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국새” 에 대한 검색결과 1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6)

사전(7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왔다. 우리 나라의 경우 고려‧조선 시대에는 국인(國印)‧새보(璽寶)‧어보(御寶)‧대보(大寶)라 하여 왕의 인장이 로 간주되었다. 이것은 국왕의 권위와 정통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대‧교린의 외교 문서 및 왕명으로 행해지는 국내 문서에 사용되었다. 왕...
    이칭별칭어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권의 상징으로 국가적 문서에 사용되던 인장(印章).
    정의국권의 상징으로 국가적 문서에 사용되던 인장(印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uksae | MR표기kuks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옥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옥새로 불렀다. 여기에는 ‘濊王之印(예왕지인)’ㆍ‘高麗國王之印(고려국왕지인)’ 혹은 ‘朝鮮國王之印(조선국왕지인)’ 등의 인문을 새겼다. 1897년(광무 1)에 대한제국이 수립되면서 비로소 진정한 의미의 옥새를 제작, 사용하였는데 그 인문에는 ‘大韓(대한...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인(官印), 어보(御寶), 책봉인(冊封印) 국인(國印), 대보(大寶), 새보(璽寶), 어새(御璽), 옥새(玉璽) 고명(誥命), 국왕문서(國王文書), 국왕신보(國王信寶), 국왕행보(國王行寶), 군주어새(君主御璽), 대조...
    하위어관인(官印), 어보(御寶), 책봉인(冊封印) | 동의어국인(國印), 대보(大寶), 새보(璽寶), 어새(御璽), 옥새(玉璽) | 관련어고명(誥命), 국왕문서(國王文書), 국왕신보(國王信寶), 국왕행보(國王行寶), 군주어새(君主御璽), 대조선국보(大朝鮮國寶), 대한국새(大韓國璽), 수명새(受命璽), 전국새(傳國璽),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 조선왕보(朝鮮王寶), 황제어새(皇帝御璽), 황제지보(皇帝之寶), 황제지새(皇帝之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초주검이 되도록 얻어맞았다. 그가 주막에 가서 술을 퍼마시고 새벽에 돌아왔을 때 남순은 목매어 죽은 시체로 변해 있었다. 지난 몇 달 동안의 일을 되새기며 아내의 무덤 앞에 놓았던 밥을 막 먹으려 할 때에 어디에선가 쑥 소리가 들렸다. 쑥에 얽힌 슬픈 옛...

단행본(1)

  • 와 어보 [조선시대 왕실문화의 상징코드 | 경상대학교]
    저자 : 성인근 ... | 출판사 : 현암사 | 출판일 : 20180725
    국가와 국왕의 인장이라 할 수 있는 국새와 왕실의 의물인 어보는 왕권의 신성함과 왕실의 권위를 나타낸다. 이 책은 국새와 어보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망라하면서 각각의 제작 방식을 알아보고 거기에 부여된 상징성을 깊이 있게 살펴본다. 그간 학계에서는 한국 ...

고서·고문서(65)

