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국둔전” 에 대한 검색결과 1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3)

사전(2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말 둔전제가 농민 수탈의 한 방편으로 악용되고, 또한 수입의 대부분이 국가 재정에 흡수되지 못한 폐단이 생겼다. 이에 1392년(태조 1) 농민들의 피해를 없앤다는 명목으로 과 관둔전(官屯田)을 모두 폐지하는 원칙을 세웠다. 그러나 둔전으로서 경작하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자리하는 군사가 경작하여 그 수확을 모두 군자금(軍資金)에 충당하던 토지
    정의수자리하는 군사가 경작하여 그 수확을 모두 군자금(軍資金)에 충당하던 토지 | 문광부표기gukdunjeon | MR표기kuktun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둔전(屯田) 국농소(國農所) 영둔전(營屯田), 영전(營田) 경제재정/전세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 이장우 [정의] 군자재원을 보충하기 위해 국유지인 공전을 개간하여 설정...
    상위어둔전(屯田) | 동의어국농소(國農所) | 관련어영둔전(營屯田), 영전(營田)
  • 둔전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라고 인식될 정도였다. 둔전병의 영전 경작은 영‧진‧포의 책임자인 병마‧수군 첨절제사와 만호(萬戶) 등에 의하여 감독되었다. 수군은 영전 외에도 의 둔전병으로 광범위하게 동원되었다. 수군의 수가 적은 함경도나 내륙에서는 차정군(次正軍)이나 수성군(守城軍)‧...
  • 축만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감관(監官)‧농감(農監) 등을 두어 관수와 전장관리를 맡게 하고, 이에서 생기는 도조는 수원성의 축성고(築城庫)에 납입하였다는 것을 보면 제방 아래 몽리구역의 농지는 ()이었던 것 같다. 또 이 지역의 동명이 서둔동(西屯洞)인 것도 과 관계가...

고서·고문서(101)

  • 30066 B030066 문화 世宗實錄 七年(1425) 十一月 세종실록_10711025_003 ○戶曹據咸吉道監司關啓: “鏡城郡於移管土瘠, 所收甚少, 以有數正軍, 當防禦最緊四五月間, 來往耕耘於二十里之地, 倘遇賊至, 不及應變, 有乖養兵備禦之計。 請革屯...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067 B030067 문화 世宗實錄 八年(1426) 夏四月 세종실록_10804016_002 ○忠淸道監司柳季聞、知淸風郡事 金自養拜辭, 上引見謂季聞曰: “憂旱恐懼, 卿悉知之, 體予此懷, 恪修爾職。 近來旱乾不雨, 飢饉荐臻, 故賑恤窮乏, 已曾行移, 然來歲之...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068 B030068 문화 世宗實錄 八年(1426) 夏四月 세종실록_10804016_002 ... 故賑恤窮乏, 已曾行移, 然來歲之事, 未可知也, 發倉賑濟, 勿爲太急, 量宜施行。 且勸農桑, 以厚民生。” 季聞仍啓國農所有弊之故, 上然之曰: “在邊鎭聚軍人...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069 B030069 문화 世宗實錄 八年(1426) 夏四月 세종실록_10804028_002 遇衙祿, 有所不足, 不得已傳請國庫, 而事發, 則以那移出納, 貶之。 又或不得已興販, 而事覺, 則以謂興利自奉, 黜之, 其爲守令者, 誠可憐憫。 萬一衙祿乏絶, 則斂於...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070 B030070 문화 世宗實錄 八年(1426) 夏四月 세종실록_10804028_002 李潑、工曹參判趙賚、刑曹參判鄭招、戶曹參判崔士康、兵曹參判李蕆、禮曹參判權蹈議: “衙祿位田, 一年所支不足, 則以國庫米豆充給。 量減奴婢馬匹之數, 公須廩給, 亦依此例。”...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경제·산업/경제]

    조선 초기 둔전 본래의 군수 용도의 명목을 위한 토지. ≪경국대전≫에 의하면 ‘군인이 경작해 그 수확을 군자곡에 보충하는 토지’라고 규정하고 있다.

  • 둔전 / 屯田 [역사]

    도 둔전이라 하였다. ≪경국대전≫에서는 전자를 (), 후자를 관둔전(官屯田)이라 하여 서로 구별하였다.

  • 수산제 / 守山堤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밀양에 있었던 관개용 저수지. 제방의 길이는 728보(步)이고 둘레는 20리가 되며 벽골제·의림지와 함께 우리 나라 3대저수지로 불린다. 이곳의 제방은 낙동강의 지류인 용진강(龍津江:지역민들은 ‘안강’이라고 부르고 있음)물이 으로 범람해 들어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