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국유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8)
사전(56)
- 국유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국가가 직접 소유하고 관리하는 산림. [내용] 국유림이란 주로 산림청 소관이고 공유림은 도유림‧군유림을 말하는 것으로, 사유림과 함께 민유림으로 지칭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삼림이 소유형태에 의해서 확정된 것은 오래된 일이 아니다.
- 근대신어 : 린네(林尼)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5429 린네 라항 林尼 乾隆間瑞典國有林尼者 건륭 무렵에 스웨덴에 린네란 사람이 있었는데 續錄西學原流 漢城周報 53 博文局 1887 2 13 15 인명출전漢城周報[博文局]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조선유림연합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20년대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전국유림들의 친목 및 친일단체. [내용] 일명 조선유림전국총연합회라고도 한다. 1920년 7월 전국유림 50여 명이 서울 천도교중앙총부에 모여 조직하였다. 이들은 강령을 통하여 전국유림의 전통보전과...이칭별칭조선유림전국총연합회
- 근대신어 : 린네(林尼)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5427 린네 라항 林尼 瑞典國有林尼者以動植分類之舊說推陳出新 스웨덴의 린네가 동물을 분류하던 구법을 고쳐 새로운 법을 마련하였고 泰西文學源流考 漢城旬報 14 博文局 1884 2 1...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전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관리와 유생의 교육업무를 담당하게 하였으나, 교육제도의 변경으로 교육기관으로서의 업무가 없어지고 다만 문묘를 수호하기 위하여 직원을 두고 그 관리에만 국한하여 왔었다. 그러나 광복과 더불어 전국유림대회(全國儒林大會)의 결의로 새로 성균관의 직제가 변경됨에 따...
고서·고문서(29)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865년 이정두(李廷斗) 「향교동국유림기(鄕校東國儒林記)」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65년 경상도(慶尙道)현풍현(玄風縣)의 수령인 이정두(李廷斗)가 작성한 기문(記文)으로, 본 자료는 1914년 경상북도(慶尙北道)달성군(達城郡)으로 편입된 현풍향교에서, 1990년 필사본으로 간행한 『사적록(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향교동국유림기(鄕校東國儒林...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기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1913년 임학수(任鶴洙) 국유삼림산야약도(國有森林山野略圖)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913년 7월 6일 임학수가 국유림 전라남도 해남군 비곡면 사촌리 발양산을 측량하여 出題한 약도이다. 이 약도는 일제가 1911년에서 1917년까지 실시한 국유림구분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내용분류사회-지리-지도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 현소장처해남 장흥임씨 임창완
- 1913년 임학수(任鶴洙) 국유삼림산야약도(國有森林山野略圖)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913년 7월 6일 임학수가 국유림 전라남도 해남군 비곡면 사촌리 안산을 측량하여 出題한 약도이다. 이 약도는 일제가 1911년에서 1917년까지 실시한 국유림구분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내용분류사회-지리-지도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 현소장처해남 장흥임씨 임창완
- 1913년 임학수(任鶴洙) 국유삼림산야약도(國有森林山野略圖)3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913년 7월 6일 임학수가 국유림 전라남도 해남군 비곡면 사촌리 고암산을 측량하여 出題한 약도이다. 이 약도는 일제가 1911년에서 1917년까지 실시한 국유림구분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내용분류사회-지리-지도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 현소장처해남 장흥임씨 임창완
- 1913년 임학수(任鶴洙) 국유삼림산야약도(國有森林山野略圖)4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913년 7월 6일 임학수가 국유림 전라남도 해남군 비곡면 사촌리 경자산을 측량하여 出題한 약도이다. 이 약도는 일제가 1911년에서 1917년까지 실시한 국유림구분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내용분류사회-지리-지도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 현소장처해남 장흥임씨 임창완
신문·잡지(22)
- 유림들에게 경고하다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유림들에게 경고하다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조양보(朝陽報) 조양보(朝陽報)_1호 警告儒林 1906. 06. 25. 9~10 15 조양보사(朝陽報社) 대한제국 유림의 사회적 위치와 책무를 논하고 그 위치와 책무...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조선_1941_31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朝鮮に於ける國有林經營上の諸問題 井芹正 21 生産力擴充と國民敎育 近藤英男 30 感激の旅-半島農業婦人指導部隊の內地農村訪問 增田收作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1
- 조사월보_1932_03-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1 소화7년도상식성적 17 이민부락 23 소화6년국유림조림사업실행개요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2
- 조사월보_1934_05-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1 국유림조림사업실행개요 23 주류제조면허장수 39 소화8년소매물가조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4
- 조사월보_1932_03-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년도면실수고 7 소화6년특용작물실수고 11 소화5년도국유림조림사업실행개요 17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2
기타자료(1)
- 28. United Council of Confucianists in Korea (Chun Kuk Yu Rim Tong Yil Hoi):기록자료, 1946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ander Allied Powers, and United Nations Command 숙명여자대학교 1945년 모스크바 3상회의 결과에 대해 전국유림통일회의 지지 성명으로서 당시총무 민치환이 1946년 5월...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주제어사전(3)
-
국유림 / 國有林 [경제·산업/산업]
국가가 직접 소유하고 관리하는 산림. 국유림이란 주로 산림청 소관이고 공유림은 도유림·군유림을 말하는 것으로, 사유림과 함께 민유림으로 지칭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삼림이 소유형태에 의해서 확정된 것은 오래된 일이 아니다. 1997년 현재 우리 나라 국유림 총면적은
-
임야조사사업 / 林野調査事業 [역사/근대사]
1908년에는 '삼림법'을 제정, 공포하여 국유·민유의 구분에 의하여 대부분의 임야를 국유림화 한 사업. 1911년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창출된 국유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정리, 경영하기 위한 조처로서 '삼림령'을 발포하였다. '조선임야조사사업보고'의 실질적인 목적
-
공유림 / 公有林 [경제·산업/산업]
지방자치단체나 공공단체가 소유하고 있는 산림. 우리 나라 <산림법> 제3조에 보면 산림은 그 소유자에 따라 국유림·공유림·사유림의 세 가지로 구분되고, 공유림이란 지방자치단체나 기타 공공단체가 소유하는 산림으로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공유림이란 공공단체 또는 그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