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국가총동원법” 에 대한 검색결과 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2)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38년 4월에 일제가 인적‧물적 자원의 총동원을 위해 제정‧공포한 전시통제의 기본법. [개설] 전문 50조와 부칙으로 되어 있다. 1938년 4월 1일에 공포되어 그 해 5월 5일부터 일본에서 시행되었다. 조선에서는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8년 4월에 일제가 인적‧물적 자원의 총동원을 위해 제정‧공포한 전시통제의 기본법.
    정의1938년 4월에 일제가 인적‧물적 자원의 총동원을 위해 제정‧공포한 전시통제의 기본법.[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ukga Chong Dongwonbeop | MR표기Kukka Ch’ong Tongwŏnpŏ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보국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일제가 1938년 조선인 학생, 여성과 농촌 노동력을 동원하기 위해 조직한 단체. [개설] 근로보국대는 일제가 중일전쟁 도발 후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하기 위하여 공포한「」(1938.4.1)과 함께 실시된 각종 통제법령의 대...
  • 최낙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革)‧변영우(卞榮宇) 등과 함께 월간잡지 『노동』을 발행하여 일본과 국내에 배포하는 등 항일독립운동과 노동운동을 하였다. 1925년 5월 일본에서 출판법위반으로 벌금형을 받고, 1926년 11월 위반으로 징역 1년 6월과 벌금 30원을 선고받았다. 1...
  • 농민조합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았던 곳은 함경남북도‧경상남북도‧전라남북도로서, 특히 함경남북도에 가장 많았다. 적색농민조합의 활동은 1936년 12월 「조선사상범보호관찰령」 실시와 1937년 7월 중일전쟁, 1938년 「조선시행령」 공포 등의 전시체제의 시작과 일제의 철저한 탄압으...

고서·고문서(37)

  • 이학철 외 4인의 조선비료단속령 위반, 위반(가격 등 통제령), 조선임시비료배급통제령 위반사건 판결문(李學喆外4人の朝鮮肥料取締令違反、違反(價格等統制令)、朝鮮臨時肥料配給統制令違反事件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CJA0002250-0008 昭和15年刑公第245号 국가기록원 부산지방법원 통영지청 李學喆外4人の朝鮮肥料取締令違反、違反(價格等統制令)、朝鮮臨時肥料配給統制令違反事件判決文 이학철 외 4인의 조선비료단속령 위반, 위반(가격 등 통제령), 조선임시비료배...
    제목이학철 외 4인의 조선비료단속령 위반, 국가총동원법위반(가격 등 통제령), 조선임시비료배급통제령 위반사건 판결문(李學喆外4人の朝鮮肥料取締令違反、國家總動員法違反(價格等統制令)、朝鮮臨時肥料配給統制令違反事件判決文) | 사건유형조선비료단속령 위반, 국가총동원법 위반(가격 등 통제령), 조선임시비료배급통제령 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 1942년 조병삼(曺秉杉) 보고명령서(報告命令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42년3월 1일에 송택용웅이 영암군 곤일시면에 사는 조병삼에게제19조에 의거하여 경기도 용인군 이동면의 농지 임대 계약의 내용을 보고하라는 명령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명령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명령서 | 현소장처영암 미암 창녕조씨 태호후손가
  • 「농지관계통제법령편람」발행에 관한 건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靑木 第一四九九號 昭和 十六年 八月 九日 木面長 各 里區長 殿 農地關係統制法令遍覽」發行에 關한 件 本府農林局農林果에셔 의 規定에 基한 制定公布 된 農林關係統制諸法令(戰時農地價格統制令 朝鮮各地域別 基準價格表戰時農地等 管理令小作統制令)及 次等에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으로 추정된다. 통신란에는 ‘總力戰一人一人が皆戰士(총력전 한 명 한 명이 모두 전사)’라는 표어가 인쇄되어 있는데 이로 보아 1938년 이 제정된 이후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풍속, 풍경, 민속, 강, 얼음, 채빙꾼, 톱 일본어 황진 ...
    자료명채빙꾼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을 토대로 재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통신란에는 ‘明日の日本我等の腕で(내일의 일본 우리의 힘으로)’라는 표어가 인쇄되어 있는데 이로 보아 1938년 이 제정된 이후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풍속, 풍경, 민속, 기생, 춤 일본어 황진 신...
    자료명춤을 추는 기생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신문·잡지(11)

  • 안은 헌법운용에 저촉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9) 권리 의무론 안은 헌법운용에 저촉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38년 2월 15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3 이 글은 일본의회 내에서 안 제정에 대한 정부측의 입장과 반대측의 입장을 제시하는 기사임....
    대표표제어국가총동원법안은 헌법운용에 저촉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국가총동원법, 민정당, 정우회, 국가총동원법 위헌
  • 전쟁과 주식시장 - 12조발동을 중심삼고서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거듭하고 있음. 이전의 청일전쟁, 노일전쟁 당시에는 잠시 하락세를 보이다가도 다시 반등하곤 했던 주식시장이 지나사변 이후로는 하락세만 보인다는 것이 문제임. 필자는 지나사변 이후에 발동된 이것이 , 특히 제11조와 연관이 있다고 설명함. 제11조...
    대표표제어전쟁과 주식시장 - 12조발동을 중심삼고서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최창호 | 출처삼천리, 제11권 제1호 | 키워드국가총동원법, 총동원법 제11조, 기업회사 배당제한, 지나사변
  • 잡담소득 이선근 13 캠푸 윤희영 14 조선풍토기략 (1) 김원근 17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8
  • 6 と敎育-帝國敎育五月號ヨリ轉載 廣濱嘉雄 16 國史地理上卷揷畵解說 (2) 金昌鈞 31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8
  • に就いて 池尾勝已 18 戰時體制下に於ける伊太利の物價統制と經濟政策 鎌田澤一郞 26 ステープルフアイバーと其...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8

주제어사전(4)

  • / [역사/근대사]

    1938년 4월에 일제가 인적, 물적 자원의 총동원을 위해 제정, 공포한 전시통제의 기본법. 1938년 4월 1일에 공포되어 그 해 5월 5일부터 일본에서 시행되었다. 전문 50조와 부칙으로 되어 있다. '' 제1조 기타가 규정하였듯이 전시 또는 준전시적

  • 군수공업화정책 / 軍需工業化政策 [역사/근대사]

    만주사변을 전후로 강행되기 시작한 일제의 조선 침략 정책. 1938년 5월 5일 ''의 시행에 의해 군수물자 최우선의 군수공업화정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시기의 군수공업화정책은 일체의 인간 생산이 군수 산업이요, 일체의 시장상품이 군수용품이라는 대전

  • 배급 / 配給 [사회/사회구조]

    태평양전쟁의 수행과정 중에 이른바 ‘’ 및 이와 관련된 제반법령을 배경으로 전면적인 통제경제를 실시하였다. 광복 직후의 한국사회는 극심한 경제난에 봉착하였다. 미군정당국은 민생구호에 중점을 두고 주로 식량·의류 등 주요생필품의 확보에 역점을 두는 시책을 강구

  • 국책문학론 / 國策文學論 [문학/현대문학]

    통제하고 조정하는 총력전 체제로 돌입하였다. 일본은 1937년 10월 황국신민의 서사, 1938년 3월 ‘’, 1940년 2월 창씨개명 실시, 7월 ‘기본국책요강’, 10월 ‘국민총력운동’, 1942년 5월 징병령 등의 법령 발표와 시행을 통해 사회 전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