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비문학” 에 대한 검색결과 7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84)

사전(42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學), 표박 문학(漂泊文學), 적층 문학(積層文學) 등으로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구전되면서 거듭 창작되기 때문에 그 모습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거듭 창작될 때마다 내용이 누적되어 간다는 특징을 들어서 그렇게 부르는 것이다. 은 특정인이 어느 때 창작해...
  • 한국대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한국정신문화연구원(韓國精神文化硏究院)에서 간행한 전국 자료 조사보고서. [내용] 자료집 82책, 부록 3책(유형 분류 및 색인). 1979년부터 1985년에 걸쳐 조사작업이 이루어졌고, 간행은 1980년∼1992년에 이루어졌다....
  • 공중사 절을 지어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현재 벌어지고 있는 것이 목수들이 절을 짓고 있는 장면임을 청각적으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참고문헌】 허용호‚〈서산 박첨지 놀이 연구〉‚《연구》10‚ 한국회‚ 2000.
    대분류인형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홍새인형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도판 1) 【참고문헌】 허용호‚ 〈서산 박첨지 놀이 연구〉‚ 《연구》10‚ 한국회‚ 2000. 【사진 및 도판】 도판 1. 서산박첨지놀이의 홍새인형과 매인형.. 도판 1. 서산박첨지놀이의 홍새인형과 매인형..jpg
    대분류인형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스님인형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다. 살구색 얼굴에 여성적인 이목구비를 하고 있다. 卍 표시가 있는 고깔을 썼다. 옷은 회색 승복을 입었다. 머리와 상반신만 있는 반신 형태를 하고 있다. (도판 1) 【참고문헌】 허용호‚ 〈서산 박첨지 놀이 연구〉‚ 《연구》10‚ 한국회‚ 2000....
    대분류인형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단행본(29)

  • 증편 한국대계 1-12 경기도 파주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김헌선 ... | 출판사 : 역락 | 출판일 : 201512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 증편 한국대계 3-6 충청북도 음성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이창식 ... | 출판사 : 역락 | 출판일 : 201512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 증편 한국대계 4-8 충청남도 서천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황인덕 ... | 출판사 : 역락 | 출판일 : 201512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 증편 한국대계 1-10, 경기도 김포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김헌선, 최자운, 김은희, 변남섭, 시지은... | 출판사 : 역락 | 출판일 : 2014.10.28.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 고촌면 2. 김포1동 3. 김포2동 4. 대곶면 5. 양촌면 6. 월곶면 7. 통진읍 8. 하성면
  • 증편 한국대계 1-11, 경기도 가평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신동흔, 노영근, 이홍우, 한유진, 구미진... | 출판사 : 역락 | 출판일 : 2014.10.28.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 가평읍 2. 북면 3. 상면 4. 설악면 5. 청평면 6. 하면 7. 통진읍 8. 하성면

논문(1)

고서·고문서(2)

  • 한국 민담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한국 민담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문학 한국 민담사전 최근학 編 문화출판공사 서울 1994 전문사전; ; 민담 ...
    대표표제어한국 민담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문학
  • 韓國 民譚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韓國 民譚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문학 韓國 民譚辭典 崔根學 編 문학출판공사 서울 1987 전문사전; ; 민담 ...
    대표표제어韓國 民譚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문학

구술자료(6)

  • c.kr - 음성자료 - 한국대계 음성자료 안내엔 ‘산아지타령’이라 되어 있으나, 진도아리랑의 출처가 되는 ‘산아지곡’과는 구별되고, 이웃 홍성군에서 널리 불리우는 수양산계 산타령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아 ‘수양산계 만물소리’로 분류하였다. 호미로 논맬 때
    녹음지역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야현리 통골 | 녹음날짜1986.8.9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서울 20170112_서울시 광진구 화양동 건국대학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어린 시절에 아버지에게 직접 들은 설화인 점을 강조하였고, 을 한국에서 공부하면서 설화에 대하여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점도 밝혔다. 약 2시간 동안 매우 진지한 분위기 속에서 설화조사가 진행되었고, 제보자와 다음 조사를 약속하고 헤어졌다. 201701
    제보자황샤오링 [중국, 여, 1986년생, 유학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한국어를 배우게 된 사연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다른 대학은 어학 쪽 이런 게 강하고. 건대는 좀, 건대가 원래 좀 국문과가 설화, 이런 거에 좀 많아요. 그쪽 전공이. 신동흔선생님이 원체 오래 계셔서. 그래서 전공 수업도 그런 거 들으시는구나.] 네. [조사자2: ‘의 이해’, ‘의 세계’
    국가타지키스탄 | 제보자무나바르 [타지키스탄, 여, 1995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에 나오는 이야기 중에 하나였어요. 바꿔서 이제 처럼 된 거예요. [조사자1: 들려주신 거예요?] 네. 그냥 락시미 그런 역할 아니었는데 그 책에서. 돈이랑 관련된 거니까 그걸로 문화를 연결시켜서 그렇게 만든 거예요.
    국가인도 | 제보자파드마바티차크라바르티 [인도, 여, 1992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나영에 대한 이야기(1)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승민 조사팀의 연구실에서 조사팀과 황샤오링 씨가 첫 인터뷰를 시작했다. 다과를 하며 서로 소개를 한 후 본격적인 조사를 했다. 제보자가 자신의 고향인 ‘사현’에는 ‘나영’이라는 유명한 사람이 있다면서 그의 이야기를 시작하였다. 제보자는 한국어 수준뿐 아니라
    국가중국 | 제보자황샤오링 [중국, 여, 1986년생, 유학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07)

