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구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00)
사전(491)
- 구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특히 후기에 형조 안에서 형조의 소관업무를 관장하던 9개의 실무부서. [내용] 형조의 업무는 사형에 해당하는 죄의 복주(覆奏)를 관장하는 상복사(詳覆司), 율령의 조사연구를 관장하는 고율사(考律司), 형옥금령을 관장하는 장금사(...
- 구방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역사가 오래된 나라.정의역사가 오래된 나라.[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ubang | MR표기kub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九龍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0_D_0023 九龍 지리(기타) 魯陽山, 平州, 鴨綠江 並勝覽 D_01_02_13 대동운부군옥 1권 2장 1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2장 1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毬棒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Q4_D_0004 毬棒 경기 匙, 掌, 水牛皮, 柄, 柄棒, 棒皮, 滾棒 御天歌小註 D_09_03_03 대동운부군옥 9권 3장 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3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남해장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신전리에 있는 석성. [내용] 경상남도 기념물 제154호. 축성의 길이가 총 15㎞에 달하는 성으로, 전답이나 대지 주변의 성지는 거의 훼손되어 원래의 모습은 찾기 어려우나, 임야 속의 성벽 약 8.7㎞...연계항목남해장성(南海長城)
단행본(2)
- 캄보디아 빠나쌋뜨라 대학교 한국학 교육과정 [캄보디아 빠나쌋뜨라대학 한국학 교육프로그램 개발사업 | 신라대학교]저자 : 강경태(신라대학교 해외한국학센터 센터장), 정쾌영(신라대학교 법경찰학부 교수)... | 출판사 : 세종출판사 | 출판일 : 2012.04.27유형단행본제1장.서론 (1)연구목적 (2)연구방법 제2장.주요 외국대학의 사례 (1)미국 (2)일본 (3)중국 (4)소결
- 조선어 문체론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김광수, 김철준, 지동은, 윤희남, 김송월... | 출판사 : 연변대학출판사 | 출판일 : 2010.03.20분야교육 | 유형단행본제1절 말체와 그 특성 제2절 글체와 그 특성 제3장 문체의 연구방법 제1절 언어학적방법 제2절 심리학적방법 제3절 사회학적방법 제4절 수사
고서·고문서(1,233)
- 九龍淵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9권, 중종 4년 9월 29일 무오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중종 4년 9월 29일 무오(1509) 1509 九龍淵 宣陵 龍川 蜜串 遼東 佛後里 唐人 宣...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九龍淵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38권, 세조 12년 윤3월 4일 을해 4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세조실록 38권, 세조 12년 윤3월 4일 을해 4번째기사 1466년 (1466) 1466 九龍淵 平安道 九龍淵 狄江...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九龍淵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40권, 세조 12년 11월 11일 기묘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세조 12년 11월 11일 기묘(1466) 1466 九龍淵 平安道 唐人 野人 夫乙厚里 大權冬乙羅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九龍淵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127권, 세종 32년 윤1월 16일 신유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세종 32년 윤1월 16일 신유(1450) 1450 九龍淵 義州 義州城 九龍淵 군사 행정 ○遣同...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九龍淵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154권, 지리지 평안도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세종? 1418 九龍淵 平安道 朝鮮 高句麗 新羅 唐 鐵原 浿西 高麗 浿西道 高麗 黃州...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구술자료(26)
- 방개 방개 구방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저녁에 조사자의 숙소에 임봉진 할아버지와 신악이, 이월아, 원이지 할머니가 놀러 오셔서 마당에 멍석을 깔고 술과 과자를 나누며 민요를 녹음하려고 하였다. 조사자와 마을 노인들과는 꽤 친숙해져서 농담도 주고 받는 사이가 되었다. 누가 선뜩 나서서 노래하러 하지 않아서...조사일시1979-08-0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하청면 | 제보자이월아
- 달구방아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모내기 노래가 끝나자 이어서, “달구방아 찧어 보까.”하고는 이 노래를 했다. 땅다질 때 부르는 노래다. 달구방아 찧는 노래라 했으며 저수지 둑을 쌓아 막을 때나 마당을 고를 때 부르는 노래라고 했다. 마루에 앉아서 불렀는데, 구연자가 흥을 돋구며 노래를 하자 청중...조사일시1983-07-26 | 조사장소전라남도 고흥군 도양면 | 제보자유기진
