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압물”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중국 북경으로 가는 사신의 수행원으로서, 방물(方物 : 중국에 보내는 조선의 토산품)의 호송 및 관리 책임자. [내용] 사역원의 역관 중에서 임명되었다. 동지사ㆍ성절사 등의 정기 사행에는 2인의 이 방물영거관(方物領去官)으...
  • 조득현(趙得賢)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學)을 전공하였으며, () ∙ 직장(直長)을 지냈다.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압물통사(押物通事)로...
    유형분류인물
  • 최숭제(崔嵩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한학(漢學)을 전공하여 () ∙ 주부(主簿) 등을 지냈다. 1748년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태기(南泰耆) ∙ 종사관 조명채(曺命采)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시게(德川家重)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압물통사(押物通...
    유형분류인물
  • 권흥식(權興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丁卯) 식년시(式年試) 역과에 1위로 합격하였고, 한학(漢學)을 전공하여 () ∙ 첨정(僉正) 등을 지냈다.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유형분류인물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중국 북경으로 가는 사신의 수행원으로서, 방물의 호송 및 관리 책임자. 사역원의 역관 중에서 임명되었다. 동지사·성절사 등의 정기 사행에는 2인의 이 방물영거관(方物領去官)으로 편성되어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