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개음화” 에 대한 검색결과 1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5)

사전(12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데, 공시론과 통시론 양쪽에 같이 쓰인다. 셋째, 구개에서 조음되는 반모음 요드(j)와 같은 조음이 추가되는 것이라는 관점에서는 요드화(yodization, jodierung)와 같은 개념이 되지만, 란 이러한 요드적 요소의 첨가에 그치지 않고 그것을...
  • 계초심학인문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책의 방점표기는 극히 형식적이며, ‘ㅿ’의 사용도 혼란을 보이고 있다(로, 로, , 우솜낙닥[戱笑], 우옴낙닥). 송광사판에는 가 상당히 진행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는 언어 사실이 나타난다. 고유어는 두 가지 예뿐이나, 한자독음의 표기에...
  • 파찰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달리 잇몸에 혓바닥의 앞부분을 대면서 마찰시키는 파찰음으로서의 〔 ts 〕 계열이었던 것이다. 이 치음 /ㅈ ㅉ ㅊ/이 대체로 17세기에 구개음으로 바뀌면서 이어서 현상을 맞이하게 되었다. 15세기에는 ‘초(tso)’와 ‘쵸(tszo)’가 구별되던 것이...
  • 서남방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化)의 대표적인 것은 ()‧움라우트(umlaut)‧원순모음화(圓脣母音化) 등을 들 수 있다. 는 ‘ㄷ’, ‘ㄱ’, ‘ㅎ’가 있는데, ‘ㄱ’와 ‘ㅎ’는 어두음절에서만 일어났다[예 : 질(길)‧지름(기름)‧성(형)‧...
  • 물명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류되어 있는데, 이것은 『물명고』나 『물보』의 분류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약 1,270여개의 표제항으로 되어 있다. 전라북도 정읍시 우순면 초강리에서 지은 책으로 19세기 말의 고부(古阜)지역어(지금의 정읍지역어)를 반영하고 있어서 t는 물론 k...

고서·고문서(27)

  • 탄도유心급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
    라. 원래의 ‘기다리다’를 ‘지달이다’에서 변한 말로 착각하여 과도하게 및 분철 표기를 적용한 경우이다.어쥬축슈 산춘 어쥬축슈 산춘: 어주축수(漁舟逐水) 애산춘(愛山春). 고기잡이배를 타고 물을 따라가며 봄철을 즐긴다. ‘유산가(遊山歌)’의 한 구절이다....
    가사유형종교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 그렇지 않은 것. 살피셔라 텬디벽 시판후 텬디벽: 천개지벽(天開地闢). 천지개벽(天地開闢). 원래 하나의 혼돈체였던 하늘과 땅이 서로 나뉘면서 이 세상이 시작되었다는 중국 고대의 사상에서 나온 말로, 천지가 처음으로 열림을 이르는 말. ‘텬’과 ‘디’는 이...
    가사유형종교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 복덕용: 복덕룡(福德龍).이 잠거신들안목 안목: 안목(眼目).읍는 읍는: ‘없[無]는’의 방언형 표기이다. 원문 18ㄱ 뎌 뎌: 저[彼]. 이전 표기 형태이다.所見에 知슥二자 知슥二자: 지식이자(知識二字). 업셔씨니 업...
    가사유형종교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 득니화엽이 난만야 화탐츌 우리여화젼노류 느져간다 면〃각〃 츌물여팡공뉴 졍후의 져일하야 맛겨녹코 맛겨녹코: 맡겨 놓고. ‘녹코’는 제1음절의 종성이 제2음절 초성의 영향으로 되어 표기된 형태이다.부용갓흔 우리모양 유리거울 쳬경아분셩젹 분셩적: 분성적...
    가사유형풍류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 냐국운이 단미냐 흔망 흔망: 흥망(興亡).이 뉴수니인역 인역: 인력(人力).으로 엇디라 엇디라: 어찌하랴. ‘엇디-’는 ‘엇+이]엇디’로 ‘ㅅ’ 내파음과 모음 사이에 ‘ㄷ’이 가중 조음된 경우이며, ‘-디-’는 ‘-지-’의 이전 표기이다. 국파군망 국파...
    가사유형탄식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기초학문(13)

  • 비어두 위치의 ㄱ 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소신애, 게재일 : 2014
    55556 소신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국문학회 2014 비어두 위치의 ㄱ 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러시아어 현상의 다각적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33015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5 러시아어 현상의 다각적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近代漢語 연구 (I) -- 반영하는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용권, 게재일 : 2010
    29947 신용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어문학회 2010 近代漢語 연구 (I) -- 반영하는 자료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東漢 鄭玄의 注釋에 반영된 章組ㆍ以母ㆍ邪母의 여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권혁준, 게재일 : 2013
    56232 권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연구회 2013 東漢 鄭玄의 注釋에 반영된 章組ㆍ以母ㆍ邪母의 여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近代漢語 연구 (II) -- 변화의 양상과 원인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용권, 게재일 : 2010
    29946 신용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언어학회 2010 近代漢語 연구 (II) -- 변화의 양상과 원인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주제어사전(11)

  • / [언어/언어/문자]

    (j)와 같은 조음이 추가되는 것이라는 관점에서는 요드화(yodization, jodierung)와 같은 개념이 되지만, 란 이러한 요드적 요소의 첨가에 그치지 않고 그것을 넘어선 변화까지를 성취하게 되는 일이 많아 이것까지를 포함하여 라고 말하는 것이

  • 염불보권문 / 念佛普勸文 [언어/언어/문자]

    면 다음과 같다. ① t는 물론, k와 h 현상이 나타난다[심히 죠하 젼줄 듸 업고(염불 4a), 션씨젹(현씨행적 2a)].② i움라우트 현상이 보인다[과글니 주거셔 시왕○ 재펴 가니(염불 18a), 네 우리를 만히 쥐견니라(염불 19b), 뎡

  • 발심수행장언해 / 發心修行章諺解 [언어/언어/문자]

    간행연대에 따라 16세기말의 국어사 자료로 이용함이 온당하다. 실제로 이 책의 방점은 극히 형식적인 표기이며 ‘ㅿ’의 사용도 혼란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광범위하게 가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는 언어사실이 있다. 특히 한자독음의 표기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 부정회귀 / 不正回歸 [언어/언어/문자]

    바로잡으려는 데서 비롯되는 현상이다. 국어의 남부방언에서 현저한 현상(現象)에서도 이의 예들을 찾을 수 있다. 가령 ‘짐승’의 옛말은 ‘’(용비어천가 30장)이었는데, 이 말이 ‘즘’(초간 두시언해 8 : 59)으로 변하고, 다시 ‘짐승’으로 바뀌었

  • 서북방언 / 西北方言 [언어/언어/문자]

    언 특징의 면에서 문화어는, 평양말이나 서북방언보다 오히려 남한의 표준어와 더 유사한 모습을 보여 주기 때문이다. 서북방언은 ‘ㄷ>ㅈ’류의 를 경험하지 않은 방언으로 유명하다. ‘딜그릇(질그릇), 가디 말라(가지 말라), 티다(치다), 띠르다(찌르다)’ 등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