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구연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1)
사전(97)
- 설중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구연학(具然學)의 번안소설(飜案小說). [개설] 1908년 회동서관(匯東書館)에서 발행하였다. 원작은 1886년에 발표된 일본 작가 스에비로(末廣鐵腸)가 지은 것으로 일본 개화기의 정치소설이다. [내용] 원작 「설중매」는
- 서각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편지. 河東所付書角 沒便未能.付, 구연학(具然學), 41-4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역우여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역책(易.)의 근심이 바로 곁에 있다’는 뜻으로 어른이나 스승의 죽음이 곧 임박한 것 같은 근심이 있다는 말. ‘역책(易.)’은 증자가 죽을 무렵에 깐 자리를 바꾸었다는 데서 나온 말임. 下生 重省恒在凜.焦煎中 易憂如右暫難出入, 구연학(具然學), 41-4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근대신어 : 상자(상자)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27272 상자 사항 상자 상자 우에 입든 옷을 걸처놋코 상자 위에 입던 옷을 걸쳐 놓고 구연학 설중매 1908 15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2, 226면 기타사물계통분류 [사회생활] 기타사물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부비(부비)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23949 부비 바항 부비 근 쳥결 부비도 단야 또 근래에는 청결 부비도 대단하여 구연학 설중매 1908 4 한국근대초기의어휘, 19면 소비계통분류 [정치경제] 소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기초학문(1)
- 우즈벡의 구연자와 구연학파, 알퍼므쉬 콘그롯(우즈벡) 판본의 구연본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71539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13 우즈벡의 구연자와 구연학파, 알퍼므쉬 콘그롯(우즈벡) 판본의 구연본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免戒懲 前摠巡張友植 度支書記官朱相翊 仝趙漢璧 仝金淳貞 度支書記郞孫弘模 仝朴容俊 仝高鎭煥 仝李錠桓 仝魚益善 仝尹炳一 仝崔셕斗 仝安漢鎭 仝張 휴 仝丁奎英 仝金潤柱 任稅務官 陸軍法院理事鄭恒謨 任中樞院副賛議 以上七月十一日 全東肅 宋在燁 具然學 尹善海 任鼎淳 金邦赫 張셕雄 沈...게재일1907년 7월 14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2)
- 구연학;具然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4625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68면 1. 제12. 졸업생;7) 법과 제4회 졸업생 (1911년 1월 28일) 45인 구연학;具然學 보령군;(원적)충남 보...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구연학;具然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6478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80면 2. 제8. 졸업자;7) 제4회 법과 45인 (1911년 1월 28일) 구연학;具然學 (원적)충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구연학 / 具然學 [문학/현대문학]
1874-미상. 일제 강점기 소설가. 본관은 능성, 출신지는 충청남도 해미(서산)이다. 1904년(광무 8) 중교의숙(中橋義塾)에 입학하였지만 1년 8개월 만에 자퇴하였다. 그 후 관직에 나아가 군부번역관보(軍部繙譯官補)·내각주사(內閣主事)·군부번역관(軍部繙譯官)·승
-
금강문 / 金剛門 [문학/현대문학]
소설로서의 면모를 보이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일본 작가 스에히로 텟초(末廣鐵腸)의 원작소설「설중매(雪中梅)」(1886)의 내용과 일정한 유사성이 있기 때문에 번안소설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비교적 충실한 번안 작품으로 볼 수 있는 구연학(具然學)의「설중매」(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