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장복” 에 대한 검색결과 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2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현의(玄衣)와 청색 중단(中單)으로 구성된 구한말의 왕실복식. [개설] 이 유물들은 중요민속자료 제6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란 왕이나 황태자가 국가의 대례(大禮)와 제례(祭禮...
    이칭별칭면복(冕服) | 연계항목구장복(九章服)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요민속문화재 제66호.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현의와 청색 중단으로 구성된 구한말의 왕실복식.
    정의중요민속문화재 제66호.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현의와 청색 중단으로 구성된 구한말의 왕실복식.[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ujangbok | MR표기Kujangb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N3_D_0079 복식제도 遣使, 冊王, 世子 文宗十九年 契丹 麗史 D_18_01_55 대동운부군옥 18권 1장 5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1장 5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사위복(嗣位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담겨 있다. 새로 왕위에 오르는 왕세자는 왕의 대례복인 구류면(九旒冕), ()으로 구성되는 면복을 처음으로 입는다. 그 전에는 왕세자의 대례복인 팔류면(八旒冕) 또는 칠류면(七旒冕), 칠장복(七章服)을 입었지만 왕으로 즉위하면서 구류면(九旒冕), (...
    관련어면복(冕服), 사위(嗣位), 즉위(卽位), 흉례(凶禮)
  • 오장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왕의 면복(冕服) 일습(一襲) 중에서 용(龍)ㆍ산(山)ㆍ화(火)ㆍ화충(華蟲)ㆍ종이(宗彛)의 5가지 장문(章紋)을 그린 옷. 조선 시대 왕의 면복은 명(明)에 비해 2등급 낮은 친왕(親王)의 관복인 구류면 을 사여 받았는데, 곤복(袞服)의 9가지 장문 중 5장문은...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11)

  • 擁馬呼訴者多矣。 上曰, 場中, 何如? 無雜亂之弊乎? 履翼曰, 入門無雜, 士習濟濟矣。 命退, 履翼先退出。 命公轍讀擧條批答訖。 上曰, 此批謄付一本於新牧之行, 入去後, 出坐, 咸聚島民, 以此批旨, 一番洞諭之意, 言于新牧, 可也。 監司處擇送?裨, 島中民事, 仔細探來狀聞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讀擧條批答訖。 上曰, 此批謄付一本於新牧之行, 入去後, 出坐, 咸聚島民, 以此批旨, 一番洞諭之意, 言于新牧, 可也。 監司處擇送?裨, 島中民事, 仔細探來狀聞之意, 通之, 可也。 命書傳敎曰, 同副承旨許遞。 又命書傳敎曰, 承旨前望單子入之。 仍命退, 諸臣以次退出。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之後, 別遣承宣, 奉審摘奸, 此實出於我殿下致敬盡禮之盛意, 而陵園享祀之時, 或有宣傳官摘奸之命, 宣傳官則初不持章服而往, 故或以便服奉審祭物, 其在事體, 極爲未安。 請自今以後, 宣傳官不, 則不得奉審祭物。 上曰, 言固是矣。 古例則然, 此後從便爲之, 無或如前褻慢, 可也。 出...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一副 玉珪一面 金印一面 玉冊一副 象輅一 馬四匹 別賜衣帶匹段器 用若干 鞍轡馬三匹 散馬四匹 昔先王疆理天下 錫命六服 率因世守 用丕協於大公 肆朕君臨 若稽隆古 亦惟崇德 象賢 以奉若天道 咨爾楷 英氣邁往 淑質純茂粵自早歲 以孝友誠敬事親有聞 逮其纘承 衹德 彌邵 眷爾 先哲...
    국가중국 | 서명대금조령석주 | 왕대기타  
  • 유인궤의 뛰어난 문예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度濟海病卒 百濟爲僧道琛 信率衆復叛 立故王子扶餘豐爲王 引兵圍仁願於府城 詔仁軌檢校帶方州刺史 代文度統衆 便道發新羅兵合勢以救仁願 轉鬬而前 仁軌軍容整肅 所向皆下 …… 仁願旣至京師 上謂曰 卿在海東 前後奏請 皆合事宜 而雅有文理 卿本武將 何得然也 對曰 劉仁軌之詞 非臣所及也 上深...
    권차『冊府元龜』 卷388 將帥部 儒學 | 기사해제본 기사는 유인궤가 그 뛰어난 문예와 백제부흥군 평정의 공으로 대방주자사에 제수되었음을 전한다.

주제어사전(3)

  • / [생활/의생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현의(玄衣)와 청색 중단(中單)으로 구성된 구한말의 왕실복식. 이란 왕이나 황태자가 국가의 대례(大禮)와 제례(祭禮), 흉례(凶禮)에 사용하는 구장문(九章文)의 면복(冕服) 일습을 의미한다. 면복은 규(圭)와 면(冕), 의(衣), 상(裳)

  • 면류관 / 冕旒冠 [생활/의생활]

    것이 면류관으로, 이것이 우리 나라에 전래된 기록은 ≪고려사≫ 여복지(輿服志)에 처음 보이고 있다. 1065년(문종 19)에 거란주(契丹主)가 왕과 세자에게 구류관(九旒冠)과 ()을 보내왔다는 것이 그것이다. 조선시대에는 1403년(태종 3)에 명나라에서 왕

  • 원유관 / 遠遊冠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때 왕과 왕세자가 조현복인 강사포에 쓰던 관 원유관·강사포로 대를 이루는 조복이다. 제복인 면류관·, 상복인 익선관·곤룡포와 더불어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국왕의 예복으로 계속 준용되었고, 조선 말기에는 고종이 입고 찍은 사진도 있다. ≪세종실록≫ 예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