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국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6,9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390)
사전(16,581)
- 송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37년 다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별집 3권 1책을 간행하여, 전체가 천(天)‧지(地)‧인(人) 9권 3책인 현행본을 완성하였다. 그의 저술로서는 이 문집 외에 『동국사략(東國史略)』 2권이 있다. [서지적 사항] 원집 3권 1책, 속집 3권 1책,...
- 강릉관음리오층석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지 기록에 ‘안국사(安國寺)’라는 절 이름이 보이므로 이곳을 안국사지로 추정하고 있다. 옛 절터에는 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5층석탑과 석불의 대좌 등 몇 개의 석조물이 남아 있으며 주변에서는 여러 종류의 기왓장이 수습되었다. 이 가운데 ‘安國...이칭별칭관음리오층석탑 | 연계항목강릉관음리오층석탑(江陵觀音里五層石塔)
- 충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183(명종 13). 고려 후기의 승려. [내용] 의종의 아우인 현오국사(玄悟國師)으로부터 득도(得度)하였다. 1178년 흥왕사(興王寺)에 있을 때 승려들과 역모를 모의한다는 밀고가 있어 조사를 받았으나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 1...
- 청소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변(辨) 3편, 책(策) 5편, 잡저 11편, 제문 9편, 축문 3편, 묘지명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끝에 아들의 문집인 『국사유고(菊史遺稿)』가 첨부되어 있다. 시에는 「우중연구(雨中聯句)」‧「매화연구(梅花聯句)」‧「송병연구(松屛聯句)」 등의 연작시...
- 쌍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평장한 뒤 절 이름을 옥천사(玉泉寺)라 하였다. 그 뒤 840년(문성왕 2)에 진감국사(眞鑑國師)가 중국에서 차(茶)의 종자를 가져와 절 주위에 심고 대가람을 중창하였다. 정강왕 때 쌍계사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벽암(碧巖)이 1632년(...이칭별칭옥천사(玉泉寺)|지리산쌍계사
단행본(49)
- 한국사 [파라과이 내 한국학 교육 인재 양성사업 | Instituto Superior de Educación Dr. Raúl Peña]저자 : 성유저 ... | 출판사 : 곰비북스 | 출판일 : 20210531이 책은 한국어를 공부하고 한국사를 알고 싶어 하는 스페인어권 학생들을 위한 책으로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연구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한 국가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역사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역사가 쌓이고 쌓여 문화의 큰 맥을 이루기 때문이다. 그 큰 맥...
- 한국사 2 [알타이 문화권을 역류하는 한국학의 새 물결 - 터키어권 인근 국가의 대학 연계를 통한 한국학 연구·교육 시스템 구축 - | Erciyes University]저자 : 이정혜 ... | 출판사 : Anadolu Kitabevi | 출판일 : 202201Tarih ve kültür, bir ülke veya milletin eşsiz kimliğini anlamanın temelidir. Bir dili öğrenmek için yalnızca kelime ve dilbilgisi bilmek yetmez aynı...
- 한국사 1 [알타이 문화권을 역류하는 한국학의 새 물결 - 터키어권 인근 국가의 대학 연계를 통한 한국학 연구·교육 시스템 구축 - | Erciyes University]저자 : Jung Hye Lee ... | 출판사 : Nantu | 출판일 : 202101Tarih ve kültür, bir ülke veya milletin eşsiz kimliğini anlamanın temelidir. Bir dili öğrenmek için yalnızca kelime ve dilbilgisi bilmek yetmez aynı...
- 한국사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저자 : 마르트노브 드미뜨리, , 고영철조이옥 ... | 출판사 : 카잔연방대 | 출판일 : 20201207이 책은 카잔연방대학교 한국학중핵사업단이 2016년부터 역점을 두고 추진한 사업의 결과로 2020년12월7일 카잔연방대학교 출판부에서 발간되었다. 카잔연방대는 한국학 연구의 일환으로 한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집대성한 한국사 교과서 편찬계획을 수립...
