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월산” 에 대한 검색결과 4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0)

사전(206)

  • 낙산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황해도 신천군 초리면 흥학동 ()에 있었던 암자. [내용]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나 고려시대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우는 인법당(人法堂) 한 채뿐이지만 에서 가장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은 내가 흘러 풍치가 아름다운 곳이 많아 명승지를 이룬다. 아사달산(阿斯達山)‧궁홀(弓忽)‧백악(白岳)‧증산(甑山)‧삼위(三危)‧서진(西鎭) 등으로도 불린다. 이라는 말은 이 산이 소재하는 구문화현(舊文化縣)의 고구려 시대의 지명인 궁홀, 또는 궁올(弓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煥)‧이지표(李芝杓)‧원사현(元士賢)‧박지영(朴枝英)‧민양기(閔良基)‧고두환(高斗煥) 등 9명은 황해도 신천군 에서 같은해 8월에 무장독립대를 결성하고, 황해도 전역에 독립단기관 조직을 확대하면서 을 중심으로 군자금모금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들은 같은...
    이칭별칭구월산유격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40리 거리에 있는 것으로, 여장(女墻)이 321개가 있었고, 1012년(현종 3)에 궁올산(弓兀山)에 쌓았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궁올산이 바로 이다. 그 뒤 조선시대에 성을 수축하였으며,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당시의 둘레가 4백보이며 형태가 큰...
  • TD_C6_D_0074 산림 神 阿斯達 檀君 D_04_05_22 대동운부군옥 4권 5장 2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5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94)

  • 가보고 싶은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가보고 싶은 대한민국(남북한) DMZ박물관 문헌자료 삐라는 남북한 심리전의 한 수단으로 항공기나 기타 수단에 의해 적지에 산포 , 휴전선...
    대표표제어가보고 싶은 구월산 | 저작권자DMZ박물관 | 자료구분문헌자료 | 키워드구월산, 휴전선
  • 33915 B033915 남산 南山 산악 新增東國輿地勝覽 黃海道 安岳郡 佛宇 燃燈寺 在 靑菴寺 在楊山 南山寺 在紅岩山 慈光寺豆羅寺 俱在
    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則移屬于豐川椒島鎭) 南山(在縣南二里自西來山上有祈雨壇) 墨山(自西南來在南二十五里松禾縣界) 漢川(源出於高腰陶而墨山諸山衆水合流至縣西五里爲大川西北流入海州傍多稻田多有穿沙開渠灌漑之利)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4090 B034090 남산 南山 산악 黃海道邑誌 殷栗縣邑誌 殷栗縣 山川 ... 熊島 在縣西三十里詳見下関阨 醎川在縣北十三里人多沐浴已病今則味變炎而冷名攺為酸川人之沐浴已病如前 金山浦 自乾止山西来在縣北二十里 席島 在縣西三十里○今移屬于豊川椒島鎮 南山 在縣南二里自西来山上...
    출처전거黃海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9965 B039965 당도 堂島 도서 인천광역시 輿地圖書 黃海道 長連 山川 山川鳳凰山(在縣北五里自文化來爲本縣主脈) (在縣南十里詳見文化縣) 小金山(在縣西二十里) 海(在縣北十五里) 阿斯津松串山(在縣西十三里) 碓串(在縣西二十里) 叱法淵(在縣西道里坊十五里有鹽盆...
    출처전거輿地圖書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2)

  • 강원도라 밑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삼순 제보자가 앞 노래의 가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중에 제보자가 이 노래를 구연했다. 주변이 소란한 관계로 다시 한번 더 불러줄 것을 청 하자 재차 부른 것이 이 노래이다.
    조사일시2010. 1. 20(수) | 조사장소경남 합천군 율곡면 임북2구 마을회관(T.932-4083) | 제보자홍말순
  • 사또영산 밑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뒤쪽 창가에 놓인 소파에 앉아있던 제보자는 “내 한번 불러볼게.”라고 하며 조사장비가 있는 방 가운데로 나와안자 이 노래를 구연했다. 발음도 분명하고 목청도 좋게 잘 구연했다. 중간에 생각이 안 난다며 잠시 머뭇거리기도 하였다. 구연 후에 빠트려 먹었다며 아쉬워했...
    조사일시2010. 07. 14(수) | 조사장소경남 합천군 가회면 장대리 1103번지 장대 마을회관 | 제보자문은숙
  • 황해도라 밑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노래를 청하자 망설임 없이 할머니가 노래를 시작한다. 연신 흐뭇한 미소를 띠우며 노래를 부르고 나서는 마지막에 웃음지었다. 이에 조사자들도 따라 웃으면서 호응했다.
    조사일시2011. 02 .08 (화) | 조사장소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사동 2리 | 제보자박연옥
  • 신복순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한 거부감, 남편의 유격대 활동 - 통일에 대한 생각 월남민 구술 연구사업의 자료로서 구술자의 녹취문과 동영상 음성 자료 황해도, 안악군, 은율군, , 유격대, 줄하도, 초도, 백령도, 볼음도, 인천, 송현동, 황해도 부녀회, 통일
    구술자신복순 | 직업황해도민회 안악군민회장 | 지역황해도
  • 김영남, 황태식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군, 광복절 시가행진, , 신천, 민간인 학살, 청년방위대, 용매도, 증산도, 난민수용소, 피난민교회, 제1교회, 제7교회, 동키부대, 켈로부대, 8240부대, 황해도민회, 유승원, 한병혁목사, 이기영목사, 기총소사, 호주비행기 오폭사건, 평양, 방공, 돌모루,
    구술자김영남, 황태식 | 직업장로 | 지역중국 요녕

