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교장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15)
- 교장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않는다. 현존본에 의하면 가장 연대가 빠른 것이 1092년의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이며 이어 1099년까지의 간기가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장도감의 속장경 간행사업은 의천이 불서수집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1091년부터 의천이 입적한 1101년(숙종 6)까지로 보고...
- 교장도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속장경의 판각을 맡아보던 관아정의속장경의 판각을 맡아보던 관아 | 문광부표기Gyojang Dogam | MR표기Kyojang To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의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요나라, 송나라, 일본 등에서 불교 서적 4,000여 권과 국내의 고서를 모았다. 그는 흥왕사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설치하고, 『고려속장경(高麗續藏經)』의 간행 목록으로서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3권을 편집하였는데, 이것은 삼장(三藏)의 정본 외...이칭별칭 우세(祐世)| 대각국사(大覺國師)|왕후
- 흥왕사대각화상묘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 선종 때 교장도감(敎藏都監)을 두고 속장경(續藏經)을 간행하였다. 묘지에는 출가‧수계에서 입송구법(入宋求法)‧천태종개창‧입적‧장례에 이르는 의천의 행적이 약술되어 있다. 그에 따르면 1101년(숙종 6) 10월 3일 국사에 책봉되고 같은 달 5일 입적하니,...
- 장경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에 대장경을 판각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공서. [내용] 고려 선종 때 의천(義天)이 속장경(續藏經)을 간행하기 위하여 만들었던 교장도감(敎藏都監)과 고려 고종 때 재조(再彫) 대장경의 완간을 위하여 설치한 대장도감(大藏都監) 등이...
주제어사전(3)
-
교장도감 / 敎藏都監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 속장경의 판각사무를 관장하던 관서. 송나라에 다녀온 의천(義天)의 요청으로 선종이 1086년(선종 3) 흥왕사(興王寺)에 설치하였다.
-
장경도감 / 藏經都監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에 대장경을 판각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공서. 고려 선종 때 의천(義天)이 속장경을 간행하기 위하여 만들었던 교장도감(敎藏都監)과 고려 고종 때 재조 대장경의 완간을 위하여 설치한 대장도감(大藏都監) 등이 이에 속한다. 대장도감은 고려의 수도를 강화로 이전한
-
의천 / 義天 [종교·철학/불교]
불교서적을 가지고 왔다. 흥왕사에 있으면서 교장도감을 설치하고 송, 일본 등지에서 불교서적을 수집하여 4,740권을 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