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구제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구급도감
연구성과물(4)
사전(4)
- 구제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치하였다. 이처럼 구제도감은 전염병자 등을 구제하기 위한 의료기구였으나, 1348년(충목왕 4) 진제도감, 1381년(우왕 7) 진제색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고려사(高麗史)』
- 진제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후기 일반인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임시관서. [내용] 1109년(예종 4)에 두어졌던 구제도감(救濟都監)의 후신으로 1348년(충목왕 4)에 설치되었다. 직제는 확인되지 않는다. 1381년(우왕 7)에는
- 사회보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관으로는 제위보(濟危寶)‧구제도감(救濟都監)‧진대도감(賑貸都監)‧진제색(賑濟色)‧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혜민국(惠民局)‧혜민전약국(惠民典藥局) 등을 들 수 있다. 제위보는 특정한 재원을 기초로 하여 거기에서 나오는 이식(利息:이자)을 구빈사업에 사용하는 것으로,...
- 사회정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치된 것으로 재난 때 빈민을 구제하고 병자를 치료하던 동서제위도감(東西濟危都監). ② 1109년(예종 4)에 설치된 것으로 대비원과 제위보만으로 빈민치료를 할 수 없을 때 임시로 설치되었던 구제도감(救濟都監). ③ 1258년(고종 45)에 설치하여 기근...
주제어사전(1)
-
구제도감 / 救濟都監 [과학기술/의약학]
고려시대 질병환자의 치료 및 병사자의 매장을 관장하던 임시관서. 1109년(예종 4) 개경의 백성들이 질병에 걸리자 이들을 치료하고, 병으로 죽은 사람들의 시체와 뼈를 거두어 드러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