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교식추보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15)
- 교식추보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算學發蒙)에는 수학의 공식과 계산 예를 실었고, 그 다음에는 교식추보법가령(交食推步法假令)을 실었다. 이에 앞서 편찬되었던 ≪칠정산내편 七政算內篇≫의 ‘교식’의 장에는 공식과 상수(常數)가 실려 있을 뿐 그 구체적인 계산의 실례가 없었는데, 이 책은 그것을 보...
- 교식추보법(交食推步法)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교식추보법 교식추보법 交食推步法 역법(曆法)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 문화과학/천문 개념용어 정성희 [정의] 해와 달의 교식 현상을 계산하는 법. [개설] 전통시대 천변(天變) 현...상위어역법(曆法) | 관련어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
- 무인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58년(세조 4) 주자소에서 만든 동활자. [내용] ≪교식추보법가령 交食推步法假令≫의 본문 큰자(주해 중‧소자 갑인자)와 ≪역학계몽요해 易學啓蒙要解≫의 본문 큰자, 세주의 특소자(주해 중‧소자 갑인자)를 찍어내기 위하여 주조한 활자...
- 이순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여 ≪제가역상집≫ 4권 3책을 펴내었다. 또, 1457년에는 세종대에 정리되었던 일월식(日月蝕) 계산법을 알기 쉽게 편찬하라는 왕명을 받고 김석제(金石悌)와 함께 그 법칙을 외우기 쉽게 산법가시(算法歌詩)를 짓고 사용법 등을 덧붙여, ≪교식추보법 交食推步法≫...이칭별칭 성보(誠甫)| 정평(靖平)
- 교식(交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에서 『교식통궤(交食通軌)』[『세종실록』 21년 8월 2일], 세조대 편찬한 『교식추보법(交食推步法)』의 주해서(注解書) 등에 사용된 교식이란 용어는 일식과 월식을 뜻한다[『세조실록』 3년 12월 24일]. 조선후기에 청나라의 『시헌력(時憲曆)』을 받아들였을 때, 『...상위어역법(曆法) | 동의어교회(交會) | 관련어월리(月離), 일전(日躔), 『칠정산(七政算)』, 합삭(合朔)
주제어사전(2)
-
교식추보법 / 交食推步法 [과학/과학기술]
고, 그 다음에는 교식추보법가령(交食推步法假令)을 실었다. 이 책에서는 역원에 가까운 시기에 일어났던 1447년 8월삭의 일식과 8월망의 월식에 대한 계산 예가 실려 있다.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
이순지 / 李純之 [과학/과학기술]
에 올랐다. 세종의 명으로 역법(曆法)을 연구한 뒤 정인지(鄭麟趾)·정초(鄭招)·정흠지(鄭欽之)·김담(金淡) 등과 같이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을 저술하였다. 이 『칠정산내외편』의 완성으로 조선의 역법은 완전히 정비되었다.『교식추보법(交食推步法)』 2권 1책을 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