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멍무늬토기” 에 대한 검색결과 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4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멍무늬는 토기의 안쪽에서 밖으로 돋은 것과 밖에서 안으로 눌려 돋은 것이 있다. 구멍은 한 줄 이상 배치된 것도 있고, 대칭으로 두 군데만 나있는 것도 있다. 또한 들 중에는 다른 형식의 무문토기와 형식이 복합된 것도 많다. 유적으로는 함경...
    이칭별칭공렬토기
  • 골아가리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소형의 바리부터 대형의 항아리까지 있다. 신석기시대 후기부터 제작되었는데, 특히 와는 함께 출토되거나 구멍무늬와 함께 시문된 형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분포는 팽이형 토기가 집중 출토되는 평안남도‧황해도 지역을 제외하고는 전국적이다. [내용...
    이칭별칭구순각목토기(口脣刻目土器)|각선구연토기(刻線口緣土器)|각선(문)토기(刻線(文)土器)|주름진 무늬토기
  • 울주검단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으로 폐기했을 가능성이 높다. 토기는 일부 빗금무늬〔斜線文〕도 있지만 〔孔列土器〕가 많으며, 깊은바리모양토기〔深鉢〕 가운데 손잡이〔把手〕가 부착된 것이 몇 점 있다. Ⅱ기는 집자리 17기가 확인되었는데, 1단계에 비해 규모가 크다. 5호는 크기가 길...
  • 진양무촌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소형 장골용기를 사용한 화장무덤이 이곳에서는 7기나 확인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유적에서 조사된 청동기시대 집자리들은 가 출토되는 시기로 비교적 이른 단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 중 1호 주거지의 경우 움의 벽면을 따라서 기둥구멍(柱孔...
  • 구리교문동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물들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토기는 [孔列土器]와 덧띠토기[粘土帶土器]의 조각들이며, 석기는 대체로 타제석기 및 마제석기의 미완성품이 많다. 석기의 종류는 타제와 마제의 도끼ㆍ대팻날ㆍ가락바퀴[紡錘車]ㆍ주형(舟形)의 반달칼, 돌살촉ㆍ숫돌...

주제어사전(17)

  • / [역사/선사시대사]

    바리모양(鉢形) 토기의 아가리 아래쪽에 직경 5㎜ 이하의 구멍무늬를 일정한 간격으로 새긴 토기. 구멍무늬 토기는 기벽(器壁)의 관통 유무, 새김 방향에 따라 여러 가지 무늬로 나뉜다. 토기 안쪽면에서 도구를 밖으로 찔러 바깥면이 혹처럼 솟은 미관통이나 반관통된 것을 돌

  • 경주성건동집터 / 慶州城乾洞집터 [역사/선사시대사]

    는 네모모양이다. 후대에 조성한 유구로 인해 내부시설은 바닥을 불다짐한 것만 확인되었다. 유물은 바리모양[鉢形]의 [孔列文土器]1점과 붉은간토기[赤色磨硏土器]동체부 1점이 출토되었다.

  • 골아가리토기 / 孔列文土器 [역사/선사시대사]

    다. 신석기시대 후기부터 제작되었는데, 특히 와는 함께 출토되거나 구멍무늬와 함께 시문된 형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분포는 팽이형 토기가 집중 출토되는 평안남도·황해도 지역을 제외하고는 전국적이다.

  • 곽지패총 / 郭支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에 걸친 시기의 패총 유적. Ⅱ·Ⅲ지구는 뚜렷한 유적성격을 가지고 있다. Ⅱ지구는 [孔列土器]·덧띠무늬토기[粘土帶土器] 등이 나오는 청동기시대층과 곽지패총의 대표적 퇴적층인 아가리가 외반된

  • 광주덕풍리유적 / 廣州德豊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장식되어 있다. 석기는 원통형 도끼ㆍ대팻날 등이 많고, 갈판ㆍ반달돌칼ㆍ돌화살촉ㆍ가락바퀴ㆍ숫돌 등이 채집되었다. 이 곳에서 채집된 와 각종 석기류는 한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 유적들에서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유적도 청동기시대 중 이른 시기에 속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