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교민조약”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방문하여 담판을 시작했다. 이로부터 약 1개월간의 교섭을 거쳐 1899년 3월 9일자로 이 조인되었다. 이 조약문은 지방의 행정관이 교회의 일에 간여할 수 없으며 선교사들도 행정에 간여할 수 없음을 규정하였다. 그리고 교인에 대한 지방관의 토색을 금지하고...
  • 뮈텔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1905년의 '을사늑약' 등 외교문서와 구한말 각지 교안(敎案)자료 및 교안의 해결과 종교자유의 과정을 보여주는 1899년 (), 1901년 교민화의약정(敎民和議約定), 1904년 선교조약(宣敎條約) 관련 문서 외에도, 「독립신문」,「황성신문」등에서...
  • 교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교회의 노력이 1899년 ()의 체결로 결실을 보게 되었다. 이어서 1904년의 선교약조(宣敎約條)로 진전되어 교안 발생의 소지가 점차 소멸되던 중, 1905년 을사조약으로 조선의 외교권이 일본에 의하여 박탈되어 1906년에 대한제국 외부가 폐지되...
  • 기독교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에 방지하고자 ()을 통해 어느 정도 합의점에 도달하는 데 성공하였다. 은 1899년(고종 36) 조선교구장인 주교 뮈텔(Mutel,G.)과 내부 지방국장 정준시(鄭駿時) 사이에 체결되어 비로소 한국인에게도 신교의 자유가 공식으로 인정되었...
    이칭별칭가톨릭교|천주교
  • 프랑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확대됨은 물론, 이러한 불미스럽고 지루한 교안시대(敎案時代)는 (, 1899)과 선교조약(1904)이 성립되기까지 갈등이 컸으며, 이로 인하여 프랑스군함들의 군사적인 시위가 제물포(지금의 仁川)를 비롯한 한반도 해안에서 빈번하게 일어났다. 특히...
    이칭별칭The French Republic|La République Française|블란서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천주교]

    1899년 교(敎)와 민(民) 사이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조약. 천주교 조선교구장 뭐텔(Mutel) 주교와 내무지방국장 정준시(鄭駿時) 사이에 1899년에 체결된 조약이다. 전문 9개조로 되어 있으며, 주요사항은 정교분리에 관한 것으로 선교사는 정치에 관여할 수 없으