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구연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5)
- 구연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두록(俎豆錄)』 『전고대방(典故大方)』 『태학지』(성균관, 1984) 『거창향지』(거창군, 1982) 거창 구연서원 관수루 ...
- 윤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병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에 녹훈되었다. 촉석정충단(矗石旌忠壇)에 병향(並享)되고, 삼가의 구연서원(龜淵書院)에 제향되었다. 『선조실록(宣祖實錄)』 『구산실기(龜山...이칭별칭 성원(聲遠)| 구산(龜山)
- 석곡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ㆍ의병장 성팽년(成彭年)의 시문집. [내용] 2권 2책. 목활자본. 1804년(순조 4)에 구연서원(龜淵書院)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의조(李宜朝)의 서문, 권말에 윤수정(尹守正)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으며...
- 윤탁(尹鐸)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도와 싸워 승리하였다. 1593년 제2차 진주성전투에서 김천일(金千鎰)‧최경회(崔慶會) 등과 함께 적에 맞서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후에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에 녹훈되었다. 촉석정충단(矗石旌忠壇)과 구연서원(龜淵書院)에 배향되었다.유형분류인물
- 거창군(경상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건립되고 1680년(숙종 6)에 사액된 주상면 완대리에 완계서원(浣溪書院), 1637년(인조 15)에 건립된 북상면 월성리에 성천서원(星川書院), 1694년에 건립된 위천면 대정리에 구연서원(龜淵書院) 등의 많은 서원이 있었다. 사우로는 1738년에 설립된 웅양...
고서·고문서(1)
- 강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다. 全州 南門 밖 鉢山의 남쪽 玉流洞에 있으며, 최담은 崔德之(1384∼1455)의 아버지이다. 龜淵書院事蹟碑 (10) 龜淵書院의 事蹟碑이다. 安義縣 북쪽 猿鶴洞에 위치하고 있으며, 愼權․成彭年(1540∼1594)․愼守彝를 배향하고 있다는 것 등의 사적을 기록하고...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4)
-
구연서원 / 龜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대정리에 있었던 서원. 1694년(숙종 20)에 지방유림이 신권(愼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신권이 제자를 가르치던 구주서당(龜州書堂) 자리에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성팽년(成彭年)과 1808년에 신수이(愼守彛)를 추
-
거창구연서원관수루 / 居昌龜淵書院觀水樓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구연서원에 있는 조선후기 에 건립된 서원건물.누각. 시도유형문화재. 구연서원은 원래 조선 전기의 학자 요수(樂水) 신권(愼權, 1501~1573)이 제자들을 가르치던 구주서당(龜州書堂) 자리였는데, 1694년(숙종 20)에 그의 덕행을 기리기
-
신권 / 愼權 [종교·철학/유학]
40년(중종 35)에 세워 제자들을 가르쳤던 향교 근처에 사우를 건립하여 신권‧성팽년을 향사하였는데, 1694년(숙종 20)에 구연서원으로 명명되었다
-
신수이 / 愼守彝 [종교·철학/유학]
꺼려 도신의 요청에 여러 번 거절을 하였고, 1749년(영조 25)에는 동몽교관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이후 황산의 산자락에 장사지냈으며 구연서원에 배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