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국가재건최고회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박정희
- 5.16 군사 쿠데타
- 제5차 개헌
- 민주공화당
- 최규하
연구성과물(173)
사전(73)
- 국가재건최고회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해산하였다. 군사혁명위원회는 5월 18일 국무총리 장면(張勉)의 계엄추인으로 정권을 인수받자, 5월 19일 군사혁명위원회를 국가재건최고회의라 개명하고, 5월 20일 혁명내각을 발표함으로써 군사정부가 수립되었고, 국가재건최고회의는 군사정부의 최고통치의결기관이...
- 국가재건최고회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3권을 완전히 장악하여 국회와 지방의회를 해산하였다. 군사혁명위원회는 5월 18일 장면 국무총리로부터 계엄령 추인과 함께 정권을 인수받자, 5월 19일 군사혁명위원회를 국가재건최고회의라 개명하고 5월 20일 혁명내각을 발표함으로써 군사정부를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 국가재건최고회의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61년 5‧16 군사 쿠데타 직후에 설치되었던 국가 최고 통치 의결 기관으로, 이전의 군사혁명위원회를 개명한 것정의1961년 5‧16 군사 쿠데타 직후에 설치되었던 국가 최고 통치 의결 기관으로, 이전의 군사혁명위원회를 개명한 것 | 문광부표기Gukga Jaegeon Choego Hoeui | MR표기Kukka Chaegŏn Ch’oego Hoeŭ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부정축재처리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국가공직 또는 정당의 지위나 권력을 이용하거나 사위(詐僞)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축적한 부정공무원‧부정이득자‧학원부정축재자의 부정축재에 대한 행정상‧형사상의 특별처리를 규정한 법률. [내용] 이 법은 국가재건최고회의(國家再建最高會...
- 우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조교수로 취임하였다. 1961년에는 국가재건최고회의문사위원회(國家再建最高會議文社委員會) 전문위원, 1962년에는 보사부사회보장심의회(保社部社會保障審議會) 수석연구위원, 1963년 중앙노동위원회(中央勞動委員會) 공익위원(公益委員),...
고서·고문서(3)
- 미나카이 백화점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국가재건최고회의 회의장, 국군 원호처 일본어, 영어 최종길 신동규 신동규 明粧のデパート. 京城四大デパートメントストアの一として發展し滿州其他各地に店鋪を有して營業殷賑を呈してゐる. 京城, 三中井百貨店. Minakai department store, Kei...자료명미나카이 백화점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미나카이 백화점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상점을 개설하면서 처음으로 조선에 진출하였으며 1911년에 경성점은 개점하였다. 경성, 미나카이백화점, 구 해군본부, 국가재건최고회의 회의장, 국군 원호처 일본어, 영어 최종길 신동규 신동규 殷賑を誇る. 京城三大デパートメントストアの一つとして三越,...자료명미나카이 백화점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미나카이 백화점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화점은 1905년 대구에 상점을 개설하면서 처음으로 조선에 진출하였으며 1911년에 경성점은 개점하였다. 경성, 미나카이백화점, 구 해군본부, 국가재건최고회의 회의장, 국군 원호처 일본어, 영어 최종길 신동규 신동규 殷賑を誇る. 京城三大デパートメ...자료명미나카이 백화점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4)
- 홍종남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를 팔아 번 돈으로 땅을 산 뒤 농업에 종사 - 조봉암의 농지개혁으로 경제적 손실을 봄 - 5.16군사 쿠데타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중 한 사람이었던 6촌 형님 - 영종도에서 통장, 도민회 회장 등의 활동을 함 - 중국 관광을 통해 북한방문 및 개성 방문구술자홍종남 | 직업도민회 회장 | 지역평안도
- 강현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관련 전공이었던 사회학과 학생들이 한국일보에 대거 취직하게 됨 - 취직을 위해 법 관련 강의를 도강(盜講) - 국가재건최고회의 요원모집에 응시해 필기시험 합격했으나, 정보요원, 밀봉교육이란 소문에 그만 둠 - 국가재건최고회의 TV요원 모집에 응시하여 합격 - KBS구술자강현두 | 직업서울대 명예교수 | 지역경기도
- 노융희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ort), 윌리엄 앤더슨(William Anderson), 조지 와프(George A. Warp), 고주 노촌, 공업교육전문학교, 국립공무원훈련원, 국가재건최고회의, 국방부 인력관리위원회, 국무원사무국, 내각사무처, 도시계획학, 보성전문학교,연희전문학교, 서울대학교,구술자노융희 | 직업교수 | 지역평안도
