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국립국어원” 에 대한 검색결과 6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52)

사전(57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칭도 국립국어연구원에서 으로 바뀌었다. [설립목적] 우리나라의 어문 정책에 필요한 자료를 과학적‧체계적으로 조사, 연구하여 어문 정책의 기반을 조성하고, 국어 생활에 필요한 어문 규정을 개정하거나 표준말을 사정하고 국어사전을 편찬하는 등 교양...
    이칭별칭국어연구소|국립국어연구원
  • 근대신어 : 체인-스토크스호흡(샤이네스톸)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36 240 검색 결과 Cheyne-Stokes呼吸 질병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예술감각] 질병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오금(烏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사(藤原賴久)가 사람을 보내 오금(烏金) 30근을 바쳤다. 『世宗實錄』; , 『표준국어대사전』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 합금, 장식용, 후...
    유형분류물품도구
  • 대모(玳瑁)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한 번 재촉하였다. 『倭人求請謄錄』 ; , 『, 『표준국어대사전』』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 이승민, 「조선 후기 대마도 구무의 개념과 실태」, 『한일관계사연구』 36집, 한일관계사학회, 2010....
    유형분류물품도구
  • 저마포(苧麻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베와 구분하여 일컫는 말이다. 1406년 2월에 일본국의 사신(使臣)으로 왔던 승려 슈도(周黨) 등이 귀국을 고하였다. 이에 상관인(上官人) ‧ 부관인(副官人)에게 각각 저마포(苧麻布) 6필씩을 하사하였다. 『太宗實錄』; , 『표준국어대사전』 ...
    유형분류물품도구

고서·고문서(32)

  • 교통수화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교통수화 인문학 언어학 기타언어학 교통수화 한국표준수화규범 제정 추진위원회 : 한국농아인협회 서울 2008 교통...
    대표표제어교통수화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언어학 | 소분류기타언어학
  • 기독교수화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기독교수화 인문학 언어학 기타언어학 기독교수화 한국표준수화규범제정추진위원회 편 : 한국농아인협회 서울 2010 ...
    대표표제어기독교수화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언어학 | 소분류기타언어학
  • 법률수화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법률수화 인문학 언어학 기타언어학 법률수화 한국표준수화규범 제정 추진위원회 : 한국농아인협회 서울 2007 법률...
    대표표제어법률수화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언어학 | 소분류기타언어학
  • 불교수화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불교수화 인문학 언어학 기타언어학 불교수화 한국표준수화규범제정추진위원회 편 : 한국농아인협회 서울 2010 불교...
    대표표제어불교수화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언어학 | 소분류기타언어학
  • 의학수화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의학수화 인문학 언어학 기타언어학 의학수화 한국표준수화규범 제정 추진위원회 편 : 한국농아인협회 서울 2009 ...
    대표표제어의학수화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언어학 | 소분류기타언어학

기초학문(3)

  • ‘청년’과 ‘청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67704 한국연구재단 2011 ‘청년’과 ‘청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괴기(怪奇)’와 공포의 취미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8312 한국연구재단 2010 ‘괴기(怪奇)’와 공포의 취미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개화기 한국의 번역물이 국어에 미친 영향-외국인 선교사들이 본 한국의 근대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68850 한국연구재단 2012 개화기 한국의 번역물이 국어에 미친 영향-외국인 선교사들이 본 한국의 근대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2

멀티미디어(40)

  • 한국어와 중국어 개관_1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교수 전 고려대학교 기초교육원 초빙교수 전 중국인민대학 외국어학부 객원교수 세종한국어1A,1B 집필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과정,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참여 진환상 교수 현) 한세대학교 중국어학과 전임강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문화교육 전공 대표
    강좌제목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 강의자장미정 교수, 진환상 교수
  • 한국어와 중국어 개관_1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교수 전 고려대학교 기초교육원 초빙교수 전 중국인민대학 외국어학부 객원교수 세종한국어1A,1B 집필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과정,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참여 진환상 교수 현) 한세대학교 중국어학과 전임강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문화교육 전공 대표
    강좌제목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 강의자장미정 교수, 진환상 교수
  • 한국어와 중국어 개관_1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교수 전 고려대학교 기초교육원 초빙교수 전 중국인민대학 외국어학부 객원교수 세종한국어1A,1B 집필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과정,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참여 진환상 교수 현) 한세대학교 중국어학과 전임강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문화교육 전공 대표
    강좌제목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 강의자장미정 교수, 진환상 교수
  • 한국어와 중국어 개관_1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교수 전 고려대학교 기초교육원 초빙교수 전 중국인민대학 외국어학부 객원교수 세종한국어1A,1B 집필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과정,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참여 진환상 교수 현) 한세대학교 중국어학과 전임강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문화교육 전공 대표
    강좌제목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 강의자장미정 교수, 진환상 교수
  •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1_ 자음과 모음_2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교수 전 고려대학교 기초교육원 초빙교수 전 중국인민대학 외국어학부 객원교수 세종한국어1A,1B 집필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과정,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참여 진환상 교수 현) 한세대학교 중국어학과 전임강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문화교육 전공 대표
    강좌제목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 강의자장미정 교수, 진환상 교수

주제어사전(2)

  • / [언어/언어/문자]

    서는 1984년 학술원 내에 국어연구소를 설치하였다. 그렇지만 국어연구소는 임의 연구 기관이어서 제약과 한계가 있어 1990년 문화부가 신설되면서 그 소속기관으로 국립국어연구원을 설립하게 되었다. 2005년 기관의 역할이 바뀌면서 명칭도 국립국어연구원에서 으로

  • 기러기아빠 / [사회/사회구조]

    음』에 수록되었고, 『2002년 신어』 보고서에도 신조어로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