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국어” 에 대한 검색결과 55,3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774)

사전(25,80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는 한 나라에서 공용어(共用語)로 인정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언어, 즉 국가어(國家語, national language). [와 국문] 국가어의 개념은 유럽에서 근대국가의 성립과 함께 형성되었다. 각국이 정서법(正書法)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춘추시대 8국의 역사를 나라별로 적은 책.
    정의중국 춘추시대 8국의 역사를 나라별로 적은 책.[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ugeo | MR표기Kug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나라의 국민이 쓰는 말.
    정의한 나라의 국민이 쓰는 말.[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ugeo | MR표기kug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2_J_0017 사서·역사학 文字, 高古, 稱美, 聖人, 稱善 盛唐 陸放翁, 堯舜禹湯, 成雙泉汝學 吳越等篇 J_08_01_01 지봉유설 8권 1장 1절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8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 문헌 한국 조선 세종 성낙수 박종국 2014 좌구명(左丘明) 1440년(세종 22) 21권 6책 규장각 [정의] 춘추시대(春...

단행본(121)

  • 손에 잡히는 한교육학개론 [베트남의 한국학 발전을 위한 교육연구 체계 구축 | VNU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Hanoi)]
    저자 : 이해영 외 ... | 출판사 : Hong Duc 출판사 | 출판일 : 202301
    좋은 한국어 교사가 되고 싶다는 바람으로 한국어 교육의 출발선에 선 이들은 너무 나도 당연한 물음에 고민하게 된다. 한국어를 잘 가르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한국인이면, 또는 한국어를 잘하기만 하면 한국어를 잘 가르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을 풀어 가기 위해서 저...
  • [Korean Course Book on the Basis of CEFR | Ankara University]
    저자 : M.Ertan Gokmen(한국외국어대학교), S. Yesim Ferendeci(한국외국... | 출판사 : Ankara University | 출판일 : 2013.10.
    유형단행본
    머리말 한와 한글 한글 자모 1과 소개 2과 일상생활 3과 내 주변 4과 어제와 오늘 5과 음식
  • 분야별 한학 용어집 [베트남의 한국학 발전을 위한 교육연구 체계 구축 | VNU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Hanoi)]
    저자 : Tran Thi Huong, Do Phuong Thuy, Le Hai Yen,... | 출판사 : MC Books | 출판일 : 202105
    저서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어 학습자 및 연구자에게 한국어의 언어학적 용어의 정의 및 용법, 그리고 필요 시 예문도 같이 제시·분석한다. - 저서의 구성: +제1장: 음운론 +제2장: 어휘론 +제3장: 문법론 +제4장: 통사론 +제5장: 화용론
  • 문법사전. Dictionar de gramatica coreeana (E-BOOK) [Babeş-Bolyai (바베쉬-보여이) 대학의 한국어-문화 교육을 위한 교과 과정의 향상과 교육 교재 | Universitatea 'Babesbolyai' Cluj-Napoca]
    저자 : 곽동훈 ... | 출판사 : Presa Universitara Clujeana | 출판일 : 202008
    막바지 작업 중에 있는 이 교재는 루마니아 내 모든 수준의 한국어학습자 뿐만 아니라 한국어교육자에게도 꼭 필요한 한국어 문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사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한국어 학습자들 못지않게 한국어 문법을 가르치는 것에 대해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육자...
  • 저자 : Maharramova Narmin, Konul Kamilzade, 최권진, 남... | 출판사 : Sim-Sim | 출판일 : 202307
    본 저서에서는 아제르바이잔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이 예문으로 설명되어 있다. 설명 다음에는 학습자들을 위한 연습문제도 제시되어 있다. 본 저서는 아제르바이잔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공부하는 데에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논문(128)

