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국신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반전도감
연구성과물(2)
사전(1)
- 국신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연(赴燕) 행차가 잦았던 만큼 상당 기간 존속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정확한 설치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대몽항쟁 직후인 원종 때부터 그 존재가 확인되는데, 충렬왕 초년까지는 국신도감으로 불리다가, 충렬왕 15년을 전후해서는 국신색(國贐色)이라 하였다. 이후 1...
고서·고문서(1)
- 東國歷代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卒文本姿貌魁梧性沉重高倨不苟俯仰有大臣體○冬十二月時人有投匿名書言貞和宮主呪咀公主金方慶等謀不軌於是囚宮主及方慶等雜問之柳璥力辨乃釋 三年[宋端宗景炎二年○日皇後宇多三年○西歷紀元後一千二百七十七年]春二月都兵馬使言國用殫竭請令人無功及不次而求官者科等歛銀納國贐都監王從之○秋七月先是王好田獵且以進鷹...서명東國歷代史略 | 자료명高麗紀
주제어사전(1)
-
국신도감 / 國贐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에 설치된 임시관청. 국왕과 세자가 몽고에 친조하러 갈 때 드는 여비 및 조공 물자의 조달을 주관하였다. 그런 점에서 반전도감과 똑같은 기능을 지닌 관서이다. 임시관청이라고는 하나 국왕이나 세자의 부연 행차가 잦았던 만큼 상당 기간 존속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