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교조신원운동” 에 대한 검색결과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21)

  • 서병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당시 사실상의 주도자로서, 7월부터 당시 동학교주 최시형(崔時亨)을 설득해 교조(敎祖)의 신원(伸寃)과 동학교도들에 대한 관(官)의 부당 주구(不當誅求)에 반대해, 전라도 삼례(參禮)에서 동학교인들을 모아 을 전개하였다. 그리하여 당시 전라도관찰...
    이칭별칭병학(丙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선행운동으로서의 면모도 함께 갖추게 되었다. [경과] 1) 제1차 1864년 교조가 처형당한 뒤 정부의 탄압으로 동학은 괴멸 상태가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동학은 제2대 교주 최시형(崔時亨)의 구교(救敎) 노력과 농민들의 절대적 지지로...
  • 박광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용하던 민소(民訴) 형태를 취하여 청원운동으로서의 을 일으키게 되었다. 이 고조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동학지도자들이 등장, 신원운동을 이끌어 가는데, 충청도 지방의 유생 출신 교도인 박광호도 그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같은 충청도 출신 교...
  • 손화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면리(神綿里)‧음성리(陰城里)를 전전하다가, 전라북도 무장(茂長)에 가서 김모(金某)의 집에 포교소를 설치하였다. 언제 접주가 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1892년 전라북도 삼례의 ()에 많은 교도들을 동원하였다. 1893년에는 광화문 복...
    이칭별칭 화중(華仲), 화중(化中), 화중(和中)| 초산(楚山)
  • 박석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동학교도. [내용] 1893년(고종 30) 동학교도의 에 참여하여 서울에 올라가 상소를 올린 봉소인(奉疏人)중 1인이다. 이해 제2차 보은집회가 보은장내에서 있자 옥천의 교도 1,000명...

단행본(1)

  • 해월 최시형 평전 [고종시대 인물연구 | 청암대학교]
    저자 : 성주현 ...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211120
    동학의 2세 교조로 1863년 8월 14일 동학의 최고책임자가 되어 36년간 도바리 생활을 해월 최시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흥미로운 일화들이 많다. 그 중의 하나가 ‘최보따리’이다. 최시형은 성리학 이데올로기의 조선에서 이단으로 지목을 받아 끝없이 잠행하면서 보따리를...

고서·고문서(2)

  • 서울 시내의 소요에 대한 소문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A.4536 기타 조선에서의 소요. 소요의 원인은 종교적인 것에 있다. 일본 대표의 행동. 외국 군함들과 외국인 보호 문제. 동학, 종교,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관찰사, 이경직, 외국인배척, , 복합상소, 최제우, 청원, 유교, 선교사, 오이...
    대표표제어서울 시내의 소요에 대한 소문 | 발신자Krien | 수신자Caprivi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조선 국내의 소요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종, 과거, , 최제우, 복합상소, 청원, 성명서, 오코너, 도참설, 크리스트교, 선교사, 가톨릭 A.4900(1893.6.13) A.4901(1893.6.13) A 4900과 A 4901 참조. 6월 15일 런던 381, 페테르부르크 244, 워싱턴...
    대표표제어조선 국내의 소요 | 발신자Sternburg | 수신자Caprivi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를린

기초학문(1)

  • 기 동학교단과 정부 간의 담론투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8259 한국연구재단 한국근현대사학회 2013 기 동학교단과 정부 간의 담론투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천도교]

    1864년 동학 교조 최제우(崔濟愚)가 혹세무민(惑世誣民)의 죄명으로 처형당한 뒤, 동학교도들이 그의 죄명을 벗기고 교조의 원을 풀어 줌으로써 종교상의 자유를 얻기 위해 벌인 운동. 동학의 은 19세기 후반의 농민운동과 합류해 서학과 외세를 배격하는 189

  • 이필제의난 / 李弼濟의亂 [역사/근대사]

    초의 과 반봉건투쟁을 전개한 영해봉기는 분산고립적인 당시의 일반 민란과는 성격을 달리하는 것으로 동학조직망을 통한 광범위한 인원동원, 야습작전 등으로 강한 저항력을 보여주어, 후기 전반적 농민봉기의 맹아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