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암집” 에 대한 검색결과 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3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문신‧학자 신응조(申應朝)의 시문집. [개설] 원집 13권 속집 7권, 재속집 8권으로 모두 28권 14책이다. [편찬/발간 경위] 원래 『』 127권이 필사본으로 가장(家藏)되어 오다가 6‧25 때 없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황효공 / 황효공 조선 중기의 학자 황효공의 시문집. 1837년(헌종 3) 황인팔 등이 편집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정(李楨)의 시문집. [내용] 1권 1책. 활자본. 1641년(인조 19) 증손 함일(涵一)과 백서우(白瑞羽)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조경(趙絅)의 서문과 허목(許穆)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비로서의 강직한 기상이 잘 나타나 있다. 부록의 「을사사적(乙巳事蹟)」과 「을사록」은 후세의 불의와 부정을 경계하기 위하여 을사사화 때 윤원형(尹元衡) 등의 비행을 기술한 것이다. / 을사록 조선 중기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이나 의리‧인격 등에 관하여 쓴 것이 대부분이다. 「일록」은 1784년(정조 8) 1월부터 그가 죽은 해인 1802년(순조 2) 3월까지의 일기이다. 관북지방의 학문적 연원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단행본(3)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9세기) 2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저자 : 김인걸(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사 | 출판일 : 2012.12.31.
    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
    槐園集 槐軒集 皎亭詩集 龜岡集 舊堂集 菊隱遺稿 菊泉遺稿 菊坡遺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해제 19 - 성주, 고령, 선산, 김천 -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저자 : 권진호, 김명균, 정의우, 남재주, 황동권... | 출판사 : 한국국학진흥원 | 출판일 : 2013.10.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부훤재집(負暄齋集) 농곡집(農谷集) 겸재집(謙齋集) 명암집(明庵集) () 봉하집(鳳下集) 만휴집(晩休集) 거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9세기) 1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1.08.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敬菴集 鏡巖集 絅齋集 敬軒遺稿 戒 溪堂集 溪堂草稿 古溪集 古今堂集

고서·고문서(5)

  • [人事篇六]治道門三_箕子田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箕子田 箕子井田, 其實非井也. 一頃方七十步, 四頃爲區, 如田字樣, 整齊不錯, 《韓》可考而知也. 愚謂, 夏后氏之井九區, 區各四夫, 合三十六夫也. 一區爲四夫之田, 如田字樣. 殷人增爲七十, 則合二夫爲一夫, 而井爲十八夫. 周人增, 至百畝, 則合殷之二夫爲一夫, 而井始爲...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人事門6_箕子田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箕子田 箕子井田, 其實非井也. 一頃方七十步, 四頃爲區, 如田字樣, 整齊不錯, 《韓》可考而知也. 愚謂, 夏后之井九區, 區各四夫, 合三十六夫也. 一區爲四夫之田, 如田字樣. 殷人增爲七十, 則合二夫爲一夫, 而井爲十八夫. 周人增, 至百畝, 則合殷之二夫爲一夫, 而井始爲九夫...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二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韓久菴〈井田說〉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爲一大區,延袤數里,正陽門外,畛域益分明。乃作〈井田說〉,以明殷ㆍ周田制之不同,其詳在《》。英廟晩年,洪趾海爲平安監司,以溝洫之間,陳廢可惜,遂漫其經界。近有一道臣,按舊跡而修復之。乾隆之末,勑使求〈井田說〉,蓋皇旨也。久菴說及柳磻溪諸說,得進中國,想有傳述也。【平壤有箕子杖,乃三千年物】 雖...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38)가 지은 저자의 행장이다. 墓誌銘 15 金翰洛(1858~1945)이 지은 저자의 묘지명이다. 跋 南相春과 저자의 13세손인 李宰東이 지은 발문이다.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해좌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序 (35) 金就成의 동생 金就文(1509∼1570)의 문집인 『』의 서문이다. 김취문의 현손 金夢華의 부탁을 받고 썼다. 道德, 論議, 出處의 세 가지 관점에서 김취문의 삶을 평가하고 있다. 靜養堂兩世遺稿序 (36) 靜養堂 李某와 그의 손자 聾隱公 李某...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4)

  • / 戒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윤형로의 시·서(書)·독서장·변 등을 수록한 시문집. 14권 7책. 신활자본. 증손 윤수연(尹守淵)이 편집, 간행하였다. 김병학(金炳學)의 서와 김학성(金學性)의 발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은 시 139수, 권2∼4는 서(書) 43편, 권5는 서

  • /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이풍의 시·서(書)·잡저·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손자 상석(相奭)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의수(李懿秀)의 서문과 권말에 상석의 후지가 있다.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 있다.권1은 시·서(書), 권2∼4는 잡저 17

  • /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황효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7년에 간행한 시문집. 2책. 목판본. 1837년(헌종 3) 그의 10대 손인 인팔(鱗八) 등이 편집, 손자 언주(彦柱)의 유고인 『농고공일고(農皐公逸稿)』를 합간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유치명(柳致明)·이휘령(李彙

  • /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이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41년에 간행한 시문집. 1권 1책. 활자본. 1641년(인조 19) 증손 함일(涵一)과 백서우(白瑞羽)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조경(趙絅)의 서문과 허목(許穆)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시

  • /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성익의 시·잡저·만사·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1책 90장. 목판본. 그의 친구 권상하(權尙夏)와 아들 대령(大齡)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고 하는데,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시 2백여 수, 소 1편, 서(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