기초학문(1)

  • 삼성사 복원 과정을 통해 본 조선 초기 사대부의 신이인식-황해도 기이담론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성지, 게재일 : 2017
    63522 박성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열상고전연구회 2017 삼성사 복원 과정을 통해 본 조선 초기 사대부의 신이인식-황해도 기이담론 연구의 일환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
    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47)

  • 민세안재홍전집 : 檀君遷都와 洪水難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14 1934 7 14 6 4 安民世 안재홍 檀君聖蹟 登覽誌(四) 檀君遷都와 洪水難 신문 동아일보 1면 5단조간 기행문 여행 직접자료 5권 , 檀君遷都 A19340714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檀君朝天의想華世界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15 1934 7 15 6 5 安民世 안재홍 檀君聖蹟 登覽誌(五) 檀君朝天의想華世界 신문 동아일보 1면 6단조간 기행문 여행 직접자료 5권 , 檀君 紫月仙女 A19340715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鹿足聖母의靈蹟地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19 1934 7 28 4 3 安民世 안재홍 巡禮 (三) 鹿足聖母의靈蹟地 石洞十二曲 傳說 신문 동아일보 3면 1단조간 기행문 여행 직접자료 5권 , 石洞十二谷 A19340728동아0...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檀君聖蹟 登覽誌(一)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11 1934 7 11 6 1 安民世 안재홍 檀君聖蹟 登覽誌(一) 檀君聖蹟 登覽誌(一) 신문 동아일보 1면 2단 기행문 여행 직접자료 5권 , 白岳宮, 見葉寺 A19340711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檀君臺와馬韓洞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13 1934 7 13 6 3 安民世 안재홍 檀君聖蹟 登覽誌(三) 檀君臺와馬韓洞 신문 동아일보 1면 6단조간 기행문 여행 직접자료 5권 , 檀君臺, 月精寺 A19340713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주제어사전(24)

  • / [지리/자연지리]

    동쪽에는 오봉산(859m)이, 남쪽에는 아사달봉(阿思達峰, 687m)·비산(飛山, 583m) 등이 있다. 옛날에 단군이 수도를 평양에 정하였다가 이곳 에 옮기고 수 천 년간 나라를 다스렸다고 전한다. 산에는 단군에 관한 성적(聖蹟)이 곳곳에 있는데 단군이 있었다는

  • 성 / [예술·체육/건축]

    북한 황해남도 은율군 남부면 ()에 있는 삼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고구려의 석축 성곽. 성은 [해발 954m]의 유리한 지형을 이용하여 고구려 때 축성한 포곡식 석축 산성이다. 성벽을 쌓은 산릉선과 봉우리들은 절벽이거나 급한 경사로 인하여 지

  • 별곡 / 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세종 때 유영(柳穎)이 지은 경기체가. 이 책은 여러 가지 이본에 따라 그 표기와 어휘가 서로 약간씩 다르나, 내용은 대체로 비슷하다. 내용은 제1장에서 문화유씨의 발원지인 과 삼지강(三支江)을 배경으로 한 유주(儒州)에서 시조 유차달(柳車達)로부터 고려조

  • 아사달 / 阿斯達 [지리/인문지리]

    고조선의 단군왕검(檀君王儉)이 도읍을 정하였다는 전설적인 지명. 『삼국유사』에는 단군이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고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아사달은 하나의 전설적인 지명으로 평양과 ()이라는 두 가지 설이 있다. 단군은 처음 평양에 도읍을 정하였

  • 고두환 / 高斗煥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94-1932). 만주의 대한독립단에서 활약했다. 무장독립대인 대를 조직, 황해도에서 친일파 군참사 고학륜 암살 실패 후 신천군에서 일본경찰과 교전 중 체포, 12년 간 투옥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