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로다 기요타카” 에 대한 검색결과 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

사전(28)

  • 구로타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2월 26일 강화부 연무당에서 조선대표 신헌(申櫶)‧윤자승(尹滋承)과 일본대표 ‧이노우에 가오루 사이에 수호조약이 조인되었다. 1877년 세이난 전쟁(西南戰爭)에 정토군(征討軍)으로 참전하였다. 1881년 개척사관유물불하사건으로 여론의 공격을 받았다....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黑田淸隆)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33 인물 (黑田淸隆) 黑田淸隆 1840 1900 메이지시대의 관료. 제2대 총리대신. 흑전청륭(黑田淸隆). 주타로(仲太郞), 료수케(了介)라고도 하였다. 사쓰마(薩摩) 출신이며, 사쓰...
    유형분류인물
  • 다케우치 오콘(竹內於菎)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었다. 이때 육군성(陸軍省) 육군중장(陸軍中將) (黑田淸隆)의 명을 받아, 일행을 문안하였다. 부산박물관 편,『동도일사』, 부산박물관, 2012. 죽내어곤(竹內於菎), (黑田淸隆), 수신사 사전 한글 김...
    유형분류인물
  • 강난형(姜蘭馨)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년 사면되어 좌부승지에 임명되었고 이후 성균관 대사성, 사헌부 대사헌, 형조판서 등을 지냈다. 1875년에 청나라의 목종이 죽자 진위 겸 진향정사(陳慰兼進香正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1876년 일본의 전권대사(全權大使) (黑田淸隆)가 조선에 파견되...
    유형분류인물
  • 갑곶돈(甲串墩)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13보(步)에 치첩이 40이었다. 이 갑곶나루에는 1875년에 축조 된 갑곶포대가 있었는데, 갑곶돈은 망해(望海) ‧ 제승(制勝) ‧ 염주(念珠) 등 세 포대와 더불어 제물진(濟物鎭)의 관할 밑에 있었다. 1876년에 일본의 전권대신(全權大臣) (黑田...
    유형분류유적

고서·고문서(24)

  • 전권대신 일행의 조선 행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조일조약, 조일수호조규, 조약, 개항, 조일관계, (黒田清隆) 사절단 전함의 무장 상황에 대한 메모 No.10(1876.1.18)
    대표표제어구로다 전권대신 일행의 조선 행 | 발신자Eisendecher | 수신자Bülow | 발신지에도(도쿄) | 수신지베를린
  • 전권대신 의 조선 행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사라질 것. 운요호(雲揚號) 사건, 포함외교, 강화도조약, 조일조약, 조일수호조규, 개항, 조일관계, 조선, 일본, (黒田清隆), 부산, 일본군함, 사절, 시모노세키. 전보, 일본인거류지, 공격, 군사대응, 일본신문, 오리 아리노리, 청국, 청국신문,...
    대표표제어전권대신 구로다의 조선 행 | 발신자Eisendecher | 수신자Bülow | 발신지에도(도쿄) | 수신지베를린
  • 일본 정부의 전권대신 기요가타 조선 파견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약, 조일조약, 조일수호조규, 사절, (黒田清隆), 조약, 개항 No.373 I.B.15
    대표표제어일본 정부의 전권대신 구로다 기요가타 조선 파견 | 수신자재외공관 | 발신지베를린 | 수신지상트페테르부르크 파리 빈 런던 워싱턴
  • 전권대신 일행의 조선 관련 추가 정보 없음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03.25 에도(도쿄) 베를린 No.34 A.1583 보고 사절단의 소식이 들어오지 않고 있으며, 일본 정부는 육상과 해상 양쪽으로 전쟁준비를 진행. (黒田清隆), 강화도조약, 조일조약, 조일수호조규, 일본군, 파견, 군사...
    대표표제어구로다 전권대신 일행의 조선 관련 추가 정보 없음 | 발신자Eisendecher | 수신자Bülow | 발신지에도(도쿄) | 수신지베를린
  • 전권대신 일행의 조선 관련 추가 정보 없음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1583 전달 1876년 1월에 일본 정부가 파견한 사절단의 소식이 들어오지 않고 있으며, 일본 정부는 육상과 해상 양쪽으로 전쟁준비를 진행. (黒田清隆), 강화도조약, 조일조약, 조일수호조규, 일본군, 파견, 군사대응, 부산 독일제국 관보...
    대표표제어구로다 전권대신 일행의 조선 관련 추가 정보 없음 | 수신자관보 편집실 | 발신지베를린

주제어사전(1)

  • / 黑田淸隆 [정치·법제/외교]

    강화부 연무당에서 조선대표 신헌, 윤자승과 일본대표 , 이노우에 가오루 사이에 수호조약이 조인되었다. 1884년 백작을 수여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