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실잣밤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25)

  • 도순리녹나무자생지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 보호림의 구실도 한다. 녹나무 중 가장 큰 나무는 높이 15m, 가슴높이둘레 2.1m 정도이며, 북쪽으로는 가지가 뻗지 못하고 있다. 그 주변에는 녹나무 이외 팽나무‧‧상산 등이 자라고 있다. 녹나무는 한약재로 많이 쓰이므로 벌채되거나 수피...
    연계항목도순리녹나무자생지군락(道順里녹나무自生地群落)
  • 예송리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심어진 상록활엽수림이다. 수림의 길이는 1.5㎞였는데 남단의 일부는 1962년의 사라호 태풍에 해를 받아서 파괴되었고, 북쪽의 일부도 고사하였다. 이 북쪽의 상록수림은 50∼100년생의 곰솔로 대치되어 있다. 수종은 후박나무‧모밀잣밤나무‧‧참가...
    연계항목예송리의상록수림(禮松里의常綠樹林)
  • 고흥봉래면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져서 난대림의 형태를 제대로 지니고 있다. 숲의 수종은 상록활엽수가 16종, 침엽수가 3종, 그리고 낙엽활엽수가 27종 정도이며, 밑에서 27종 내외의 잡초가 자라고 있다. 상록활엽수가 임관(林冠: 수림의 위층 모양)을 형성하며 감탕나무‧개산초‧광나무‧...
    연계항목고흥봉래면의상록수림(高興蓬萊面의常綠樹林)
  • 산방산암벽식물지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굴(海蝕洞窟)인 산방굴이 있으며, 정상 사면에는 희귀한 착생식물종이 자란다고 알려져 있다. 암벽 밑에서 자라는 곰솔림을 지나서 암벽과 암벽 상부에서 자라는 상록활엽수는 ‧참식나무‧후박나무‧생달나무‧육박나무‧돈나무‧까마귀쪽나무‧조록나무 및 후피향나무...
    연계항목산방산암벽식물지대(山房山岩壁植物地帶)
  • 문섬의상록활엽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 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54과 106속 123종이며 특기할만한 식물종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무늬천남성‧홍도원추리‧덩굴모밀‧바위연꽃‧왕초피나무‧담팔수나무‧산호수‧왕작살나무‧좀굴거리나무 등이고, 그밖에도 후추등‧소귀나무‧‧동백나무‧겨우살이...

주제어사전(4)

  • /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akai [과학/식물]

    ldii Nakai이다. 천연기념물 제343호로 지정된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에는 거목으로 구성된 숲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를 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잎의 길이는 5∼15㎝, 너비는 3∼7㎝이다.

  •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濟州山房山岩壁植物地帶 [지리/인문지리]

    사면에는 희귀한 착생식물종이 자란다고 알려져 있다. 암벽 밑에서 자라는 곰솔림을 지나서 암벽과 암벽 상부에서 자라는 상록활엽수는 ·참식나무·후박나무·생달나무·육박나무·돈나무·까마귀쪽나무·조록나무 및 후피향나무 등이며 초본류로는 여우팥 및 여우콩 등이 특히 눈

  • 제주 천제연 난대림 / 濟州天帝淵暖帶林 [지리/자연지리]

    로 흘러 제2, 제3의 폭포가 된다. 계곡의 양쪽 가에는 난대에서 자라는 동백나무··산유자나무·보리밥나무를 비롯한 상록활엽수가 우거지고, 그 밑은 습기가 많기 때문에 더부살이고사리·도깨비고비, 기타 양치류가 무성하다. 숲 가장자리에는 키가 작은 된장풀·사스레

  • 제주 천지연 난대림 / 濟州天地淵暖帶林 [지리/자연지리]

    하고 습기가 많기 때문에 암벽에는 솔잎난이 붙어 있고, 계곡 가장자리에는 ·동백나무·까마귀쪽나무·후박나무·참식나무·새덕이·조록나무 등 상록활엽수를 비롯하여 백량금·사스레피나무·후추등·모람·보리밥·보리장·송악 및 마삭줄 등 각종 상록덩굴식물과 작은 나무, 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