- 구룡산(九龍山)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 설화가 끝나자 제보자 자신이 이 전설을 꺼내었다. 이 산은 의령읍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보자는 옆에 계신 연로한 남경 선생을 의식하여 여쭈어 가 <page id="39"></page> 면서 구술하였다.*조사일시1982-01-07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 제보자허백영
- 구룡동(九龍?)의 지명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 가운데 ‘구룡동’이란 지명이 나와서 그 유래를 물었더니 이야기해 주었다. 역시 풍수설과 지형에 관계되는 전설이었다.*조사일시1982-01-30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 제보자한진식
- 구룡동(九龍洞) 아기장수와 용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김영곤씨가 앞 설화를 마치고 더 할 이야기가 없다고 하자 제보자가 자청하여 이 설화를 구술하였다. 구술자는 이 설화의 내용을 믿고 있는 듯이 강조하면서구술했고, 청중은 그랬느냐고 놀람의 표시를 하면서 들었다. 처음 제보자가 구룡동이라 말하여도 조사자가 위치를 모르니...조사일시1982-01-08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 제보자김점봉
기초학문(140)
-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534398 한국연구재단 한국현상학회 2005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유형논문 | 게재일2005
- 朝鮮性理學 硏究方法論 試考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상호, 게재일 : 200109281 이상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2001 朝鮮性理學 硏究方法論 試考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유형논문 | 게재일2001
- 민족미학의 개념과 연구방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50082 한국연구재단 민족미학의 개념과 연구방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2441&local_유형논문
- 코리안디아스포라연구방법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진용, 게재일 : 201156669 이진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학회 2011 코리안디아스포라연구방법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러시아 지역정체성 연구방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6962 한국연구재단 러시아연구소 2003 러시아 지역정체성 연구방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166)
- 九龍噴水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부 림시슈도역가 임의쥰공이 되얏난 구룡분수긔 일본에 주문얏더니 발서경셩에 도착되야 실시한다더라게재일1905년 6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川口芳次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川口芳次郞(-) 부산 川口芳次郞 - 富平町2-38 - - 곡물 - 10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川口芳次郞(-)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곡물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山口龍平(朝日商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山口龍平(朝日商會) 부산 山口龍平 朝日商會 大倉町1-23 - - 기계 - 45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山口龍平(朝日商會)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기계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朴珪煥(九龍商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朴珪煥(九龍商會) 서울 朴珪煥 九龍商會 新堂町 228-14 포백류 - 포목(布木) 소매 39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朴珪煥(九龍商會) | 지역서울 | 품목포백류 | 영업종목포목(布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상업회의소화폐교구방책(1)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대한매일신보 상업회의소화폐교구방책(1) 1905년 11월11일 서울 서울 상업회의소에서 전국상인을 대표하여 화폐교환에 대한 방...대표표제어상업회의소화폐교구방책(1) | 연월일1905년 11월11일 | 지역서울
멀티미디어(58)
- 기반으로 현대한국어가 형성되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전체 오리엔테이션 2주차. 연구방법·시대구분·계통 3주차. 표기·음운: 고대 4주차. 표기·음운: 중세 5주차. 표기·음운: 근대 6주차. 문법: 고대 7주차. 문법: 중세 8주차. 문법: 근대 9주차.강좌제목한국어의 역사 | 강의자허인영 교수, 장경준 교수
- 기반으로 현대한국어가 형성되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전체 오리엔테이션 2주차. 연구방법·시대구분·계통 3주차. 표기·음운: 고대 4주차. 표기·음운: 중세 5주차. 표기·음운: 근대 6주차. 문법: 고대 7주차. 문법: 중세 8주차. 문법: 근대 9주차.강좌제목한국어의 역사 | 강의자허인영 교수, 장경준 교수
