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복원”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특수관서. [내용] 원(院)이란 관해(官廨)를 의미하는 것으로, 외에도 도염원(都鹽院)ㆍ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 등이 있었다. 고려시대의 특수관청은 대부분 그와 관련되는 상위의 정규관부가 파악되고 있으나, 은 어느
  • 중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삼사(三司)의 서리직(胥吏職). [내용] 2인이 배속되었다. ()에도 소속되었는데 이는 권무직(權務職)의 성격을 띠었으며, 경제적 처우는 녹(祿) 8석에 해당되었다. 『고려사(高麗史...
  • 김극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의 문신. [내용] 할아버지는 검교태자소부(檢校太子小傅)를 지낸 유막(兪邈), 아버지는 경시서승(京寺署丞)을 지낸 원부(元夫)이다. 문과에 급제한 뒤 의주판관을 거쳐 남면북면판관(南面北面判官)을 역임했...
  • 백분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뽑는 일을 맡았는데 뽑은 인물로 명승(名僧)이 많았다. 1216년(고종 3)에 거란유종(契丹遺種)이 침입하여 피해가 많으므로 소복사(蘇復使)가 되어 서해도(西海道 : 黃海道)에 나가 궁핍한 백성들을 구제하였다. 벼슬이 판관(判官)‧비서교서랑(祕書校書郎...
    이칭별칭 무구(無咎)| 남양(南陽), 참선거사(參禪居士)

고서·고문서(2)

  • 況有家嗣內侍將軍竩是李副樞藏用家婿也性本忠孝就幹蠱柱天一新敎化或傾私帑爲充備御時方歲險餓莩滿塗大發家廩周邦賑救垂死而復活者幾千万戶神人交感雨暘咸若有子若此是所謂死而不死也次子爲判官今未冠婚有一女▣幼 ⁄公天資雄麗雅尙出塵尤工於翰墨嘗一日登高閣賞春光作一絶落句云旡賴狂風吹好事亂驅紅雨過長河有吹落...
    출처전거高麗墓誌銘集成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行在雜錄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陞座, 樂止. 鑾儀衛官贊鳴鞭, 階下三鳴鞭. 鳴贊官排班, 丹陛大樂作, 奏「慶平」之章. 鴻臚寺官, 引諸王文武官, 各排班立. 鳴贊官贊引贊跪, 王以下衆官, 進跪; 贊叩頭興, 王以下衆官, 行三跪九叩頭; 鳴贊官贊退, 王以下衆官, 位立, 樂止. 鑾儀衛官鳴鞭, 階下三嗚鞭, 禮部...
    대표표제어行在雜錄 | 목차熱河日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특수관서. 원(院)이란 관해를 의미. 외에도 도염원·동서대비원 등이 있었다. 고려시대의 특수관청은 대부분 그와 관련되는 상위의 정규관부가 파악되고 있으나, 은 어느 관부와 관련되는지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