고서·고문서(10,869)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흑룡강성(黑龙江省) 대경시(大庆市) 장철장학교 2 2 , 쓴, 화보, 노래집, 미술, 부쳐, 감사, 나, 관심,...
    대표표제어국어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광동성(广东省) 심천시(深圳市) 중국국제여행사 2 2 , 방송국, 고국, 경제, 생활, 방면, 잡지,
    대표표제어국어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강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왕청현(汪清县) 연변적위구김여 2 2 , 대사전, 문예,
    대표표제어국어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정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심양의학원 1 1 , 표달, 편지, 원나라, 수령, 정확, 한문, 중...
    대표표제어국어 | 성씨
  • 30145 B030145 수산물 『玆山魚譜』 卷二 無鱗類 海豚魚 海豚魚 ... 江猪 一名水猪 玉篇 [魚+尃]䱐魚(亦云䲕魚) 一名江豚 天欲風則湧 今尙光魚之出游 舟人占其風雨 此卽是也 又說文云 名 出樂浪潘國 一曰出江東 有兩乳 類篇云 䱡[魚+尃]也 此亦海豚魚也...
    출처전거『玆山魚譜』 卷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393)

  • 를 배우게 된 사연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타지키스탄 20180516_002_001_타지키_03_무나바르_LS_한를 배우게 된 사연 생애담 한를 배우게 된 사연 2018. 05. 16(수) 오후 서울시 광진구 화양동 건국대학교 무나바르 [타지키스탄, 여, 1995년생, 유학 2년차] 조사자 4인 오정미
    국가타지키스탄 | 제보자무나바르 [타지키스탄, 여, 1995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인도어와 한의 비슷한 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인도 20181226_002_015_인도_03_파드마_E_인도어와 한의 비슷한 점 민속·문화 인도어와 한의 비슷한 점 2018. 12. 26(수) 오후 서울시 광진구 화양동 파드마바티차크라바르티 [인도, 여, 1992년생, 유학 2년차] 조사자 포함 5인 신동
    국가인도 | 제보자파드마바티차크라바르티 [인도, 여, 1992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2018_043_중국A_01_유연 유연 중국 유연 [중국, 여, 1981년생, 결혼이주 4년차] 유연 제보자는 처음에 한국에 교환학생으로 왔고, 당시에 아르바이트로 한국 대학생에게 중를 가르쳤다. 그때 중를 배우는 학생의 친구가 현재 남편이고 장거리 연애 끝
    원국적중국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에스토니아_마레트루드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에 되지 않지만 어릴 때부터 K-POP을 듣다가 한를 배우고 싶어져서 인터넷 등을 활용해 한와 문화를 배우게 되었다. 제보자는 한를 고급 수준의 발음과 어휘로 구연을 했다. 자신이 어린 시절 읽거나 들었던 옛이야기를 한로 정리하며 외웠다고 했다. 자신이
    원국적에스토니아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혼하였다. 네팔에서 포타나가 고향인 어디갈디걸퍼나 제보자는 한로 대화가 가능하지만, 설화를 구술할 만큼 한가 유창하지 않다. 그래서 주로 청자의 입장에서 스레스탄 졸티 제보자의 구술을 돕고 조력자 역할을 하였는데, 네팔 문화와 관련하여 한 편을 주도적으로 구술하
    원국적네팔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4,419)

  • 연어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근석, 게재일 : 2006
    11538 임근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문학과 2006 한 연어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로서의 한 문법 교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재욱, 게재일 : 2003
    10803 김재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이중언어학회 2003 외로서의 한 문법 교육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와 중의 수량표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인균, 게재일 : 2005
    11273 김인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시학과언어학회 2005 한와 중의 수량표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와 한의 引喩法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9022 한국연구재단 중국학연구회 2010 중와 한의 引喩法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로서의 한 교재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금현, 게재일 : 2000
    11578 문금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이중언어학회 2000 외로서의 한 교재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
    유형논문 | 게재일2000

신문·잡지(7,662)

