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교종선” 에 대한 검색결과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및 조선 전기에 시행되었던 승과(僧科) 중 교종의 승려를 선발하던 과거제도. [내용] 승과는 고려 광종 때부터 시작되어 일반 과거와 함께 발전하였다. 승과는 크게 과 선종선으로 구분하여 실시되었으며, 은 예비고시인 성...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종의 승려에게 실시하던 과거
    정의교종의 승려에게 실시하던 과거 | 문광부표기Gyojongseon | MR표기Kyojongs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도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승려의 법계(法階) 가운데 교종(敎宗)의 최고 법계. [내용] 세종이 선교양종(禪敎兩宗)으로 이전의 7개 종파를 통합한 뒤 교종의 최고법계가 되었다. 국가에서 주관한 ()에 합격한 자가 중덕(中德)-대덕(大德)-대사...
  • 수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승려 법계(法階)의 하나. [내용] 국가에서 주재하는 승과(僧科)의 ()에 합격하면 대덕(大德)-대사(大師)-중대사(重大師)-삼중대사(三重大師)를 거쳐 수좌에 이르게 되는데, 수좌는 승통(僧統)의 법계에 이를 수 있다...
    이칭별칭제일좌(第一座)|좌원(座元)|선두(禪頭)|수중(首衆)
  • 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이르게 된다. 조선 초기 승려가 ()에 합격하면 중덕(中德)과 대덕을 거쳐 대사에 이르게 되었으며, 나아가 도대사(都大師)가 되면 교종을 관장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1566년(명종 21) 양종(兩宗)과 승과가 폐지됨에 따라 이 법계는 없어졌으며...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및 조선 전기에 시행되었던 승과 중 교종의 승려를 선발하던 과거제도. 승과는 고려 광종 때부터 시작되어 일반 과거와 함께 발전하였다. 승과는 크게 과 선종선으로 구분하여 실시되었으며, 은 예비고시인 성복선과 최종 고시인 대선으로 구분하였다.

  • 승과 / 僧科 [종교·철학/불교]

    고려·조선시대 승려를 대상으로 실시했던 과거. 과 선종선 두 종류가 있었다. 우리 나라에서 승과가 처음 생긴 것은 고려 광종 때라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이다. 즉, 광종이 귀화인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958년(광종 9)에 관리 등용책의 하나로서 진사과와 명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