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황촬요” 에 대한 검색결과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3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그러나 현존하지는 않는다, 그 내용은 ≪≫에 많이 인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의 초판본은 총 17면이다. 경주에서 목판본으로 발간되었다고 한다. ≪≫는 효종 때에 신속(申洬)이 합편으로 간행한 ≪농가집성 農家集成≫에 부록으로 포섭었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54년 진휼청에서 간행한 구황 식품에 관한 책.
    정의1554년 진휼청에서 간행한 구황 식품에 관한 책.[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uhwang chwaryo | MR표기Kuhwang ch’war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학서 한글 한국 조선 명종 성낙수 박종국 2016 미상 진휼청 1554 1책(22장) 목판본 () 이인영, 황의돈, 일본국회도...
  • 신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60년(현종 1)에 서원(西原 : 지금의 청주)의 현감으로 있던 신속(申洬)이 엮은 기근(饑饉) 구제를 내용으로 한 책. [내용] 1권 1책. 목판본. 1554년(명종 9)에 간행된 『』 중 언해 부분을 약간 수정한 것에다 신...
  • 천금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약재인 천금목(千金木 : 붉나무)의 껍질을 삶은 즙을 섞어 빚은 술. [내용] 『동국이상국집』ㆍ『()』ㆍ『치생요람(治生要覽)』ㆍ『산림경제』ㆍ『임원경제지』ㆍ『양주방』 등에 수록되어 있다. 제조법은 먼저 찹쌀과 볏짚을

고서·고문서(4)

주제어사전(4)

  • / [생활/식생활]

    生食辟穀)과 구황요기(救荒療飢)의 방법이 세종 때부터 여러 가지 책자로 간행, 보급되었다. ≪구황벽곡방 救荒辟穀方≫이 세종의 편집으로 간포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존하지는 않는다, 그 내용은 ≪≫에 많이 인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의 초판본은 총 17면

  • 신간 / 新刊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농가류(農家類) 신속(申洬) 개편, 목판본, 불분권 1책(14장), 합철 구황보유방(21장). 기근에 생명을 연명하는 내용의 책인 세종대에 편간된《()》을 1660년(현종 1)에 개편하여 간행한 책이다. 한문 원문 뒤에 언해를 덧붙였다.

  • 구황보유방 / 救荒補遺方 [언론·출판/출판]

    1660년(현종 1) 신속이 기아의 방지와 질병치료를 위하여 펴낸 책. 1책. 목판본. 구황에 필요한 지식을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를 합편 간행. 1676년(숙종 2)에 박치유가 중간하였다. 구황의 대책과 방법을 누구나 알 수 있도록 하였다.

  • 농가집성 / 農家集成 [경제·산업/산업]

    조선 중기의 문신 신속(申洬)이 편술한 농서. 1655년(효종 6)에 간행. ≪농사직설≫·≪금양잡록 衿陽雜錄≫·≪사시찬요초 四時纂要抄≫의 세 농서와 부록으로 ≪ ≫가 덧붙어 있는 합편이다. 그러나 각 부분의 내용은 시대에 따른 개수와 보충이 있어 당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