  • 05990 창가 新流行唱歌 22057 1922년2월25일 초판, 1923년11월25일 재판, 1929년 3판. 李尙俊 三誠社 李尙俊 金鎭浩 법 〈mn〉오선보 있음〈/mn〉 〈#18〉 [ 一, ] 뒷동산 법국이 밧갈기 촉코 압
    구분창가 | 편저자李尙俊
  • 07153 창가 表情遊戱唱歌集 第一輯 22105 1936년 李榮甫 中央保育學校 小林軍太郞 朴英均 壹円 뻑 〈mn〉오선악보 있음〈/mn〉 〈#3〉 아츰 해가 빛외네 매화나무 가지에 저게 들녀오네 뻐꾹 뻐꾹 뻐꾹 뻐꾹 뻑뻑뻑국
    구분창가 | 편저자李榮甫
  • The Cuckoo[뻑]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9038 창가 新編聖歌 合唱曲集 22173 1936년 朴泰鉉 基督靑年勉勵會朝鮮聯合會 安大善 原口久美 八十錢 The Cuckoo[뻑] 〈a〉정상녹 역〈/a〉 〈m〉German Folk Song〈/m〉 〈mn〉오선보〈/mn〉 ...
    구분창가 | 편저자朴泰鉉
  • 公文雑纂・明治四十四年・第十六巻・逓信省・朝鮮総督府、会計検査院、府県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2025682015202568_004 公文雑纂・明治四十四年・第十六巻・逓信省・朝鮮総督府、会計検査院、府県 旧韓国大韓外七顆及右進献ニ関スル朝鮮総督上表ノ件 구한국 대한 외 7과와 진헌에 관한 조선총독 헌상의 건 국립공문서관 本館-2A-01...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12. 08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찬란타― 뻑국 뻑국 뻑뻑국 뻑국뻑국 뻑국― 그리웁다 뻑야 뻑국―뻑국 뻑국― 그리운 뻑야― 치운 겨울을 따듯한 곳에서― 평안하게 맘대로 쉬고― 네 목소래를 가다듬어서 따듯한 봄 도라오기를 고대고대 하고잇다가 갓던 봄철 또 다시―도―라―오니― 너―도 나래 펴고 또...
    구분창가 | 편저자洪蘭坡

구술자료(8)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산에서 풀국새 소리를 흉내 내며 부르는 노래가 있지 않느냐고 물으며, 풀국새 노래를 해보라고 하자 제보자가 말로 노래를 설명하듯 이 했다.
    조사일시2009.07.26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삼산리 뇌산마을 | 제보자배을님(여,90세)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어렸을 때 산에 가서 버꾸기나 산비둘기 소리를 흉내내며 부르는 노래를 유도하자, 제보자가 이 노래를 했다. 처음에는 읊조리듯이 했 는데, 조사자가 노래로 다시 불러 달라고 요청해서 했다. 풀국새는 뻐꾸기를 지칭하는 경남 방언이다.
    조사일시2009.01.19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도북리 도북마을 | 제보자권오현(남,74세)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앞의 두꺼비집 짓기 노래를 부른 다음, 조사자가 뻐꾸기나 산비둘기 소리를 듣고 어렸을 때 부르는 노래를 불러달라고 하자 제보자는 이 노래를 했다.
    조사일시2009.02.08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금반리 금반마을 | 제보자표상림(여,71세)
  •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새댁 시절에(20세경)시어머니와 무명을 자으면서 시어머니가 시집살이에 관한 얘기를 하다가 들려주셨다고 한다. 시어머니 고향은 무주군 용담이었다고 한다. *
    조사일시1980-01-29 | 조사장소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 제보자송만성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배석분 제보자의 성주풀이가 끝이 나자 조사자가 산에서 산비둘기나 뻐꾸기 소리를 흉내내는 소리를 하지 않았느냐고 좌중에게 물었다. 그러자 제보자가 이렇게 소리했다고 하면서 노래를 했다.
    조사일시2010. 7. 6(화) | 조사장소부산광역시 남구 대연6동 부연경로당 | 제보자문강미자

신문·잡지(10)

  • 출판경찰보 051호 Peking & Tientsin Times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기재 Peking & Tientsin Times 「()의 파수군, 선통제(宣統帝)의 우울한 한탄」이라는 제목의 반일 허구 기사 때문에 금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선문대학교 문한별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51호 Peking & Tientsin Times | 출판물명Peking & Tientsin Times 제7722호
  • 새마을 국력신장운동으로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2) 새마을운동 새마을 국력신장운동으로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3년 11월 3일 경향신문사 경향신문 기사/사설 3 해당 기사에 따르면, 전마을지도자대회 중 전두환 대통령은 향후 새마을 운동 전개방향에 대해, 첫째, 국력신...
    대표표제어새마을 국력신장운동으로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경향신문사 | 출처경향신문 | 키워드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 국력신장운동, 범국민운동, 경제적 안정, 국력
  • 전대통령치사 새마을 운동 민주주의실천 도장으로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2) 새마을운동 전대통령치사 새마을 운동 민주주의실천 도장으로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0년 12월 10일 매일경제사 매일경제신문 기사/사설 2 해당 기사에 따르면, 전마을지도자대회에서 전두환 대통령은 치사를 통해 국민각자...
    대표표제어전대통령치사 새마을 운동 민주주의실천 도장으로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매일경제사 | 출처매일경제신문 | 키워드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 민주주의의 실천도장, 행정주도, 민간주도, 소득증대, 복지마을
  • 심산속의 주막집 김성룡 39 창망한 시각 황영성 47 뻐의 울음소리 외2수 강효삼 56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5
  • D에게 백진 39 방향 뻐 40 독백 정미숙 41 악의...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2

