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구황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0)
- 구황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흉년이 들었을 때 기민(飢民)을 구제하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였던 관서. [내용] 처음에는 비변사에서 관장하다가 1626년(인조 4) 선혜청에 이속시켜 상평청(常平廳)과 합치게 하였다. 뒤에는 진휼청(賑恤廳)으로 개칭하였는데, 보...
- 상평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시행되지 못하였다. 조선 중기부터 중앙에 상평청을 두고 각 지방의 구제곡물을 관장하게 하였으나, 임진왜란 이후 유명무실하게 되어 1626년(인조 4) 대동법을 시행하던 경기청(京畿廳)과 함께 선혜청(宣惠廳)에 부속되었다. 이때 비변사(備邊司)에서 운영하던 구황청...이칭별칭진휼청|상진청
- 진휼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의창의 업무가 날로 번거로워지자 판적사에서 관장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에 세종 말엽에 구황청(救荒廳)과 상평창(常平倉)을 설치해 기민 구제는 구황청에, 곡가 조절은 상평창에서 각기 전담하게 하였다. 하지만, 구황청은 상평창(뒷날의...
- 진휼청(賑恤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제하는 일을 담당한 관서. [내용] 진휼청(賑恤廳)은 처음에는 구황청(救荒廳)이라 하였으며, 비변사에서 관장하였다. 고려시대 이래 궁핍한 자들을 진휼하기 위하여 의창(義倉)이 설치되었으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구로 삼사(三司)가 있었다. 의창은 조선이 건국된...관련어의창(義倉), 판적사(版籍司), 상평청(常平廳), 선혜청(宣惠廳)
- 상평청(常平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상평청 상평청 常平廳 상평(常平), 진휼(賑恤), 대동법(大同法), 구황청(救荒廳), 진휼청(賑恤廳)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성종~고종 양진석 [정의] 조선시대...관련어상평(常平), 진휼(賑恤), 대동법(大同法), 구황청(救荒廳), 진휼청(賑恤廳)
고서·고문서(2)
- 덕리(德里)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171 B049171 덕리 德里 정치행정 輿地圖書 平安道 江界府 坊里 三百五十一口女三百二十八口黃淸下里自官門北距三十五里編戶一百四十二戶男三百三口女三百四口黃淸中里自官門北距五十五里編戶七十四戶男二百七十一口女一百五十二口黃淸上里自官門北距七十里編戶一百九十一戶男四百口女三百六十二口...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今之穀簿,濤起雲騰,皆起於中世,衙門旣殊,穀名以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備局要覽》云:“國初創設常平廳,專管京畿五站勑需。” ○又云:“賑恤廳之稱,見於明宗甲寅,至仁廟丙寅,以備局句管救荒廳,移屬於宣惠廳。” ○英宗庚寅,宣惠提調鄭弘淳奏曰:“常平穀ㆍ賑恤穀,穀則通用,簿則分二,不便。請合爲一,名曰常賑穀。” 【一云:“顯宗庚子,創設賑恤廳,賑貸窮民,自備局句管。英廟...권차명經世遺表 卷十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2)
-
구황청 / 救荒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흉년 때 기민을 구제하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였던 관서. 처음에는 비변사에서 관장하다가 1626년(인조 4) 선혜청에 이속시켜 상평청과 합치게 하였다. 보통 때는 상평청으로 부르다가 구황업무를 행할 때만 진휼청으로 불렀다.
-
상평청 / 常平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흉년의 굶주린 백성들을 위한 비축곡물 및 자금을 관리하던 관서. 1626년(인조 4) 대동법을 시행하던 경기청과 함께 선혜청에 부속되었다. 이때 비변사에서 운영하던 구황청, 곧 진휼청과 병합되어 평소에는 상평청이라는 이름으로 곡물을 관리하고, 흉년이 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