- 강인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지명관, 차창렬, 한경직, 한심석, 한재덕, 허우성, 허정숙, 현석호, 홍명희, 홍성철, 흐루시초프, 강동정치학원,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공안조사정우회, 국가재건최고회의, 국민당, 국방대학교, 국방대학원, 국방부 방송, 국제상사, 극동문제연구소, 남북제정당사구술자강인덕 | 직업장관 | 지역평안도
신문·잡지(52)
- 국가재건최고회의법등삼법의 공포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9) 1961-62년 각종 법안 제정 관련 국가재건최고회의법등삼법의 공포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1년 6월 11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5 이 글은 국가재건최고회의법, 재건국민운동에 관한 법률, 중앙정보부법을 공포,...대표표제어국가재건최고회의법등삼법의 공포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국가재건최고회의법, 재건국민운동본부, 중앙정보부법, 국가재건최고회의, 재건국민운동에 관한 법률, 국가재건비상조치법
- 국가재건기본법안 심의의 건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9) 1961-62년 각종 법안 제정 관련 국가재건기본법안 심의의 건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1년 5월 30일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본회의회의록 제11호(pp.1-2) 회의록 2 이 글은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진행한대표표제어국가재건기본법안 심의의 건 | 자료유형회의록 | 집필자국가재건최고회의 | 출처국가재건최고회의본회의회의록 제11호(pp.1-2) | 키워드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기본법, 국민의 총의, 박정희
- 최고회의의장에 박정희소장을 선출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9) 1961-62년 각종 법안 제정 관련 최고회의의장에 박정희소장을 선출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1년 7월 4일 경향신문사 경향신문 기사/사설 2 이 글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에 박정희가 선출되었음을 전함. 이전 의장 겸대표표제어최고회의의장에 박정희소장을 선출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경향신문사 | 출처경향신문 | 키워드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장도영, 내각수반, 송요찬
- 국가재건비상조치법 전문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9) 1961-62년 각종 법안 제정 관련 국가재건비상조치법 전문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1년 6월 6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2 이 글은 국가재건비상조치법이 6월 6일 공포되었음을 전함. 국가재건최고회의는 최고회의...대표표제어국가재건비상조치법 전문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비상조치법, 최고통치기관, 혁명재판소, 혁명검찰부
- 혁명재판소·검찰부조직법의결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9) 1961-62년 각종 법안 제정 관련 혁명재판소·검찰부조직법의결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1년 6월 21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7 이 글은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혁명재판소 및 혁명검찰부조직법을 공포하기로 의결되었...대표표제어혁명재판소·검찰부조직법의결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국가재건최고회의, 혁명재판소, 혁명검찰부, 부정축재자, 혁명검찰부조직법
멀티미디어(6)
- 군사혁명위원회는 제2차 군사혁명위원회의를 열어 군사혁명위원회의 명칭을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칭했다. 또한 최고회의의장 장도영은 혁명 이후 처음으로 내외신 기자들과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기자회견에서 장도영은 최고회의의 입장을 전달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1년 5월 27일 | 제작공보처