- 기반으로 현대한국어가 형성되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전체 오리엔테이션 2주차. 연구방법·시대구분·계통 3주차. 표기·음운: 고대 4주차. 표기·음운: 중세 5주차. 표기·음운: 근대 6주차. 문법: 고대 7주차. 문법: 중세 8주차. 문법: 근대 9주차.강좌제목한국어의 역사 | 강의자허인영 교수, 장경준 교수
- 기반으로 현대한국어가 형성되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전체 오리엔테이션 2주차. 연구방법·시대구분·계통 3주차. 표기·음운: 고대 4주차. 표기·음운: 중세 5주차. 표기·음운: 근대 6주차. 문법: 고대 7주차. 문법: 중세 8주차. 문법: 근대 9주차.강좌제목한국어의 역사 | 강의자허인영 교수, 장경준 교수
- 기반으로 현대한국어가 형성되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전체 오리엔테이션 2주차. 연구방법·시대구분·계통 3주차. 표기·음운: 고대 4주차. 표기·음운: 중세 5주차. 표기·음운: 근대 6주차. 문법: 고대 7주차. 문법: 중세 8주차. 문법: 근대 9주차.강좌제목한국어의 역사 | 강의자허인영 교수, 장경준 교수
기타자료(84)
- 구방구;具方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0242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59면 구방구;具方九 경북 달성군 수성면 범어동 332 제17회 4262년 3월 16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구룡;朴逑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9205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7면 박구룡;朴逑龍 제10회 1943년 3월 1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과학적 연구방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과학적 연구방법 과학적 연구방법 科學的 硏究方法 교육 문헌 국제협력 국제교류 고등교육 연구 교육과정 교과교육...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기철, 애담스, 도날드 | 사료철명문교월보
- 구용대;具龍大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0412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81면 구용대;具龍大 경북 의성군 비안면 안평동 135 제21회 4266년 3월 6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구용회;具龍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8862 남한 경기 인천상업학교 2-39 졸업대장(1944-1948) n.r. 5면 구용회;具龍會 경기 31회 1944.12.23.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8)
-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장동호 | 공주대학교 | 2013 | 국내 | 충남
-
한국 고대사 관련 북방민족의 고유문자 표기자료 및 관련사료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박원길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 2016 | 국내 | 충남
-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심영환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최진덕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한국전통연희총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전경욱 | 고려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6)
-
구방 / 九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특히 후기에 형조 안에서 형조의 소관업무를 관장하던 9개의 실무부서. 형조의 업무는 사형에 해당하는 죄의 복주를 관장하는 상복사(詳覆司), 율령의 조사연구를 관장하는 고율사(考律司), 형옥금령을 관장하는 장금사(掌禁司), 노비와 포로를 관장하는 장례사(掌隷
-
구룡강 / 九龍江 [지리/자연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창성군·초산군·운산군의 경계인 달은내령(月隱乃嶺)과 구봉산(九峯山, 881m) 부근에서 발원하여 청천강에 합류하는 하천. 청천강의 지류로, 길이 125.6㎞, 유역면적 1,350㎢, 유역평균너비 10.8㎞, 유역의 완전도 0.09, 물매 4.
-
구룡령 옛길 / 九龍嶺─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양양군 서면 갈천리에 있는 명승. 구룡령 옛길은 양양군 서면 갈천리에서 홍천군 내면 명개리를 잇는 해발 1,013m의 높은 고갯길이다. 2007년에 명승 제29호로 지정되었다. 옛길은 양양과 고성 지방 사람들이 서울로 갈 때 주로 이용하던 길로, 보행자들이 다니
-
구룡폭포 / 九龍瀑布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에 있는 폭포. 온정리 소재지에서 약 30리쯤 되는 신계천의 위쪽 구룡연 구역에 있다. 이 폭포는 설악산의 대승폭포(大勝瀑布), 개성 대흥산성(大興山城)의 박연폭포(朴淵瀑布)와 더불어 우리나라 3대 폭포 중 하나이며, 금강산 십이폭포(十二瀑布)·비봉
-
구룡재문집 / 九龍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백봉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3년에 간행한 시문집. 23권 10책. 목활자본. 1893년(고종 30) 그의 증손 치진(致鎭), 종현손 관수(寬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헌영(李0x9C97永)·박치복(朴致馥)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백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