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구택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2)
사전(15)
- 구택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93(숙종 19)∼1754(영조 3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능성(綾城). 초명은 명규(命奎). 자는 성오(性五), 호는 존재(存齋). 대사성 성(宬)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종주(宗柱)이고, 아버지는 혁(爀)이며, 어...이칭별칭 성오(性五)| 존재(存齋)|명규(命奎)
- 구택규(具宅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구택규 구택규 具宅奎 인물 문신 한국 조선 숙종~영조 이현숙 이범직 2016 성오(性五) 존재(存齋) 양반 남자 1693년(숙종
- 구택규(具宅奎)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22 인물 구택규(具宅奎) 구택규 具宅奎 1693 175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성오(性五), 호는 존재(存齋). 1714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된 뒤 삼사의 요직을 역임하...유형분류인물
- 박정발(朴正發)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3522 인물 박정발(朴正發) 박정발 朴正發 ? ?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38년 3월 동래부사(東萊府使) 구택규(具宅奎)가 재직할 때에 경상도 웅천(熊川)에 사는 박정발(朴正發) 등 13명...유형분류인물
- 증수무원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22)에 주석을 붙여 『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으로 간행하였다. 그러나 애매하고 잘못된 점이 있으므로 1748년(영조 24) 왕의 특명으로 구택규(具宅奎)가 내용을 증보하고, 애매한 용어를 바로잡은 뒤 해석을 붙여 새로 편찬한 것이 『증수무원록』의 구본이다. 그...
고서·고문서(57)
- 증수무원록대전(增修無寃錄大全)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법제-법의학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4853 B07485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4年 3月 6日_024 ○李周鎭, 以備邊司言啓曰, 丁巳十二月二十五日, 大臣·備局堂上引見東萊府使具宅奎同爲入侍時, 因具宅奎所啓, 東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202 B07320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2年 5月 22日_002 ○下直, 東萊府使具宅奎。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4760 B07476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2年 5月 22日_002 ○下直, 東萊府使具宅奎。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1229 B01122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1年 1月 8日_010 ○傳于具宅奎曰, 有下敎事, 江都留守及禮判, 待開門入來事, 分付。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구택규 / 具宅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3∼1754). 1714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된 후 삼사의 요직을 역임하고, 1721년(경종 1) 노론의 실각과 함께 외직으로 물러났다가 동지 겸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이듬해 동래부사가 되었다.《속대전》의 편찬에
-
황택후 / 黃宅厚 [종교·철학/유학]
1687(숙종 13)∼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황상구이다. 최창대·이하곤·구택규 등의 문인이다. 금위영의 서리로 일하면서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 때 반란군을 토벌하는 도순무사 오명항의 막하에서 서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