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구황보유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11)
- 구황보유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탐구당, 1979) 『朝鮮醫學史及疾病史』(三木榮, 富士精版印刷株式會社, 1963) 『朝鮮産野生食用植物』(鄭台鉉‧임태치, 朝鮮總督府 林業試驗場, 1942) 구황보유방
- 신간구황촬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속이 언해, 편찬한 『구황보유방(救荒補遺方)』을 합철하였다. 내용은 송시열(宋時烈)의 서문, 『구황보유방』, 그리고 이택(李澤)의 서문이 있는 1554년의 『구황촬요』가 있고, 맨 끝에 신속의 발문이 있다. 필사본 『구황촬요』(1584년 해주본)는 고려대학교 도...
- 구황촬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농가집성 農家集成≫은 신속의 저작인 ≪구황보유방 救荒補遺方≫과 원간인 ≪구황촬요≫가 합쳐진 내용이다. 1639년(인조 17)에는 김육(金堉)의 합편 ≪구황벽온방 救荒辟瘟方≫이 나왔다. 이것은 원본 ≪구황촬요≫와 ≪벽온방언해≫를 합친 것이다. 1660년(현종 1)에...
- 감저경장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연대‧작자 미상의 고구마 재배에 관하여 기술한 책. [내용] 뒷부분에는 ‘구황보유방(救荒補遺方)’이라는 제목 아래 ≪구황촬요 救荒撮要≫와 ≪구황보유방≫ 중에서 적절히 초록한 것이 첨기되어 있다. 일설에는 이 책은 ≪종저방 種藷方≫...
- 구황촬요(救荒撮要)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要)』에 많이 인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구황촬요』의 초판본은 총 17면으로, 경주에서 목판본으로 발간되었다고 한다. 그 뒤 효종 때에 신속(申洬)이 합편으로 간행한 『농가집성(農家集成)』에 부록으로 포섭된 것은 신속의 저작인 『구황보유방(救荒補遺方)』...
주제어사전(2)
-
구황보유방 / 救荒補遺方 [언론·출판/출판]
1660년(현종 1) 신속이 기아의 방지와 질병치료를 위하여 펴낸 책. 1책. 목판본. 구황에 필요한 지식을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구황촬요』를 합편 간행. 1676년(숙종 2)에 박치유가 중간하였다. 구황의 대책과 방법을 누구나 알 수 있도록 하였다.
-
신간구황촬요 / 新刊救荒撮要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농가류(農家類) 신속(申洬) 개편, 목판본, 불분권 1책(14장), 합철 구황보유방(21장). 기근에 생명을 연명하는 내용의 책인 세종대에 편간된《구황촬요(救荒撮要)》을 1660년(현종 1)에 개편하여 간행한 책이다. 한문 원문 뒤에 언해를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