  • 統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쳥국학부에셔 젼국 인민의 언어를균일게 갈아치기위야 각학교에 과를 셜치고 북경말을 학습케기로 결뎡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4월 3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민세안재홍전집 : 朝鮮人과問題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095 1925 5 28 2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朝鮮人과問題 신문 조선일보 1면1단조간 사설 교육 직접자료 1권 問題, 朝鮮語, 敎育用語 A19250528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학교규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뎨일관 총측 뎨됴 외학교 관졔로 외국말을 치되 외국말에 인야 보통학도 치며 한문으로 글닉고 짓고 본국력 디지도 치고(뎨이됴 일 영어 법어 아어 한어 덕어등학교를 분교야 두고(뎨삼됴 슈학년한은 일어 한어 삼년 영 법 아 덕어 오년으로 뎡고...
    게재일1900년 7월 6일 | 기사분류기타
  • 와 국문의 필요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와 국문의 필요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2호 와 국문의 필요 1907. 01. 01. 잡조 39 118~120 주시경 대한제국 와 국문의 필요성에 대해 논한 글 , 국문, 글, 형...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2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現代國文學精選刊行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378 1946 9 12 1 1 現代國文學精選刊行 高等의國文學敎材로 신문 동아일보 2면 5단 기사 문화 간접자료 선집외 中央文化協會, 國文學, 國文學, 現代國文學精選 A19460912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멀티미디어(3,925)

  • 의 어종과 한_2주차_1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 2주차. 한의 어종과 한 3주차. 한 고유어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 속 외래
    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_2주차
  • 의 어종과 한_2주차_2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 2주차. 한의 어종과 한 3주차. 한 고유어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 속 외래
    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_2주차
  • 의 어종과 한_2주차_3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 2주차. 한의 어종과 한 3주차. 한 고유어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 속 외래
    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_2주차
  • 의 어종과 한_2주차_4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 2주차. 한의 어종과 한 3주차. 한 고유어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 속 외래
    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_2주차
  • 의 어종과 한_2주차_5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 2주차. 한의 어종과 한 3주차. 한 고유어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 속 외래
    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_2주차

연구결과보고서(13)

기타자료(1,439)

  • 와 교육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와 교육 와 교육 와 敎育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총류 교육론 잡지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조윤제 | 사료철명조선교육
  • 정화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정화안 정화안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교육과정 교과교육 잡지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문교부 | 사료철명신교육건설
  • 교육 소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 소감 교육 소감 敎育 小感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잡지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병제 | 사료철명조선교육
  • 실용 교육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실용 교육론 실용 교육론 實用 敎育論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창균 | 사료철명교육연구(중앙대학교)
  • 교육의 목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의 목표 교육의 목표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총류 교육론 잡지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전정식 | 사료철명부산교육

연구과제(231)

주제어사전(384)

  • / [언어/언어/문자]

    는 한 나라에서 공용어(共用語)로 인정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언어, 즉 국가어(國家語, national language). 국가어의 개념은 유럽에서 근대국가의 성립과 함께 형성되었다. 각국이 정서법(正書法)과 표준어(標準語)를 제정하였고, 이를 국민에게 가르치는

  • 고대 / 古代 [언어/언어/문자]

    사의 시대 구분에서 중세에 앞서는 가장 이른 시대의 . 첫째, 가장 넓게 보아 고대는 위에 든 여러 나라의 언어를 포괄하는 것으로 본다. 둘째,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언어를 포괄하는 것으로 본다. 셋째, 좁게 보아 신라의 언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 교육 / 敎育 [언어/언어/문자]

    를 올바르게 익혀 일상적인 언어생활을 원활히 하고, 인격을 형성하며 국민문화의 전승, 창조와 개선에 이바지하게 하는 교육. 교육은 가정이나 학교·사회에서 두루 행해지고 있는데,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로 나눌 수 있다. 가정에서 태어나 자라는 동안에 어머니

  • 독본 / 讀本 [교육/교육]

    1907년 학부 편집국에서 초등학교의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8권 8책. 활판본. 국한문 혼용체. 재판 이후는 책명 앞에 작은 글자로 ‘보통학교학도용’이라는 말을 붙여 발행하였다. 1906년에 공포, 시행된 「보통학교령」에 따라 처음으로 발간된 교과서

  • 문법 / 文法 [언어/언어/문자]

    학자 주시경(1876-1914)이 의 문법 및 특징을 기술하여 1910년에 간행한 문법서. 118면. A5판. 1910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간행되었다. 『조선어문법 朝鮮語文法』이라는 이름으로 바꾸어 1911년과 1913년에 다시 펴내기도 하였다.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