- 완역 택극학보 1 (대한제국기 번역총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저자 : 신지연, 이남면, 이태희, 임상석, 최진호 ... | 출판사 : 보고사 | 출판일 : 20201110발간사 일러두기 『태극학보』해제 태극학보 제1호 강단 학원 태극학보 제2호 강단 학원 잡보 태극학보 제3호 강단 학원 잡록 태극학보 제4호 강단·학원 잡보 태극학보 제5호 강단·학원 잡보
논문(13)
- 唐과 新羅의 ‘赦’ 기사 비교 검토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저자 : 정병준 | 게재정보 : 중국사연구
- 한국사회의 초불 시위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김광희 | 게재정보 : 동강학간유형논문
- 신조어를 활용한 한국 사회‧문화 지도방안 [중국 화남지역 한국학 교육연구 특성화 및 플랫폼 구축 | 吉林大学珠海学院]저자 : 양동훈 | 게재정보 : 한국어 교수와 연구
- 발해의 일본 行路와 出羽ㆍ北陸ㆍ山陰의 고대교통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구난희 | 게재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7세기대 한・중 사서의 교류 기사 검토-『삼국사기』와 『구당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저자 : 김덕원 | 게재정보 : 신라사학보
고서·고문서(6,621)
- 국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국사 남 남자 경상북도 포항시 길림성(吉林省) 교하현(蛟河县) 오림공사 팔가자대대 2 2 국사, 밧뿌스지만, 방송...대표표제어국사 | 성씨남
- 국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국사 리 남자 충청북도 영동군 길림성(吉林省) 서란현(舒兰县) 영안대대 1 1 국사, 다망, 이모, 외할아버지,대표표제어국사 | 성씨리
- 국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국사 정 여자 전라남도 목포시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우홍구(于洪区) 해방향 광명촌 2 1 국사, 분...대표표제어국사 | 성씨정
- 국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국사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녕안현(宁安县) 발해진 강서촌 2 1 국사, 도모, 분망, 뜨...대표표제어국사 | 성씨김
- 김부식의 [삼국사기]를 한국학의 주요자료로 여겨 영인출판한 것이다.자료구분문헌 | 저자朝鮮古書刊行會(編) | 출처朝鮮群書大系[正] 제1집 | 발행년도1909
구술자료(171)
- 국사봉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2-01-08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 제보자권대도
- 호국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0-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 제보자박순복
- 국사봉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그가 사는 기시시의 국사봉에 대한 전설을 이야기해 주었다. 이 전설은 전에 들은 적이 있으나 다른 점이 있나 하고 녹음하였다. 전에 조사한 것과는 다른 점이 있었다."제보자는 옆에 친구도 있지만 녹음된다는 것에 더 관심을 쏟는 것 같았다. 그리고 이야기에...조사일시1980-06-18 | 조사장소충청남도 당진군 대호지면 | 제보자백광수
- 국사봉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역이나 지명 전설에 대해 물으니, 아래의 내용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04.03 | 조사장소충남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2구 신두로 334번지 | 제보자김완곤
- 예국사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0-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 제보자정문석
기초학문(2,960)
- 한국사회와 학생운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문성, 게재일 : 200310787 최문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03 한국사회와 학생운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유형논문 | 게재일2003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성복, 게재일 : 201239488 박성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행정학회 201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미국의 자국사 교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지원, 게재일 : 200400519 이지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교육연구회 2004 미국의 자국사 교육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ed27유형논문 | 게재일2004