멀티미디어(2)

  • 마을지도자대회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이 뉴스는 박정희 대통령이 새마을운동에 공이 많은 새마을지도자들에게 훈장을 수여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새마을운동이 소득증대에 역점을 두고 진행되어야 한다는 박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어서 서울, 경기도 수원, 강원도 춘천, 충북 청주, 충남 대전, 전북 전주, 전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4년 12월 21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이런 일 저런 일(전마을여성경진대회)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제8회 전국 기능공 경기대회가 서울에서 열렸다. 한독부산직업훈련원이 새로 개원되었다. 개원식에서 김종필 총리가 치사를 하였다. 경복궁에서 전국 새마을 여성 경진대회가 열렸다. 경진대회에 참가한 여성들이 작품을 만들고 있다. 육영수 여사가 대회 우승자에게 트로피를 전달하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3년 11월 3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1)

  • 71. 이토 후작의 귀국. 광산 및 이민 관련 규정들의 채택. 구류(拘留) 상태의 황궁과 황제-모의의 끝.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것이었습니다. 6월 23일의 보고서에서 말씀드렸듯이, 궁궐을 빠져나가다가 체포된 김성문이 황제의 가 찍힌 명령문, 상당액의 돈, 그리고 황제의 사절임을 나타내는 배지들 등을 지니고 있었던 사실을 잊을 수는 없었습니다. 이토 후작은 이에 대해 군주와 왈가왈부하고 싶지...
    집필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7월 13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프랑스 외무부 장관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9)

  • / [역사/조선시대사]

    에는 국인(國印)·새보(璽寶)·어보(御寶)·대보(大寶)라 하여 왕의 인장이 로 간주되었다. 이것은 국왕의 권위와 정통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대·교린의 외교 문서 및 왕명으로 행해지는 국내 문서에 사용되었다. 왕위 계승 시에는 전국(傳國)의 징표로 전수되었다. 또,

  • 오스트리아 파견 특명전권공사 閔泳翊 신임장 / [정치·법제]

    고종이 민영익을 특명전권공사로 삼아 오스트리아 및 보헤미아와 헝가리 수도에 주차하게 해 양국 간 교섭에 관한 일을 주관하게 하겠다는 내용으로 오스트리아 황제 겸 보헤미아 군주, 헝가리 전교군주에게 보내기 위해 작성한 신임장. 고종의 친필 서명과 '대조선(大朝鮮

  • 조선 주차 영국 총영사 朱邇典 인가장 / [정치·법제]

    말미에 '대조선(大朝鮮)'라고 새긴 가 찍혀 있다.

  • 프랑스 파견 특명전권공사 閔泳瓚 신임장 / [정치·법제]

    고종 황제가 민영찬을 특명전권공사로 삼아 프랑스 수도에 주차하게 해 양국 간 교섭에 관한 일을 주관하게 하겠다는 내용으로 프랑스 대통령에게 보내기 위해 작성한 신임장. 고종의 친필 서명과 '대한(大韓)'라고 새긴 가 찍혀 있다. 1902년(광무 6) 2월

  • 미국 파견 특명전권공사 徐光範 해임장 / [정치·법제]

    서광범 해임장. 고종이 특명전권공사로 미국 수도에 가 있던 서광범의 해임을 미국 대통령에게 알리기 위해 작성한 해임장이다. '대조선국보(大朝鮮國寶)'라고 새긴 가 찍혀 있다. 1896년(건양 1) 7월 16일에 작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