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국문” 에 대한 검색결과 39,5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849)

사전(5,130)

  • 개고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김사엽(金思燁)이 지은 학사서. [개설] A5판. 588면. 1956년 10월 정음사(正音社)에서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지은이의 자서(自序) 「개고(改稿)에 즈음하여」가 있고, 본문의 내용은 크게 여섯 단계로 나뉘어 있다. [...
  • 차상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10∼1990. 중학자. [개설] 호는 연파(淵坡). 황해도 해주 출생. 아호를 연파라고 한 것은 동진(東晉)시대의 도잠(陶潛)의 호인 연명(淵明)과 송나라 소식(蘇軾)의 호인 동파(東坡)에서 한 글자씩을 따온 것으로, 그가 이
    이칭별칭연파(淵坡)
  • 화사연구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이상백(李相佰)이 지은 한화사에 관한 저서. [개설] 1947년 을유문화사(乙酉文化社)에서 간행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저자가 일찍이 『진단학보』 등 몇몇 학술지에 발표한 고려 말 조선 초의 사상사‧사회사‧신분사 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문(平問)과 구별되는 심리방법이다. 다만, 은 왕의 명령이 있어야만 하고 그 범죄로 반역죄나 강상죄(綱常罪)와 같은 중죄에 한하였으며, 죄인도 왕명에 의하여 수금(囚禁)되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1062년(문종 16)에 문하부ㆍ어사대ㆍ...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라 고유의 글자. 또는 그 글자로 쓴 글.
    정의나라 고유의 글자. 또는 그 글자로 쓴 글.[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ungmun | MR표기kungm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88)

  • 저자 : Ko Young Cheol ... | 출판사 : 카잔연방대 | 출판일 : 20210326
    The presented textbook is devoted to the main aspects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literature in Korea. A special feature of the manual is that...
  • 저자 : R.R. Mukhametzyanov, E.K. Khabibullina, Ko ... | 출판사 : 카잔연방대 | 출판일 : 20210302
    This study guide focuses on the main aspects of Korean culture. A special feature of the manual is that it pays attention not only to the classical di...
  • 러시아의 한국학: 방향과 발전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
    저자 : 고영철 외 21명 ... | 출판사 : 카잔연방대 | 출판일 : 20210301
    “The Journal of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Russia“ is an international periodical scientific journal that publishes scientific art...
  • 러시아의 한국학: 방향과 발전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
    저자 : 고영철 외 27명 ... | 출판사 : 카잔연방대 | 출판일 : 20210118
    “The Journal of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Russia“ is an international periodical scientific journal that publishes scientific art...
  • 러시아의 한국학: 방향과 발전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
    저자 : 고영철 외 33명 ... | 출판사 : 카잔연방대 | 출판일 : 20230930
    “The Journal of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Russia“ is an international periodical scientific journal that publishes scientific art...

논문(40)

고서·고문서(3,122)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영안현(宁安县) 발해진 발해대대 3 1 , 철자법, 몰라, 용서, 렴체없는요구, 여...
    대표표제어국문 | 성씨
  • 보감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보감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보감 박영진 修文書館 漢城 1909 전문사전; 한학; 용어사전 [고려대]중앙...
    대표표제어국문보감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문학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한예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계서시(鸡西市) 백화대루 3 3 한예, 예술가, 연출, 록상대, 일력
    대표표제어한국문예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중자 이 남자 길림성(吉林省) 화전현(桦甸县) 승리감 5조5위 4 4 중자, 글자, 하나, 서신, 제이름, 이씨,...
    대표표제어중국문자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법책 태 남자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인집소학 2 1 법책, 주씨, 외할아버지, 큰아버지, 후손, 찾으려...
    대표표제어국문법책 | 성씨

구술자료(140)

