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구덩무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9)
- 구덩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묘는 시체를 넣을 구덩이를 분명하게 파서 바닥‧벽면‧뚜껑 등을 명확히 하는 데 비하여 구덩무덤은 시체만 겨우 넣을 정도로 작고 얕게 판다. 둘째, 토광묘는 시체를 바로 넣는 경우도 있으나 그 수량은 별로 많지 않고 관이나 곽(槨) 같은 시설을 갖추고 그 안에 넣는 것이...
- 보령창암리고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창암리에 있는 백제시대의 구덩무덤[土壙墓]유적. [내용] 주민에 의한 이장 작업 중에 우연히 출토된 유물을 신고받고 현지조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조사 당시 유구(遺構)는 완전히 파괴되어 있었다. 따라...
- 무안사창리옹관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덤 3기와 구덩무덤 1기가 동일봉토 내에서 확인되었다. 이 무덤은 독무덤과 구덩무덤이라는 장법(葬法)이 서로 다른 매장유구의 공존 해 있는 것이 특이한 점으로 지적된다. 독무덤과 구덩무덤이 동일봉토 내에서 조사된 것은 백제시대 초기고분인 한강유역의 서울 가락동...
- 문천남창리고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함경남도 문천군 남창리 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구덩무덤[土壙墓]. [내용] 1965년 파괴분을 수습조사하였다. 유적은 문천읍의 서쪽으로 도장산 기슭의 재궁골에 있으며, 주변에는 영흥만으...
- 부여두곡리고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덤[竪穴式石室墳]이 주류를 이룬다. 그리고 굴식강회도장돌방무덤[橫穴剛灰塗裝石室墳]과 구덩무덤[土壙墓]도 조사되었다. 굴식돌방무덤 중에는 꺾임천장[平斜天障]과 납작천장[平天障]의 돌방무덤들이 섞여 있는 등, 여러 가지 형태가 확인되었다. 제1호분은 부식된 암반층을...
주제어사전(3)
-
구덩무덤 / [역사/선사시대사]
벽면·뚜껑 등을 명확히 하는 데 비하여 구덩무덤은 시체만 겨우 넣을 정도로 작고 얕게 판다. 둘째, 토광묘는 시체를 바로 넣는 경우도 있으나 그 수량은 별로 많지 않고 관이나 곽(槨) 같은 시설을 갖추고 그 안에 넣는 것이 일반적인 데 비하여 구덩무덤은 관이나 곽 같은
-
문천남천리고분 / 文川南昌里古墳 [역사/선사시대사]
함경남도 문천군 남창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구덩무덤[土壙墓]. 유적으로부터 동해까지의 거리는 약 7㎞ 정도이다. 출토된 유물은 한국식동검(韓國式銅劍)과 동모(銅鉾)의 2점으로 지표하 약 60㎝ 가량의 깊이에서 발견되었다. 유적의 층위는 지표에서 약 40㎝까지는 적갈
-
황주선봉리고분 / 黃州仙峰里古墳 [역사/선사시대사]
황해도 황주군 선봉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구덩무덤[土壙墓] 유적. 원래의 봉토는 방대형(方臺形)으로 규모는 동서 길이 11.5m, 남북 길이 14.5m, 높이 2.5m였다. 봉토의 꼭대기로부터 170㎝를 내려가 나타난 구덩의 상단 윤곽은 길이 4.1m, 너비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