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교서” 에 대한 검색결과 3,3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54)

사전(1,608)

  • 수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각 관청이 국왕으로부터 받은 각종 행정 명령서. [내용] 교(敎)는 법(法)‧율(律)‧영(令)의 효력을 가지는 왕명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 왕명을 문자화한 것이 ()이고, 각 관청이 받은 를 수교라고 하였다. 수교는
  • 외지제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왕에게 () 등을 기초하여 바치는 일을 담당한 관직. [내용] 고려시대의 외지제고(外知制誥)가 개칭된 것이다. 조선 초기에 지제교를 겸임하게 되어 있는 승정원‧사간원의 관원을 제외하고 따로 문관 10인을 선정하여 지제교를...
  • 사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관(官)에 소속된 종8품 잡직. [내용] 이는 관 수장(守藏) 제원(諸員)의 체아직(遞兒職) 중에서 최상급직이었다. 제원은 서반경아전의 일종으로 조례(皁隷)‧나장(羅將)과 같은 하급잡직으로서 수장 제원은 관...
  • 향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관(館) 소속의 제향에 쓰일 향을 보관, 관리하는 직소(職所). [내용] 각 궁마다 있었으며, 창덕궁의 경우에는 인정전 서쪽에 있었다. 내시별감(內侍別監) 1인과 관 참외관(參外官) 1인이 향축을 담당하였다.
  • 사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관(館) 소속의 종8품 잡직. [내용] 이는 관 수장(守藏) 제원(諸員)의 체아직(遞兒職)이었다. 제원은 서반경아전의 일종으로 조례(早隷)ㆍ나장(羅將)과 같은 하급잡직으로서 수장 제원은 관에서 소장한 목판ㆍ활자ㆍ도...

단행본(3)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3 - 외교류-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유지복(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조재곤...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2.05.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誥命 諭祭文 使行文書 國書 信任‧解任狀 照會文 條約 雇聘契約書 外翰 其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1 - 왕명, 상주-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민원(원광대학교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朝鮮王朝篇 1. 敎旨 2. 3. 封書 4. 敎命 5. 敎文 6. 傳敎 7. 提論 8. 論書
  • 역주 헌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덕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 왕세자에게 내리는 8. 상왕께 존호를 올리는 옥책문 9. 존호를 올릴 때의 악장 10. 태상왕께 존호를 올리는 옥책문 11. 존호를 올릴 때의 악장 12

고서·고문서(1,032)

  • ()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교서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교서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40_0120 監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 | 형식분류고서-서화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 | 형식분류고서-서화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奎瀛府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40 文集 卷十四 ITKC_MP_0597A_0140_010_0160 奎瀛府記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記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雜著類|記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33)

  • 북한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추는 춤) 퉁소: 미상 4) 곡명미상(이흥영): (23:42), 독창, 가사(국민학 샛님발이를 하는데, 일본 순사가/~/만세를 불러라), 전래동요. 5) 돈돌라리(창자미상): (26:54), 제창, 가사(돈돌라리 돈돌라리 돈돌라이요)B면 1) 곡명미상(황남극)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수석
  • 북한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추는 춤) 퉁소: 미상 4) 곡명미상(이흥영): (23:42), 독창, 가사(국민학 샛님발이를 하는데, 일본 순사가/~/만세를 불러라), 전래동요. 5) 돈돌라리(창자미상): (26:54), 제창, 가사(돈돌라리 돈돌라리 돈돌라이요)B면 1) 곡명미상(황남극)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하륜
  • 북한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추는 춤) 퉁소: 미상 4) 곡명미상(이흥영): (23:42), 독창, 가사(국민학 샛님발이를 하는데, 일본 순사가/~/만세를 불러라), 전래동요. 5) 돈돌라리(창자미상): (26:54), 제창, 가사(돈돌라리 돈돌라리 돈돌라이요)B면 1) 곡명미상(황남극)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흥영
  • 북한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추는 춤) 퉁소: 미상 4) 곡명미상(이흥영): (23:42), 독창, 가사(국민학 샛님발이를 하는데, 일본 순사가/~/만세를 불러라), 전래동요. 5) 돈돌라리(창자미상): (26:54), 제창, 가사(돈돌라리 돈돌라리 돈돌라이요)B면 1) 곡명미상(황남극)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황남극
  • 북한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추는 춤) 퉁소: 미상 4) 곡명미상(이흥영): (23:42), 독창, 가사(국민학 샛님발이를 하는데, 일본 순사가/~/만세를 불러라), 전래동요. 5) 돈돌라리(창자미상): (26:54), 제창, 가사(돈돌라리 돈돌라리 돈돌라이요)B면 1) 곡명미상(황남극)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재석

기초학문(17)

  • 事의 作話方式과 傳奇小說의 相關性(Ⅰ)-초기 불사의 작화방식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진영, 게재일 : 2007
    26250 김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어문연구학회 2007 佛事의 作話方式과 傳奇小說의 相關性(Ⅰ)-초기 불사의 작화방식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프랑스 중등학교 미술 임용시험 전형방식별 출제문항유형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은적, 게재일 : 2012
    36396 이은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술교육학회/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프랑스 중등학교 미술 임용시험 전형방식별 출제문항유형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事의 作話方式과 傳奇小說의 相關性(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진영, 게재일 : 2009
    26251 김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어문연구학회 2009 佛事의 作話方式과 傳奇小說의 相關性(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사의 작화방식과 전기소설의 상관성(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진영, 게재일 : 2007
    25638 김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어문연구학회 2007 불사의 작화방식과 전기소설의 상관성(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정책의제 설정과정에서 나타난 미 대통령들의 이념 정향과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연구: 대통령 연두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혁, 게재일 : 2006
    31022 김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아메리카학회 2006 정책의제 설정과정에서 나타난 미 대통령들의 이념 정향과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연구: 대통령 연두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https://www.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308)