  • 유고과 한국의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상헌, 게재일 : 2000
    09289 김상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0 유고과 한국의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북한의 장르인식과 관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문태, 게재일 : 2005
    33847 김문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북한의 장르인식과 관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동해안지역 의 역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호동, 게재일 : 2003
    00306 김호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3 동해안지역 의 역사성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동북아시아 무속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양민종, 게재일 : 2006
    22294 양민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러시아연구소 2006 동북아시아 무속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헝가리 연구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경민, 게재일 : 2002
    15037 한경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회 2002 헝가리 연구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2)

멀티미디어(113)

  • 서울과의 만남_1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김여주 교수 엄태웅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저서 『서울의 고전소설』(서울역사편찬원, 2024) 신호림 교수 현) 국립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고전산문() 전공 (문학박사) 대표저
    강좌제목서울의 역사와 문화 공간 | 강의자엄태웅 교수, 신호림 교수, 정제호 교수, 강성봉 교수, 김여주 교수
  • 서울과의 만남_1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김여주 교수 엄태웅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저서 『서울의 고전소설』(서울역사편찬원, 2024) 신호림 교수 현) 국립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고전산문() 전공 (문학박사) 대표저
    강좌제목서울의 역사와 문화 공간 | 강의자엄태웅 교수, 신호림 교수, 정제호 교수, 강성봉 교수, 김여주 교수
  • 조선 전기와 한양_2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김여주 교수 엄태웅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저서 『서울의 고전소설』(서울역사편찬원, 2024) 신호림 교수 현) 국립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고전산문() 전공 (문학박사) 대표저
    강좌제목서울의 역사와 문화 공간 | 강의자엄태웅 교수, 신호림 교수, 정제호 교수, 강성봉 교수, 김여주 교수
  • 조선 전기와 한양_2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김여주 교수 엄태웅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저서 『서울의 고전소설』(서울역사편찬원, 2024) 신호림 교수 현) 국립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고전산문() 전공 (문학박사) 대표저
    강좌제목서울의 역사와 문화 공간 | 강의자엄태웅 교수, 신호림 교수, 정제호 교수, 강성봉 교수, 김여주 교수
  • 조선 전기와 한양_2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김여주 교수 엄태웅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저서 『서울의 고전소설』(서울역사편찬원, 2024) 신호림 교수 현) 국립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고전산문() 전공 (문학박사) 대표저
    강좌제목서울의 역사와 문화 공간 | 강의자엄태웅 교수, 신호림 교수, 정제호 교수, 강성봉 교수, 김여주 교수

연구결과보고서(4)

연구과제(10)

주제어사전(14)

  • / [문학/구비문학]

    전반적인 조사는 1979년 이래 출간된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 『한국대계』에서 이루어졌다.

  • 한국대계 / 韓國大系 [문학/구비문학]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전국 자료 조사 보고서.조사보고서. 자료집 82책, 부록 3책(유형 분류 및 색인). 1979년부터 1985년에 걸쳐 조사작업이 이루어졌고, 간행은 1980년∼1992년에 이루어졌다. 이 방대한 조사사업은 19

  • 동요 / [문학/구비문학]

    래되어 온 전승동요(傳承童謠 : 口傳童謠·傳來童謠라고도 한다)와, 어른이 어린이들을 위해 창작한 창작동요(創作童謠)로 나뉜다. 전승동요는 민요·설화·속담 등과 더불어 ()에 속하며, 내용은 자연의 변화를 노래한 것이 많고, 유희를 하면서 부르는 것이 대부

  • 이여송설화 / 李如松說話 [문학/구비문학]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 이여송에 관한 설화. 인물전설의 하나로, 『기문총화(記聞叢話)』·『난중잡록(亂中雜錄)』·『대동기문(大東奇聞)』·『동야휘집(東野彙輯)』·『임진록(壬辰錄)』·『한국대계(韓國大系)』 등에 실려 있다. 이여송은 임진왜란의 위기에서 조선

  • 나주 기민창 조상본풀이 / [문학/구비문학]

    하는 굿을 할 때 심방(무당)에 의하여 불려진다. 현재 한 편이 채록되어 전해지고 있다. 이 본풀이는 제주도에서 성행한 뱀신 신앙을 구체적으로 설화화한 서사무가의 하나인 동시에 절해고도인 제주도민의 해상 교통의 난관을 반영하여 준 으로서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