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교서랑” 에 대한 검색결과 1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7)

사전(3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8품의 비서랑(秘書郎)이 이전의 과 비슷한 구실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것도1362년의 개혁시에 폐지되었다. 『고려사(高麗史)』
  • TD_L14_D_0556 盧寅 인물 文才, 文宗 宋朝 D_04_01_46 대동운부군옥 4권 1장 4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1장 4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2_D_0302 典校寺 관직 內書省, 秘書省, , 改稱, 御書院, 祭醮 麗初, 文宗 經籍, 圖書, 百官志 D_13_04_137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13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13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노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내용] 송(宋)나라 진사(進士) 출신으로 1060년(문종 14) 비서성(?書省)에 제수되었고, 1066년 기거사인(起居舍人)으로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고중신(高仲臣) 등을 선발하였다.
  • 비서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경적(經籍)과 축문(祝文)작성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청. [내용] 고려 초기에 내서성(內書省)을 설치했다가 995년(성종 14)에 비서성(秘書省)으로 고쳤다. 관원으로 감(監)‧소감(少監)‧승(丞)‧낭(郎)‧()...

고서·고문서(62)

  • 25469 B025469 고려산 高麗山 산악 新增東國輿地勝覽 京畿道 江華都護府 山川 高麗山 在府西五里鎭山 麾尼山 在府南三十五里○高麗高宗四十六年從景瑜之言創離宮于此山之南 傳燈山 在府南三十二里 穴窟山 在府西十里 鎭江山 在鎭江縣 吉祥山 ...
    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7894 B077894 동진 東津 군사교통 太平廣記 卷第三百五十四 鬼三十九 _ 張仁寶 張仁寶素有才學,年少而逝,自成都歸葬閬中,權殯東津寺中。其家寒食日,聞扣門甚急,出視無人,唯見門上有芭蕉葉,上有題曰:“寒食家家盡禁煙,野棠風墜小花鈿。爲今空有孤魂夢,半在嘉陵半錦川。”擧族驚異...
    출처전거太平廣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653 중국 총서 전송문 004 기타 全宋文655 擧孔文仲等 擧孔文仲等臣切見朝延近置館閣職名 修復祖宗育材養士之法 詔許大臣各擧所知三人以充其選 仍立法以秘書省官任二年 正字四年 竝除校理 伏見禮部員外郞孔文仲蚤應制擧 學行純正 兵部員外郞葉祖洽熙寧初進...
    국가중국 | 서명전송문 | 왕대기타  
  • 32371 B032371 길상산 吉祥山 산악 新增東國輿地勝覽 京畿道 江華都護府 山川 ... 在府西五里鎭山 麾尼山 在府南三十五里○高麗高宗四十六年從景瑜之言創離宮于此山之南 傳燈山 在府南三十二里 穴窟山 在府西十里 鎭江山 在鎭江縣 吉祥山 在府南三十里周十三里有牧場 網山
    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265 B049265 덕적도 德積島 도서 인천광역시 高麗史節要 卷之十七 高宗 四十六年 二月 二月 ... 待宴者 豈無一二有識者 而乃與王拍手助樂 如在大平之日 而無一言諫之 何哉⁄創離宮于摩利山南 先是 景瑜 請於是山 創闕則 可延基業 從之⁄發新興倉銀十斤 易穀種 給貧民⁄...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十七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비서성의 정9품 관직. 995년(성종 14)에 처음 두었으며 문종 때 비서성이 정비되면서 정원 2인의 정9품직으로 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나타나는 정8품의 비서랑이 이전의 과 비슷한 구실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362년의 개혁시에 폐지되

  • 비서성 / 祕書省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경적과 축무작성 등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청. 고려 초기에 내서성을 설치했다가 995년(성종 14)에 비서성으로 고쳤다. 관원으로 감·소감·승·낭··정자를 두었고, 문종 때에 판사와 교감을 더 두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비서감으로 고쳤고, 1

  • 정목 / 鄭穆 [종교·철학/유학]

    급제하였다. 비서성, 군기주부, 고주통판을 역임하였다. 형부시랑, 예부시랑 등 요직을 거쳤다. 1105(숙종 10)년 66세로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