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교학정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교학정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8년(고종 5)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이 편저한 사제(師弟)의 예법에 관한 책. [서지적 사항] 1책. 인본. [내용] 1757년(영조 33)의 ≪왕손교전상견일기 王孫敎傳相見日記≫‧≪오례의 五禮儀≫‧≪문헌비고≫ 등을 ...
- 왕손사부(王孫師傅)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임기를 마치면 6품에 승급되었다. 『大典會通』 『國朝續五禮儀』 『敎學定例』 『增補文獻備考』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 교육』, 민속원, 2008. 정재훈, 「세종의 왕자 교육」, 『한국사상과 문화』31, 200...관련어왕손교부(王孫敎傅), 교학청(敎學廳)
- 왕손교부(王孫敎傅)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체로 왕자사부의 예에 따라 시행되었다. 왕손이 많기는 하였지만 대군이나 왕자와는 차이를 두어서 한 사람이 겸하게 하였다. 『大典會通』 『國朝續五禮儀』 『敎學定例』 『增補文獻備考』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 교육』, 민속...동의어왕손사부(王孫師傅) | 관련어교학청(敎學廳), 강학청(講學廳), 종학(宗學)
- 왕자사부(王子師傅)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國朝續五禮儀』 『敎學定例』 『增補文獻備考』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 교육』, 민속원, 2008. 정재훈, 「세종의 왕자 교육」, 『한국사상과 문화』31, 2005.관련어강학청(講學廳)
- 입학례(入學禮)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大典會通』 『國朝五禮儀』 『國朝續五禮儀』 『敎學定例』 『增補文獻備考』 김문식, 『왕세자의 입학식 : 조선의 국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문학동네, 2010.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 교육』, 민...동의어입학의(入學儀) | 관련어성균관(成均館)
주제어사전(1)
-
교학정례 / 敎學定例 [교육/교육]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이 편저한 사제(師弟)의 예법에 관한 책. 1책. 인본. 1757년(영조 33)의 『왕손교전상견일기(王孫敎傳相見日記)』·『오례의(五禮儀)』·『문헌비고』 등을 참고하여, 종친의 입학과 사제의 예법을 규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