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관당상” 에 대한 검색결과 1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8)

사전(2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39)에는 제를 실시하여 5도의 군무(軍務)를 분리, 관장하게 하였는데 대개 각 도에 1인의 을 두어 그 도의 장계(狀啓)와 문부(文簿)를 맡아보게 하였다.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당상관(堂上官), 비변사(備邊司), 의정부(議政府) 강도(江都) (), 겸직(兼職), 기민(飢民) (), 도체찰사(都體察使), 북한산(北漢山) (), 양남주사(兩南...
    상위어당상관(堂上官), 비변사(備邊司), 의정부(議政府) | 관련어강도(江都) 구관당상(句管堂上), 겸직(兼職), 기민(飢民) 구관당상(句管堂上), 도체찰사(都體察使), 북한산(北漢山) 구관당상(句管堂上), 양남주사(兩南舟師) 구관당상(句管堂上), 양역(良役) 구관당상(句管堂上), 양전(量田) 구관당상(句管堂上), 염철(鹽鐵) 구관당상(句管堂上), 유사당상(有司堂上), 재생(裁省) 구관당상(句管堂上), 제도민호군역(諸道民戶軍役) 구관당상(句管堂上), 제조(提調), 조총(鳥銃) 구관당상(句管堂上), 진휼재생(賑恤裁省) 구관당상(句管堂上), 팔도(八道) 구관당상(句管堂上), 해방(海防) 구관당상(句管堂上)
  • 구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한 지역 또는 한 가지 사무를 맡아 다스리거나 검사하던 일. [내용] 담당, 관장의 뜻으로 구검(句檢) 또는 구당(句當)이라 하기도 한다. 이를테면 (), 인력구관(印曆句管) 등이 그것이다. 원래 8도의 장계(狀啓...
  • 비변사(備邊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비변사 비변사 備邊司 분비변사(分備邊司) 묘당(廟堂), 비국(備局), 주당(籌堂), 주사(籌司) 지변사재상(知邊司宰相), (), 비국당상(備局堂上), 비변랑(備邊郞),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비변사등록부의정부등록(備邊司...
    하위어분비변사(分備邊司) | 동의어묘당(廟堂), 비국(備局), 주당(籌堂), 주사(籌司) | 관련어지변사재상(知邊司宰相), 구관당상(句管堂上), 비국당상(備局堂上), 비변랑(備邊郞),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비변사등록부의정부등록(備邊司謄錄附議政府謄錄), 비변사절목(備邊司節目), 사변가주서(事變假注書), 삼군부(三軍府)
  • 양역청(良役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3년(경종 3)부터 1724년(영조 즉위년)까지 양역의 폐단을 바로잡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한 관서. [개설] 양역청은 1723년(경종 3) 9월 호조 판서 이태좌(李台佐)와 이조 판서 유봉휘(柳鳳輝)를 양역(良役)으로 뽑고 문낭청(文郎廳...
    상위어양역(良役) | 하위어감필(減疋) | 관련어양역변통(良役變通)

고서·고문서(99)

  • 書徐浩修, 有司堂上差下, 關西鄭尙淳, 京畿鄭好仁竝還差, 海西李??差下, 使之察任, 何如? 上曰, 依爲之。 出擧條 在協曰, 因判府事鄭弘淳所啓, 咸鏡道封進薦新苽魚·進上黃魚産出之時, 有違月令, 致有民弊, 令禮曹參考文蹟稟處事, 命下矣。 謹考五禮儀, 則苽魚...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5628 B025628 고어 苽魚 수산물 承政院日記 正祖 7年 6月 20日_014 ... 有司堂上差下, 關西鄭尙淳, 京畿鄭好仁竝還差, 海西李??差下, 使之察任, 何如? 上曰, 依爲之。 出擧條 在協曰, 因判府事鄭弘淳所啓, 咸鏡道封進薦新苽魚·進上黃...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637 B00463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9年 7月 24日_004 ○金自點箚子, 江都辭免事。 答曰, 卿之才局, 實合此任, 廟堂之薦, 亦非偶然, 卿其勿辭, 盡心料理。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809 B00580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7年 3月 23日_015 人, 行司直李命植, 知敦寧府事徐浩修, 右參贊鄭民始, 行副司直鄭好仁, 工曹判書李??, 竝還差。 知中樞府事金華鎭, 行司直李命植, 令察有司之任。 知敦寧府事徐浩修, 北關, 右參贊鄭民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3634 B013634 강도 江都 정치행정 肅宗實錄 十六年(1690) 九月 숙종실록_11609027_002 ○引見大臣備局諸宰。 左議政睦來善, 以李鳳徵疏, 請停捧畿甸稅米。 領議政權大運請直爲蕩減。 上命抄出摠數, 以稟。 江都柳命天, 自江都 ...
    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비변사의 관직. 비변사는 군국의 중대사를 논의하기 위하여 1517년(중종 12)에 최초로 설치되었으나, 그 뒤 몇 차례 치폐를 거듭하다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이후 상설기관이 되었으며, 도제조·제조·부제조·낭청 등으로 조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