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조언어학”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언어의 사회적(혹은 전달적) 기능을 강조하고 또한 역사적 사실과 주어진 단계의 언어 상태를 구별할 것을 강조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 [내용] 은 대체로 1930년을 전후하여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일반적 구조관을 배경으...
  • 한글적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어집 1권, 방언집 1권으로 되어 있으나, 전하는 것은 3권뿐이다. 주로 도표를 만들어 가능한 언어요소의 결합을 기술한 자료집이지만, 당시에 적 기술이 등장한 점에서 주목된다. 주시경(周時經)과 김두봉(金枓奉)의 문법을 계승하여 새롭게 발전시킨 것으로...
  • 이규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新文舘) 등이 전한다. [의의와 평가] 『온갖것』에는 희귀한 자료가 기록되었고, 『한글모죽보기』는 1907∼1917년의 국어운동사 자료로서 귀중하다. 특히, 『한글적새』는 미완성본이나 적 자료집으로서 중요시되며, 『현금 조선문전』은 출판된 초...
    이칭별칭 검돌
  • 형태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높’은 실질형태소, ‘이, 다’는 형식형태소이다. 中世國語의 時相과 敍法(高永根, 탑출판사, 1981) 표준국어문법론(남기심‧고영근, 탑출판사, 1985) 國語形態論硏究(高永根,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
  • 음운변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단계에 들어와서는, 특히 프라그학파(Prague 學派)의 음운사 이론에서 변화를 입는 것은 개개의 음소가 아니라 음소들 사이의 음운론적 대립, 나아가서는 그 대립들의 총체로서의 음운체계야말로 변화를 입는 실체라는 명제가 제시되었다. 가령...

주제어사전(1)

  • / [언어/언어/문자]

    언어의 사회적(혹은 전달적) 기능을 강조하고 또한 역사적 사실과 주어진 단계의 언어 상태를 구별할 것을 강조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 은 대체로 1930년을 전후하여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일반적 구조관을 배경으로 싹트기 시작하였다. 언어학에서도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