  • 민세안재홍전집 : 남조선과도정부의 영문 각서("총선거와 그 대책")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660 1948 3 21 1 1 남조선과도정부의 영문 각서("총선거와 그 대책") 문서류 미상 공문 정치 간접자료 8권 總選擧, 南韓總選擧, UN소총회, 南朝鮮過渡政府, D19480321미상01
    출처형태문서류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政府顚覆의統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현졍부를 뎐복지안이면 아모일도 진취치 못터인고로 장이명이 협력야 불구에졍부를 뎐복코져 활동다말로 닉명셔일편을 통감부에보낸자이잇셔 그닉명셔를 경무쳥으로 보고 방금엄밀히탐샤즁이라더라
    게재일1907년 5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大橋雄吉(大店) 전주 大橋雄吉 大店 大正町 2 - - 문구,서적 - 22 - 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大橋雄吉(大橋書店) | 지역전주 | 품목- | 영업종목문구,서적 | 자료출처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艀賃引下 交換 1928년 6월28일 서울 서울 경성상업회의소에서 개최된 인천운송점 측과 경성하주(荷主) 측의 회합...
    대표표제어艀賃引下 覺書交換 | 연월일1928년 6월28일 | 지역서울
  • 대통령와 여야협상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0) 박정희 정치관 대통령와 여야협상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4년 6월 27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3 이 글은 박정희의 특별에 대해 여야의 반응을 정리한 것임. 박정희는 6·3사태에 대한 책임이 정부뿐 아니...
    대표표제어대통령교서와 여야협상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박정희, 특별교서, 6·3사태, 계엄 해제, 학원 자유

기타자료(53)

  • 후궁으로 들일 왕녀를 보내라는 [令王薦其女]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고구려관련 외교문서 중국에서 고구려로 보낸 외교문서 외교문서 북위→고구려 후궁으로 들일 왕녀를 보내라는 [令王薦其女] 【개요】 고구려 장수...
    대표표제어후궁으로 들일 왕녀를 보내라는 교서[令王薦其女敎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 돌아가는 모시몽 편에 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돌아가는 모시몽 편에 를 보내다. 교역물품 753년(癸巳/신라 경덕왕 12/발해 문왕 大興 17/唐 玄宗 天寶 12/日本 孝謙天皇 天平勝宝 5) 발해...
    대표표제어돌아가는 모시몽 편에 교서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53년(癸巳/신라 경덕왕 12/발해 문왕 大興 17/唐 玄宗 天寶 12/日本 孝謙天皇 天平勝宝 5)
  • 돌아가는 모시몽 편에 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돌아가는 모시몽 편에 를 보내다. 교류담당 753년(癸巳/ 신라 경덕왕12/ 발해 문왕 大興17/ 당 현종 天寶12/ 일본 孝謙 天平勝宝5) 발해 ...
    대표표제어돌아가는 모시몽 편에 교서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53년(癸巳/ 신라 경덕왕12/ 발해 문왕 大興17/ 당 현종 天寶12/ 일본 孝謙 天平勝宝5)
  • 새마을 노인학 시집발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새마을 노인학 시집발간 새마을 노인학 시집발간 새마을 老人學 詩集發刊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평생교육 성인교육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교육평론
  • 보덕국 문무왕이 報徳王 安勝에게 보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관련 외교문서 신라가 국내 제국에게 보낸 외교문서 외교문서 신라→報徳王 安勝 보덕국 문무왕이 報徳王 安勝에게 보낸 【개요】 문무왕 20년...
    대표표제어보덕국 문무왕이 報徳王 安勝에게 보낸 教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28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국왕이 내리는 일반적인 명령을 성문화한 문서. 에는 즉위·문묘종사·반사·권농 등이 있고 사명훈유·봉작·책봉·가례·납징·포장·유교 등의 경우에도 가 내려졌다. 이처럼 는 왕이 통치자로서 발하는 일반적인 명령을 성문화한 것이다.

  • 관 / [언론·출판/출판]

    1392년 경적의 인쇄와 제사용 향과 축문·인신 등을 관장했던 관서. 1392년(태조 1)에 설치되었다. 관원은 모두 문관을 쓰며, 전자(篆字)에 익숙한 자 3인은 그 품계에 따라 겸임시켰다. 세조 때 전로 개칭되고, 1484년(성종 15) 환원되어 ≪경국대전≫

  • 랑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비서성의 정9품 관직. 995년(성종 14)에 처음 두었으며 문종 때 비서성이 정비되면서 정원 2인의 정9품직으로 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나타나는 정8품의 비서랑이 이전의 랑과 비슷한 구실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362년의 개혁시에 폐지되

  • 초 / [역사/근대사]

    1868년 이후 약 10년간 임금이 각 도의 감사와 유수 및 군사책임자들에게 내린 36편의 를 필사한 초록집. 1책. 필사본. 편자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승정원에서 모은 것으로 보인다. 특별한 사건이 있을 때에 보낸 것이 아니고 일상적인 위로와 교유(敎諭)의 내용

  • / 都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공작을 맡아보던 관청. 문종 때 직제상으로 확립되어 영 2인, 승 4인, 이속으로 감작 4인, 서령사 4인, 기관 2인을 두었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에 의하여 잡작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 다시 복구되었다. 이 때 관원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