- 한국사상사학의 성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69131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사학회 2016 한국사상사학의 성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유형논문 | 게재일2016
- 한국사회의 가족주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황직, 게재일 : 200309685 이황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이론학회 2003 한국사회의 가족주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8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8,941)
- 민세안재홍전집 : 凡人과 國士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240 1926 12 29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凡人과 國士 신문 조선일보 1면1단 석간 사설 사회 직접자료 5권 凡人, 國士 A19261229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國事日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각대신들이 근일졍부에 일이인이 회동야 참졍대신과 국계상 무삼문졔를 의론데 국가 졈졈견졔가되여 글너가되 엇지 교구슈가 업지라 가 신산야 론다가 각기탄식만고 퇴츌다더라게재일1906년 10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國事△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츄원의관을 한셩부윤 관찰가 쳔망야 챠츌키로 엇그졔 쟝뎡고 한번도 실시업시 다시 뎡니 이거시 아들 작란인가 졍부에셔 일난거신가 각부대신 잘못면 견다 쟝뎡낸지얼마나되얏스며그누구견나 그역시 물시니 졍부대신 긔네 잘못도 무방토록 나라일은 잘잘못...게재일1906년 1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國事親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부 각대신의 칙임을 친으로 승차라 쳐분을나리샤 이친임은 벼살을친임이 안이라 국사를 친임이니 졔대신이 단톄되야 려졍도치을 긔어히 실효가잇게라 압셧다더라게재일1906년 3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國師立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에 일인이 남 봉화 국당압헤 표목을 셰우고 긔발에 한국쥬챠군령부라하야 달앗다더라게재일1904년 11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3,099)
- 당진 안국사지 l6-0168_#1 유구 원색사진1.안국사지 전경(남에서) 2013-12-17_0.6702997_원색사진1.안국사지 전경(남에서).jpg l6-0168_#2 유구 도면4.안국사지 조사 현황도 2013-12-17_0.제목당진 안국사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영동 영국사 h2-0209_#1 유구 도판4.유적 전경(북쪽에서) h2-0209_1_2015-05-22_8048_도판4.유적 전경(북쪽에서).jpg h2-0209_#2 유구 도면1.유적 평면도 h2-0209_2_2015-05-22제목영동 영국사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인하대학교(국제관계연구소https://k-road.kr/) 한국사회와 정체성 한국사회와 정체성 민주주의는 시민의 참정과 권리 보장을 강조한다. 그러나민주주의는 ‘보편 가치’와 추상적인 ‘시민’의 권리 보장을 강조함으로써 형식적 평등의 정당화, 지배 이익의강좌제목한국사회와 정체성 | 주차별강좌한국사회와_정체성_01_1차시
- 인하대학교(국제관계연구소https://k-road.kr/) 한국사회와 정체성 한국사회와 정체성 민주주의는 시민의 참정과 권리 보장을 강조한다. 그러나민주주의는 ‘보편 가치’와 추상적인 ‘시민’의 권리 보장을 강조함으로써 형식적 평등의 정당화, 지배 이익의강좌제목한국사회와 정체성 | 주차별강좌한국사회와_정체성_01_2차시
- 인하대학교(국제관계연구소https://k-road.kr/) 한국사회와 정체성 한국사회와 정체성 민주주의는 시민의 참정과 권리 보장을 강조한다. 그러나민주주의는 ‘보편 가치’와 추상적인 ‘시민’의 권리 보장을 강조함으로써 형식적 평등의 정당화, 지배 이익의강좌제목한국사회와 정체성 | 주차별강좌한국사회와_정체성_01_3차시
연구결과보고서(7)
- 바다와 한국사 결과보고서 [바다와 한국사 | 대구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잡지를 통해 본 1990년대 한국사상계 [잡지를 통해 본 1990년대 한국사상계 | 제주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중국사회과학원학술지『當代韓國』한중네트워킹사업 결과보고서 [중국사회과학원학술지『當代韓國』한중네트워킹사업 | 한국외국어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1960~1970년대 권위주의 국가폭력과 한국사회: 구술사 접근 [1960~1970년대 권위주의 국가폭력과 한국사회: 구술사 접근 | 성균관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현대 한국사 발전의 내면적 동력을 찾아서 -민주화를 이끈 종교인의 구술자료 수집과연구- [현대 한국사 발전의 내면적 동력을 찾아서 -민주화를 이끈 종교인의 구술자료 수집과연구- | 한신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7,948)
