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교종선”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및 조선 전기에 시행되었던 승과(僧科) 중 교종의 승려를 선발하던 과거제도. [내용] 승과는 고려 광종 때부터 시작되어 일반 과거와 함께 발전하였다. 승과는 크게 과 선종선으로 구분하여 실시되었으며, 은 예비고시인 성...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종의 승려에게 실시하던 과거
    정의교종의 승려에게 실시하던 과거 | 문광부표기Gyojongseon | MR표기Kyojongs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도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승려의 법계(法階) 가운데 교종(敎宗)의 최고 법계. [내용] 세종이 선교양종(禪敎兩宗)으로 이전의 7개 종파를 통합한 뒤 교종의 최고법계가 되었다. 국가에서 주관한 ()에 합격한 자가 중덕(中德)-대덕(大德)-대사...
  • 수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승려 법계(法階)의 하나. [내용] 국가에서 주재하는 승과(僧科)의 ()에 합격하면 대덕(大德)-대사(大師)-중대사(重大師)-삼중대사(三重大師)를 거쳐 수좌에 이르게 되는데, 수좌는 승통(僧統)의 법계에 이를 수 있다...
    이칭별칭제일좌(第一座)|좌원(座元)|선두(禪頭)|수중(首衆)
  • 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이르게 된다. 조선 초기 승려가 ()에 합격하면 중덕(中德)과 대덕을 거쳐 대사에 이르게 되었으며, 나아가 도대사(都大師)가 되면 교종을 관장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1566년(명종 21) 양종(兩宗)과 승과가 폐지됨에 따라 이 법계는 없어졌으며...

고서·고문서(1)

  • 中等敎科東國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十二 立學諸州 六十四 贍學錢 六十四 科擧 六十五 黑册粉紅 六十六 職限 六十六 敎法 儒學 六十七 十二徒 六十七 禁老莊學 六十八 性理學始行 六十八 儒學著書 六十九 釋奠 六十九 佛敎 六十九 禪宗之始 七十 創天台宗 七十 分佛敎爲宗 七十 程朱學隆興影響 七十一 道敎 七十一 ...
    서명中等敎科東國史略 | 자료명目錄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및 조선 전기에 시행되었던 승과 중 교종의 승려를 선발하던 과거제도. 승과는 고려 광종 때부터 시작되어 일반 과거와 함께 발전하였다. 승과는 크게 과 선종선으로 구분하여 실시되었으며, 은 예비고시인 성복선과 최종 고시인 대선으로 구분하였다.

  • 승과 / 僧科 [종교·철학/불교]

    고려·조선시대 승려를 대상으로 실시했던 과거. 과 선종선 두 종류가 있었다. 우리 나라에서 승과가 처음 생긴 것은 고려 광종 때라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이다. 즉, 광종이 귀화인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958년(광종 9)에 관리 등용책의 하나로서 진사과와 명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