  • 풀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상여소리를 채록하면서 다시 한번 제보자의 기억력과 언변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3시간이 지나도록 진행된 오랜 채록에도 불구하고 제보자의 이야기나 노래에 취한 나머지 청중이나, 조사자, 제보자 모두 지루한 줄 몰랐다. 다시 제보"<page id="454"/>자...
    조사일시1985-04-15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 제보자서보익
  • 뒷풀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 | 제보자이종대
  • 뒤풀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모심기 노래’를 부르고 나서, 옆에 있던 청중들이 제보자더러 ‘국문 뒷풀이’를 해 보라고 권하자, 종이에다가 기역, 니은, 디귿…의 순서를 적어 가지고 보면서 불렀다. 목청이 좋고 기억력이 훌륭하여 듣기에 아주 좋았다. 청중들은 앞의 ‘모심기 노래’를 부를 때와...
    조사일시1981-07-29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밀양읍 | 제보자이정숙
  • 뒤풀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 | 제보자이정숙
  • 뒷풀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종희씨 옆에 앉아서 화투를 치고 있었는데 조사자가 ‘국문 뒷풀이’를 청하자 선뜻 나섰다. 화투를 치면서 했는데 처음에는 잘 하다가 중간부터는 가사를 잊어버려 머뭇거리므로 조사자가 한글 자음을 불러주면서 유도했으나 끝내 기억해내지 못했다. *
    조사일시1985-05-12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입암면 | 제보자심임섭

기초학문(2,323)

  • 神과 韓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종의, 게재일 : 2000
    09187 김종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철학회 2000 神과 韓化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a016e760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한자와 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43870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논역학회 2002 한자와 중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반공호학의 구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진기, 게재일 : 2007
    48473 김진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상허학회 2007 반공호학의 구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학과 도시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62928 한국연구재단 학회 2014 한학과 도시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병립신관과 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돈희, 게재일 : 2001
    06431 임돈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비교민속학회 2001 병립신관과 한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985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21,031)

  • 振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진위군 고두면 률리거 젼참봉 리범쳘씨 당셰에 유지신라 진흥학교 셜시고 다슈 학도 교육고  민회 죠직야 지식을 교환고 한 초동목슈들이 도 몰으거시 가셕다야 그근방 오륙동에 강당을 셜립고 지필묵을 공급야 하등샤회샤들노야금 낫에
    게재일1907년 2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교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 우리 나라 교육 명상에 대단 유조은 사마다 거의다 짐작는 바ㅣ라 다시셜명것업거니와 만일이글이 아니런들 뎨국신문보시는 한문 모로는 이들이 무어스로써 일 등는 슬 보앗슬넌지 모를지라 만일 한문을 화 가지고 이말을 보려진 소불하 오륙년 후에야
    게재일1903년 2월 3일 | 기사분류논설
  • 민세안재홍전집 : 現代學精選刊行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378 1946 9 12 1 1 現代學精選刊行 高等의學敎材로 신문 동아일보 2면 5단 기사 문화 간접자료 선집외 中央文化協會, 國語學, 學, 現代學精選 A19460912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硏究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학교장 지셕영 죠경구 리병욱졔씨가 연구회를죠직기로 취지셔를 발간륜회 그취지셔 의 우리나라이쳐음만들어 기 지졍지미나 그 글을규모업시 쓰에 탄일이만으니 유지인들이 회의연구야 교졍기로 이더라
    게재일1907년 1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의指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상동쳥년학원교쥬시경씨 을발달시길 목뎍으로 렬심연구야 셔한벌을 져슐얏 그글이심히 명고 셰야 교습에 극히유용야 가히지남이되다더라
    게재일1906년 7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4,088)