- 5.16군사쿠데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설치되었다. 장도영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아울러 5.16 군사정부 인사들이 서울시청에서 업무보고를 받고 있는 모습이다. 윤보선 대통령과 장면 국무총리는 기자회견에서 사퇴의사를 밝혔다. 마샬 그린 주한미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1년 5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된 박정희 소장의 다양한 활동 모습을 보여준 이후, 박정희 의장이 신임 송요찬 내각수반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는 임명식 영상.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1년 7월 7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1962년 3월 22일 윤보선이대통령직 사임 기자회견을 한 이후, 3월 24일 국가재건최고회의 본 회의에서는 윤보선 대통령의 사임허가를 의결하고 민정 이양 시까지 박정희 의장이대통령 권한을 대행하기로 하였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2년 3월 31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이 뉴스는 1962년 12월 6일 국가재건최고회의 제27차 본회의에서 헌법 개정안을 의결하는 모습을 영상으로 담고 있다. 이 헌법 개정안에 대한 국민투표는 1962년 12월 17일에 실시되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2년 12월 10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35)
- 대통령 권한대행 국가재건최고회의의장 담화문 3집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대통령 권한대행 국가재건최고회의의장 담화문 3집 대통령 권한대행 국가재건최고회의의장 담화문 3집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공보부
-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장군 격려사 과학발전으로 새터전 이룩하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장군 격려사 과학발전으로 새터전 이룩하자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장군 격려사 과학발전으로 새터전 이룩하자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정희 | 사료철명문교공보
-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장군 담화문 불교계의 대동단결을 촉구함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장군 담화문 불교계의 대동단결을 촉구함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장군 담화문 불교계의 대동단결을 촉구함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정희 | 사료철명문교공보
- 연설문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고회의에서 제16차 연합 총회에 관한 연설문을 밝히는 표지 연설문, 표지, 외무부, 유엔총회, 국가재건최고회의 jpg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2. 국립대학총장임명승인의 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국회회의록 국가재건최고회의상임위원회 1962 4 4 국회회의록 24차 ...범주1교육법령 | 형식국회회의록 | 한글저자국가재건최고회의상임위원회 | 사료철명국회회의록
주제어사전(6)
-
국가재건최고회의 / 國家再建最高會議 [정치·법제/정치]
5.16군사쿠데타 직후 주체세력이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설치한 국가 최고권력기관. 처음에는 군사혁명위원회로 발족했으나, 5월 18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칭되었고, 6월 6일 국가재건비상조치법이 공포됨으로써 최고권력기구로서의 법적 뒷받침을 얻게 되었다. 1963년 12
-
박정희 / 朴正熙 [정치·법제/정치]
1917년∼1979년. 군인·정치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제5·6·7·8·9대 대통령. 1937년 대구사범학교를 졸업, 3년간 국민학교 교사 근무, 만주군관학교와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1946년 육사 2기로 졸업하고, 육군포병학교장, 제5사단장, 제6사단
-
김동하 / 金東河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제1상륙 사단장, 해병중장, 국가재건최고회의최고위원 등을 역임한 군인. 체육인. 함경북도 무산(茂山) 출신. 일본강점기에 유년기와 청년기를 만주에서 보냈고 1941년에는 만주 신경(新京)에 위치한 4년제 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여 소위로 임관하였다.광복과 함께
-
민주공화당 / 民主共和黨 [정치·법제/정치]
1963년 2월 26일 창당. 제3, 4공화국의 집권여당. 5.16 주체세력을 중심으로 <혁명이념의 계승과 민족적 민주주의 구현>을 표방하였다. 8월 31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입당하여 총재직을 맡았으며, 이후 권위주의적 지도체제하에 계파갈등을 억누르고,
-
제5차 개헌 / 第五次改憲 [정치·법제/법제·행정]
1962년 11월 민정이양을 위한 헌법개정안이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의결된 후, 12월 17일 국민투표에 의해 확정, 26일 공포되어 이루어진 헌법개정. 제3공화국의 헌법이 된 이 개헌안의 주요내용은 대통령제 채택, 소선거구제 채택, 국회의 단원제와 정당국가화에 따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