진사(進士)를 뽑던 시험.[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ukjagam si | MR표기Kukchagam 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E2_J_0082 관직 賦, 六韻, 十韻詩, 監試, 紅粉榜 高麗德宗 鄭功志 J_04_01_09 지봉유설 4권 1장 9절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김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는데, 이 때 이부ㆍ병부의 선발에 응한 자가 무려 수백명이었지만 한번 보고 그 이름을 다 기억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최우의 지시대로만 따른다는 비난도 받았다. 1237년에 대복시사로서 의 시관이 되었으며, 1242년에는 추밀원부사로...
    이칭별칭 문간(文簡)|효공(孝恭)
  • 삼례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儀禮)』를 소경(小經)으로 삼았다. 1136년(인종 14)에 제정된 학식(學式)에 빠진 것으로 보아 그에 앞서 폐지된 듯하다. 삼례업도 잡업의 다른 업과 같이 ()가 있어 일련의 체계를 이루었다. → 과거

고서·고문서(9)

  • 放榜日志喜【癸卯○元子定號,增廣監試初試,伯氏中兩場,仲氏以詩,余以經義,俱占解額。時共坐棣泉精舍,聞喜,書報家君】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1030 放榜日志喜【癸卯○元子定號,增廣監試初試,伯氏中兩場,仲氏以詩,余以經義,俱占解額。時共坐棣泉精舍,聞喜,書報家君】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
    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205년 장량수(張良守) 중서문하성 교첩(中書門下省敎牒)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희귀하다. 그 중 이 문서는 문서의 작성날짜, 형식, 글자체, 종이 등이 특이하여 눈길이 간다. 우선 예부시를 주관하는 ‘공원’이 적혀 있어서 예부시합격증서일 것 같지만, 문서의 작성날짜가 가 치러진 4월이라는 점에서 합격증일 수 있는...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홍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홍패 | 현소장처울진 월계서원
  • 4768 중국 필기 동재기사 001 기타 東齋記事 新羅 天聖中 新羅人來朝貢 因往書 是時 直講李畋監書庫 遺畋松子髮之類數種 曰 生芻一束 其人如玉 畋答以 某有官守 不敢當 複還之 曰 中心藏之 何日忘之 於是 使者起而折旋 道不敢者三 新羅箕子之國 至...
    국가중국 | 서명동재기사 | 왕대기타  
  • 3920 중국 정서 송회요집고 086 기타 宋會要輯稿 蕃夷 7之24 東齋記事 天聖中 新羅人來朝貢 因往書 是時直講李畋監書庫 新羅人遺畋松子 髮之類數種曰 生芻一束 其人如玉 畋答以某有官守 不敢當 復還之曰 中心藏之 何日志之 於是使者起而折旋道 不...
    국가중국 | 서명송회요집고 | 왕대기타  
  • 人事門3_科制本高麗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補試. 自毅宗, 始置試詩、賦、經義. 今之進士試, 卽也. 自德宗始置, 或稱成均試, 或稱南省試, 試詩、賦. 今制, 生員試, 只試經義, 而無詩、賦者, 有進士試故也. 新及第, 街路張樂, 自明宗始; 戴花張蓋, 自忠穆王始, 不獨此也, 特賜犀帶. 六經試義, 四書試疑, 亦自忠...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주제어사전(6)

  • / [역사/고려시대사]

    고려시대 국자감에서 진사를 뽑던 시험. 최종고시인 예부시를 보조하는 예비고시에서 비롯하였으며, 1031년(덕종 즉위년)에 처음 시행되었다. 그러나 는 지방의 향공을 시험하여 향공진사라고 하였다.

  • 명산업 / 明算業 [정치·법제/법제·행정]

    내용은 알 수 없으나 대체로 명산업의 출제과목과 일치할 것이다. 명산업의 는 산업감시라 하였다.

  • 삼례업 / 三禮業 [교육/교육]

    고려시대 과거 가운데 잡업의 한 과. 시험방법은 첩경과 독경으로 치렀는데 ≪예기≫를 대경, ≪주례≫와 ≪의례 ≫를 소경으로 삼았다. 1136년(인종 14)에 제정된 학식에 빠진 것으로 보아 그에 앞서 폐지된 듯하다. 삼례업도 잡업의 다른 업과 같이 가 있어

  • 이천 / 李蒨 [종교·철학/유학]

    ?∼1349(충정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1299년(충렬왕 25)에 에 급제하였다. 1344년(충혜왕 복위 5)에 지공거 박충좌와 함께 동지공거로서 진사를 뽑고 하을지 등 33인에게 급제를 주었다. 같은 해에 첨의평리 상의로 원나라에 가서 교사를 축하하고

  • 동진사 / 同進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및 조선 초기 문과 급제자의 등급 중 제술업에 급제한 사람의 등급. 고려시대의 문과는 크게 와 예부시로 나뉘었고, 예부시에는 제술업과 명경업이 있었는데, 이 가운데 제술업에 급제한 사람을 갑과·을과·병과 및 동진사로 구분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전시에서 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