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호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였다. 1904년에 구호단(龜湖壇)으로 개칭함과 동시에 박종열(朴宗說)‧임치우(林致愚)‧유기섭(柳基燮) 등을 추가 배향하였으며, 1970년에 복원과 아울러 이라 명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사우(祠宇), 4칸의 백산재(柏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4동에 있던 서원. [내용] 1780년(정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권정(權定)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812년에 권두문(權斗文)‧김대현(金大賢)‧김영조(金榮祖)‧...
  • 김봉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영천(榮川)의 ()에 제향되었다.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이칭별칭 효백(孝伯)| 학호(鶴湖)
  • 노운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이 대표적인 작품으로 저자의 사상과 인생관을 엿볼 수 있다. 「구고서원강학서(講學序)」와 「이양서당기(梨陽書堂記)」는 교육의 의의와 목적, 제도 등을 열거한 것이다. 잡저 가운데 「동국연혁표(東國沿革表)」는 우리나라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실들을...
  • 송만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수에 목록이 있고, 이어 권1에 시 21수, 서(書) 2편, 제문 1편, 서(序) 2편, 책(策) 3편, 권2에 부록으로 만사‧가장‧행장‧입석고유문(立石告由文)‧묘갈명‧상량문‧...

고서·고문서(3)

  • 1868년 () 망기(望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망기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 노출된 것이 송구하여 비석을 세워 지나는 사람으로 하여금 예를 갖추게 한다는 내용이 더 들어 있다. 「廟宇上梁文」初議以蘭溪爲主享而嫌一州疊設未果 13 늦은 나이에 策文으로 登科하여 七營의 佐幕을 마다하지 않았으나 결국 환로에서의 공적은 이루지 못했다. 하지만 인품...
    분야문학 | 유형문헌
  • 浴贈金慶章(樂雲), 迃溪書院君子亭謹次壁上韻, 次金聖春芭蕉詩, 次權友(述模)德山僑居韻, 十月將向玄湖山行半日忽逢大江平流望見虎溪主山有感, 次權德膚(寅壽)大雨韻, 南至日謹次康節先生韻, 次上元會韻, 贐宜寧姜瑞天(鳳海, 以眉淵事來訪), 壬子四月二十四日卽余初度也止朝起有感拈四...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4)

  • /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4동에 있던 서원. 1780년(정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권정(權定)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812년에 권두문(權斗文)·김대현(金大賢)·김영조(金榮祖)·권창진(權昌震) 등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

  • / [교육/교육]

    열(朴宗說)·임치우(林致愚)·유기섭(柳基燮) 등을 추가 배향하였으며, 1970년에 복원과 아울러 이라 명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구고서원 /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사천리에 있었던 서원. 1780년(정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서한정(徐翰廷)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의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0년(고종 7)에 훼

  • 박종열 / 朴宗說 [종교·철학/유학]

    용서〉·〈태극도설〉등이 들어있다. 봉동읍 구미리 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