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만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83) 경북 봉화군 봉화읍 화천리에 있는 서원. 1596년(선조 29)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금인, 남몽오, 박장생, 권호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하였다. ...
    연계항목구만서원(龜彎書院)
  • 봉화군(경상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자로는 봉화읍의 거촌리쌍벽당(巨村里雙壁堂, 중요민속자료 제170호), 화천리의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54호)‧몽화각(夢華閣,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55호), 유곡리의 서설당(瑞雪堂,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04호), 물야면의 가평리계서당(佳坪里溪...

고서·고문서(5)

  • 1824년 순흥향교(順興鄕校), 소수서원(紹修書院), (), 풍기향교(豊基鄕校), 도산서원(陶山書院), 삼계서원(三溪書院), 물계서원(勿溪書院), 용연서원(龍淵書院) 답통문(答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함안 두릉 순흥안씨
  • 문하에서도 뛰어난 인물에 속했으며, 松溪 琴‧三松 南舜鰲‧水西 朴 등과 함께 耆英祠에 모셔져 있다고도 하였다. 陶隱先生世系圖 權幸(1~1)으로부터 35세손에 이르기까지의 世系圖가 간략하게 실려 있다. 卷1 詩 階下黃花盛開且有酒盃以一絶代簡奉邀松陰隴西水西三老,...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의 행적과 그것으로 인한 풍속교화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養浩樓重修上樑文 12 慶北 奉化郡 奉化邑 花川里 436에 이 있다. 進士 松溪 琴軔(1510~1593), 進士 三松堂 南夢鰲, 都承旨 水西 朴善長(1555~?), 參奉陶隱 權虎臣(1558~1629...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풍속이 孝忠을 중시하여 風敎가 영원토록 전해지기를 기대하였다. 移建上樑文 5 현 경북 봉화읍 화천리에 있는 이건 상량문이다. 본 서원은 본래 1676년(숙종 2)에 耆英祠로 창건했다가 1766년(영조 42)에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松溪琴軔(1510~...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환안할 때의 축문이다. 松川書院眞一齋柳先生奉安文 1 송천서원에 진일재 류숭조를 봉안할 때의 축문이다. 廟宇重修後還安告由文 2 귀만서원의 묘우를 중수하고 신주를 환안할 때의 고유문이다. 귀만서원에는 松溪 琴軔1510(중종 5)~1592(선조 25), 三松 南夢...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교육/교육]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화천리에 있는 서원. 1596년(선조 2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금인(琴軔)·남몽오(南夢鰲)·박장생(朴長生)·권호신(權虎臣)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

  • 권호신 / 權虎臣 [종교·철학/유학]

    대과에 응시하지 않았다. 평생 부모 봉양에 전념하여 효렴으로 경기전참봉에 추천되었으나 노친이 계심을 이유로 사양하였다. 에 위패가 안치되어 있다. 저서로는《도은선생문집》2권 1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