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봉령” 에 대한 검색결과 3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2)

사전(3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조실록(宣祖實錄)』 『백담문집(栢潭文集)』 필적 1526(중종 21)-1586(선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글씨는 ≪근묵...
    이칭별칭 경서(景瑞)| 백담(柏潭)| 문단(文端)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자유학자, 학자/과학자 인물 한국 조선 명종~선조 최양규 김구진 2007 경서(景瑞) 백담(柏潭), 규봉(圭峯) 문단(文...
  • 권태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큰아버지인 집의(執義) 춘란(春蘭)에게 입양되었다. ()의 문인이다. [내용] 1591년(선조 24)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599년에는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권지부정자로 등용되고, 이어서 검열ㆍ승정원주서ㆍ시강원설...
    이칭별칭 수지(守之)| 장곡(藏谷)
  • 정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룡(柳成龍)ㆍ()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01년(선조 34)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대과에는 거듭 실패하였으며, 광해군 때의 대북정권하에서 과거에 대한 뜻을 끊었다. 인조반정 뒤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의금부도사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
    이칭별칭 수보(壽甫)| 송오(松塢)
  • 권춘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특히 『주역』에 전심하였으며, 유성룡(柳成龍)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하였다. 1560년(명종 15)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573년(선조 6)에 문과에 급제, 성균관학유ㆍ학록을 거쳐 예문관검열ㆍ사헌부감찰ㆍ대동도찰방(大同道察訪)ㆍ...
    이칭별칭 언회(彦晦)| 회곡(晦谷)

고서·고문서(279)

  • 에게 시호를 내린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4052 2450_01 에게 시호를 내린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시호교지 한자 고문서 KBR005.JPG 에게 시호를 내린 교지 교지 國王 道...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에게 시호를 내린 교지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4053 2450_02 에게 시호를 내린 교지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시호교지 한자 고문서 KBR005.hwp 敎旨 贈自憲大夫吏曹判書兼弘文 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 經筵義禁府...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에게 資憲大夫 吏曹判書를 증직한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4050 2449_01 에게 資憲大夫 吏曹判書를 증직한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증직교지 한자 고문서 KBR004.JPG 에게 資憲大夫 吏曹判書를 증직한 교지 교...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에게 資憲大夫 吏曹判書를 증직한 교지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4051 2449_02 에게 資憲大夫 吏曹判書를 증직한 교지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증직교지 한자 고문서 KBR004.hwp 敎旨 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經筵 成均館事藝文館提學...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安燦重 등이 백담 의 제사를 위해 합의한 완의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4137 2502_01 安燦重 등이 백담 의 제사를 위해 합의한 완의 01 문화ㆍ생활 문헌 미상 종가, 일상생활, 문중생활, 완의 한자 고문서 KBR054.JPG 安燦重 등이 백담 의 제사를 위해 합의한 완의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526(중종 21)∼1586(선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문정공 구휘 8세손, 할아버지는 중좌승지 구중련,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구겸의 아들, 어머니는 권회의 딸이다. 외종조 권팽로『소학』을 배워 문리를 얻고, 1545년 이황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대

  • 주계서원 / 周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주계리에 있었던 서원. 1612년(광해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33년(인조 11) ‘주계(周溪)’라 사액되었으며, 그 뒤 권춘란(權春蘭)을 추가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 권춘란 / 權春蘭 [종교·철학/유학]

    1539년(중종 34)~1617년(광해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증좌승지 석충이며, 어머니는 함창김씨다. ·이황의 문인으로, 유성룡·정구등과 교유하였다. 성균관사성, 청송부사, 홍문관 수찬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진학도』·『공문언행록』·『회곡집』 등

  • 백담문집 / 栢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14권 6책. 목판본. 본집은 1645년(인조 23) 풍기군수 김계광이 편집·간행하였고, 속집은 1691년(숙종 17) 이유수와 김성구가 간행하였다. 본집에는 권두에 홍여하의 서문과 권말에 유동준의 발문이 있고, 속집에는 김

  • 능성구씨세보 / 綾城具氏世譜 [사회/가족]

    조선시대 문신 구사맹· 등이 중심이 되어 1576년에 간행한 능성구씨의 족보. 편찬 실무는 구인(具仁)·구사심(具思諶)이 담당하였으며, 청주의 보살사(菩薩寺)에서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원본의 현존 여부는 미상이나 1576년에 작성된 변순(邊循)의 후지(後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