- 영동 영국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h2-0209 유구 영동 영국사 永同 寧國寺 1998 충청대학교박물관 232 장준식,정영호,김영진,차용걸,손세원,박경식,김인한,조익현,백종오 김인한,정제규 충청대학교박물관/영동군 충북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천태산 충청북도 영...발행연도1998 | 발굴기관충청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 학생과 국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학생과 국사 학생과 국사 學生과 國史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잡지 이...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병도 | 사료철명학원평론
- 당진 안국사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l6-0168 유구 2013-12-16_0.7486383_당진 안국사지 표지.jpg 당진 안국사지 唐津 安國寺址 2006 충청남도역사문화원/당진시 247 이훈, 강종원, 송현정, 최병화, 김영국, 윤지희 최병화 충청남도역사문화원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충청남도역사문화원/당진시 | 발굴지역충청남도
- 미국사회와 교육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미국사회와 교육 미국사회와 교육 美國社會와 敎育 교육 문헌 현대 국제협력 유학 잡지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한글저자한기언 | 사료철명사대학보
- 국사교육의 실제이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국사교육의 실제이론 국사교육의 실제이론 國史敎育의 實際理論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임태수 | 사료철명조선교육
연구과제(150)
-
바다와 한국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윤재운 | 대구대학교 | 2011 | 국내 | 경북
-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문만용 | 전북대학교 | 2023 | 국내 | 전북
-
삼국사기 전문용어 학설 사전 편찬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김창겸 | 김천대학교 | 2023 | 국내 | 경북
-
잡지를 통해 본 1990년대 한국사상계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윤여일 | 제주대학교 | 2019 | 국내 | 제주
-
중국사회과학원학술지『當代韓國』한중네트워킹사업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박재우 | 한국외국어대학교 | 2010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92)
-
국사 / 國師 [종교·철학/불교]
신라 및 고려시대에 있었던 승려의 최고 법계. 신라는 불교계의 관할을 위하여 국통제도를 실시하였다. 진흥왕때 고구려 승려 혜량을 최초의 국통으로 삼았다. 고려 태조는 국사와 함께 왕사를 두었다. 국통은 승관의 우두머리로서 국사와 왕사와는 구별되었다. 대체로 신라통일기
-
고사 / 告祀 [종교·철학/민간신앙]
집안의 안녕을 위해 가신(家神)들에게 올리는 의례. 최남선(崔南善)은 ‘고시레·고사·굿’을 같은 어원으로 보아 작은 의례를 ‘고시레’라고 하고, 고사는 굿의 규모는 아닌 중간 크기에 해당하는 의례라고 하였다. 장구를 울리고 무악(巫樂)을 갖추어 춤을 추는 것이 굿이라면
-
고려국사 / 高麗國史 [역사/고려시대사]
조선전기 문신·학자 정도전·정총 등이 왕명을 받아 1395년에 편찬한 역사서. 총 37권의 편년체 사서이나 현존하지 않는다. 조선이 건국된 뒤 3개월만인 1392년(태조 1) 10월 조준(趙浚)·정도전·정총·박의중(朴宜中)·윤소종(尹紹宗) 등이 왕명을 받아 1395년에
-
구삼국사 / 舊三國史 [역사/고려시대사]
고려전기 에 편찬된 삼국시대에 관한 역사서. 현전하지 않는다. 원래 명칭은 ‘삼국사(三國史)’였다고 생각된다. 『동국이상국집』에는 ‘구삼국사’로 되어 있는데, 이는 김부식(金富軾)의 『삼국사기』가 나온 후에 ‘구(舊)’자를 덧붙인 듯하다.또,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
-
국사기책 / 國私忌冊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제25대 왕 철종 때 국기일과 사기일(私忌日)에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예서. 1책. 필사본. 수록형식은 월·일순으로 기일마다 해당되는 사람을 적었고, 수록된 내용은 대전(大殿)·중궁전(中宮殿)·숙의전(淑儀殿)·귀인방(貴人房)과 빈전(殯殿)·숙의방(淑儀房)·대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