  • 화의 기원_1주차_1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한국인상(韓國人像)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한화의 기원 2주차. 한국인의 기원 3주차.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단군:신화와 역사의 절합 4주차. 기자조선과 중화주의 5주차. 한국의 국가형성과 종족구성 6주차. 삼국시대의 역사편찬과 자타 인식 7주차. 통일
    강좌제목한국인의 정체성 | 강의자박대재 이정철
  • 화의 기원_1주차_2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한국인상(韓國人像)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한화의 기원 2주차. 한국인의 기원 3주차.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단군:신화와 역사의 절합 4주차. 기자조선과 중화주의 5주차. 한국의 국가형성과 종족구성 6주차. 삼국시대의 역사편찬과 자타 인식 7주차. 통일
    강좌제목한국인의 정체성 | 강의자박대재 이정철
  • 화의 기원_1주차_3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한국인상(韓國人像)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한화의 기원 2주차. 한국인의 기원 3주차.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단군:신화와 역사의 절합 4주차. 기자조선과 중화주의 5주차. 한국의 국가형성과 종족구성 6주차. 삼국시대의 역사편찬과 자타 인식 7주차. 통일
    강좌제목한국인의 정체성 | 강의자박대재 이정철
  • 화의 기원_1주차_4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한국인상(韓國人像)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한화의 기원 2주차. 한국인의 기원 3주차.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단군:신화와 역사의 절합 4주차. 기자조선과 중화주의 5주차. 한국의 국가형성과 종족구성 6주차. 삼국시대의 역사편찬과 자타 인식 7주차. 통일
    강좌제목한국인의 정체성 | 강의자박대재 이정철
  • 화의 기원_1주차_5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한국인상(韓國人像)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한화의 기원 2주차. 한국인의 기원 3주차.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단군:신화와 역사의 절합 4주차. 기자조선과 중화주의 5주차. 한국의 국가형성과 종족구성 6주차. 삼국시대의 역사편찬과 자타 인식 7주차. 통일
    강좌제목한국인의 정체성 | 강의자박대재 이정철

연구결과보고서(6)

기타자료(2,881)

  • 제 토의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제 토의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63/??/??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H-0006-04) [1523] UN(유엔) 총회, 제1...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유엔대사 | 수신자외무부 장관
  • 제 기술 관련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제 기술 관련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73/06/24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6145] UN(유엔)총회, 제28차. New Yo...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주 유엔 대사 | 수신자장관
  • 제 상정토의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제 상정토의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63/??/??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H-0006-02) [1521] UN(유엔) 총회,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주국련대사 | 수신자외무부 장관
  • 유엔 한제 지지 교섭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유엔 한제 지지 교섭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70/08/10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3683] UN(유엔) 총회, 제25차. Ne...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주 스페인 대사 | 수신자외무부 장관
  • 유엔 한제 관계 보고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유엔 한제 관계 보고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70/8/11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3683] UN(유엔) 총회, 제25차. New...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외무부 장관 | 수신자주 네덜란드 대사

연구과제(123)

주제어사전(528)

  • / [정치·법제/법제·행정]

    피의자에게서 자백을 받기 위해 형장을 가하는 심문. 형구를 쓰지 않고 심문하는 평문과 구별되는 심리방법이다. 다만, 은 왕의 명령이 있어야만 하고 그 범죄로 반역죄나 강상죄와 같은 중죄에 한하였으며, 죄인도 왕명에 의하여 수금되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 / [언어/언어·문자]

    한 나라의 고유 글자 또는 그 글자로 쓴 글이다.

  • 문법 / 文法 [언어/언어/문자]

    1905년 국어학자 주시경(周時經, 1876∼1914)이 손으로 써서 만든 국어 문법책. 『문법(文法)』은 주시경이 1905년 2월부터 6월까지 상동청년학원(尙洞靑年學院)에서 국어를 가르칠 때 등사해서 학생들에게 나눠준 것을 합철한 것이다. 필사본(筆寫本)으로

  • 초학 / 初學 [교육/교육]

    1908년 주시경이 지은 국어맞춤법 해설서. 각급 학교 교과용 도서로는 사용되지 않았으나, 어린이들에게 한글맞춤법의 기초를 해설하고, 이를 실제로 익히도록 하는 편찬취지에 따라 지어진 것이다. 모두 49공과(工課 : 단원)로 된 이 책은 각 공과마다 띄어쓰기 대신 구두

  • 학사 / 學史 [문학/현대문학]

    조윤제(趙潤濟)가 지은 학사에 관한 책. 이 책은 학사의 시대 구분을 태동시대(통일신라 이전)-형성시대(통일신라기)-위축시대(고려일대)-소생시대(조선 성종까지)-육성시대(연산군∼임진왜란)-발전시대(임진왜란∼경종)-반성시대(영조∼갑오경장)-운동시대(갑오경장∼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