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국별장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국별장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의 특수부대로 편성하였던 것인데, 1663년(현종 4)에 3개국 150인으로 감축 정비하였고 급료나 대우가 특별하였다. 국별장청은 국출신부대가 편성되면서 창설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1인의 국별장과 45인의 국출신이 한 조가 되어 영숙문과 숭지문을 경비하였는...
- 국출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훈련도감의 하급장교. [내용] 정원은 150인이다. 50인씩 3개국(局)으로 나뉘어 편성되었다. 이들은 일반병사들 중에서 무예시험을 통해 선발되었는데, 기원은 1637년(인조 15) 남한산성 방어전에 참여하였던 병사들 중에서 무...
- 이문원일기(摛文院日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록』 5년 2월 13일] 함께 규장각 소속 각신들의 근무처로 활용되었다. 이문원은 당초 창덕궁의 후원에 위치했다가 1781년 3월에 영숙문(永肅門) 밖 국별장청(局別將廳)으로 옮겼다. 이전하면서 정정(正廳)에 어필로 써서 내린 ‘이문지원(摛文之院)’이라는 편액을 걸...상위어규장각(奎章閣), 이문원(摛文院), 일기(日記)
- 장용위(壯勇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과거에 설치되었던 친군위(親軍衛)와 장용위, 1595년(선조 28) 숙위를 위해 용건(勇健)한 자를 더 선발한 후 붙여진 명칭인 무용위(武勇衛), 1637(인조 15) 국별장청(局別將廳)에 하사된 이름인 무용청’에 들어 있는 친군·장용·무용 중에서, 정조가 장용을 선...상위어장용청(壯勇廳), 장용영(壯勇營) | 관련어무예출신(武藝出身), 액외장용위(額外壯勇衛), 금군(禁軍)
주제어사전(1)
-
국별장청 / 局別將廳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훈련도감의 소규모 특수 관서. 훈련도감의 항오출신 무과급제자로 구성된 국출신 부대를 통솔하여 창덕궁의 후문인 영숙문과 숭지문의 숙위를 담당하였다. 여기에는 정3품 국별장 3인과 국출신 150인이 소속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